1 윤대석, "키메라 - 만주국의 초상" 소명 2009
2 마크 엘리엇, "중심으로서의 주변: 만주학의 미래를 위한 서언"
3 유장근, "중국의 청사공정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4 김형종, "중국의 청사 편찬과 청사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5 유장근, "중국 역사학계의 청사연구 동향" 동북아역사재단 2009
6 사카모토 히로코, "중국 민족주의의 신화: 인종․신체․젠더로 본 중국의 근대" 지식의 풍경 2004
7 오병수, "중국 국민사학의 인종․강역문제-梁啓超․章炳麟의 만주 인식을 중심으로-" (14) : 2006
8 프래신짓트 두아라, "주권과 순수성" 나남 327-331, 2006
9 스테판 다나카, "일본 동양학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2004
10 프라센짓 두아라, "민족의 지구적, 지역적 구성: 동아시아로부터의 관점 In 화이부동의 동아시아학- 민족사와 고대 중국 연구 자료 성찰" 푸른역사 2012
1 윤대석, "키메라 - 만주국의 초상" 소명 2009
2 마크 엘리엇, "중심으로서의 주변: 만주학의 미래를 위한 서언"
3 유장근, "중국의 청사공정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4 김형종, "중국의 청사 편찬과 청사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5 유장근, "중국 역사학계의 청사연구 동향" 동북아역사재단 2009
6 사카모토 히로코, "중국 민족주의의 신화: 인종․신체․젠더로 본 중국의 근대" 지식의 풍경 2004
7 오병수, "중국 국민사학의 인종․강역문제-梁啓超․章炳麟의 만주 인식을 중심으로-" (14) : 2006
8 프래신짓트 두아라, "주권과 순수성" 나남 327-331, 2006
9 스테판 다나카, "일본 동양학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2004
10 프라센짓 두아라, "민족의 지구적, 지역적 구성: 동아시아로부터의 관점 In 화이부동의 동아시아학- 민족사와 고대 중국 연구 자료 성찰" 푸른역사 2012
11 김한규, "문학과지성사" 요동사 2004
12 고바야시 히데오, "만철: 일본제국의 싱크탱크" 산처럼 2004
13 "만주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2011
14 홍성구,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호서사학회 (55) : 175-213, 2010
15 요시자와 세이치로, "내셔널리즘으로 본 근대 중국: 애국주의의 형성" 논형 2006
16 中國邊疆史地硏究中心, "琿春副都統衙門檔 전 238冊"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7
17 寺內威太郞, "滿鮮史」硏究と稻葉岩吉 In 植民地主義と歷史學-そのまなさしか殘したもの" 刀水書房 2004
18 王鍾翰, "淸史滿族史硏究百年回顧及未來展望 In 滿學論叢 第1輯" 遼寧民族出版社 2011
19 나카미 타쯔오(中見立夫), "日本的「東洋學」の形成と構圖 In 「帝國」日本の學知, 제3권, 東洋學の磁場" 岩波書店 2006
20 나카미 다쯔오(中見立夫), "日本の東洋史學黎明期のおける史料への探求 In 神田信夫先生古稀記念論集: 淸朝と東アジア" 山川出版社 1992
21 스기야마 키오히코(杉山淸彦), "大淸帝國史硏究の現在-日本における槪況と展望" 10 : 2008
22 나카미 다츠오(中見立夫), "地域槪念의 政治性" 9 : 2009
23 키청거(承志), "中國における「滿族史」硏究" (10) : 2008
24 성근제, "‘東北’인가, ‘滿洲’인가 ― 근대 동북 지역연구과제 설정의 가능성"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56) : 123-146, 2011
25 Joshua A. Fogel, "The Teleology of the Modern Nation-State: Japan and Chi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