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프랑스의 시각에서 본 제주민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5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랑스의 시각에서 본 1901년 제주민란

      제주민란은 1901년 5월 발생했다. 플랑시는 제주민란의 주원인을 봉세관의 과도한 징세로 인식했다. 프랑스는 5월 9일을 제주민란의 개시 시점으로 인정했다. 프랑스는 제주민란의 주도자를 대정군수 채구석으로 지목했다. 주한 프랑스공사 플랑시는 대한제국의 외부대신에게 채구석을 제주민란의 수괴라고 통보했다.
      플랑시는 일본인들이 제주민란과 연관이 있다고 인식했다. 플랑시는 민군이 일본인과 결탁하여 신부들을 공격한 것으로 단정했다. 플랑시는 일본의 개입을 예측했으므로 본국 정부에 제주민란에 대한 더 이상의 개입을 반대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프랑스 해군 사령관 포티에는 알루에트호와 쉬르프리즈호를 제주도로 출동시켰다. 쉬르프리즈호와 알루에트호는 5월 30일 전후 제주도에 도착하여 프랑스 신부들을 구출했다. 고종은 정부군을 보냈고 추가 파병을 지시했다. 그러자 플랑시는 고종의 민란 진압에 대한 의지를 인정했다.
      프랑스는 치안이 회복되었다고 판단했고, 그에 따라 알루에트호와 쉬르프리즈호는 6월 3일 제주도를 떠났다. 그러나 제주민란이 종식되지 않자 알루에트호는 6월 9일 제주도에 재차 입항했다. 프랑스는 제주목사에게 민군 지도부를 엄벌에 처하라고 요구했다. 포티에는 6월 13일 민군 지도부가 체포되자 6월 19일 제주민란의 종료를 선언했다.
      플랑시는 본국 정부에 유사한 사건이 재발할 경우 즉각적인 군사 개입을 건의했다. 그는 군함을 동원한 포격, 민란 지도부의 처형, 지방 당국으로부터 배상금 회수 등을 제시했다. 그는 프랑스는 군사적 개입으로 대한제국 황실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프랑스는 대한제국의 재판에 깊숙하게 개입했다. 플랑시는 외부대신 박제순에게 민란 가담자의 명단을 건네주며 신속한 재판을 요구했다. 플랑시는 채구석이 극형에 처해지기를 기대했다.
      번역하기

      프랑스의 시각에서 본 1901년 제주민란 제주민란은 1901년 5월 발생했다. 플랑시는 제주민란의 주원인을 봉세관의 과도한 징세로 인식했다. 프랑스는 5월 9일을 제주민란의 개시 시점으로 인...

      프랑스의 시각에서 본 1901년 제주민란

      제주민란은 1901년 5월 발생했다. 플랑시는 제주민란의 주원인을 봉세관의 과도한 징세로 인식했다. 프랑스는 5월 9일을 제주민란의 개시 시점으로 인정했다. 프랑스는 제주민란의 주도자를 대정군수 채구석으로 지목했다. 주한 프랑스공사 플랑시는 대한제국의 외부대신에게 채구석을 제주민란의 수괴라고 통보했다.
      플랑시는 일본인들이 제주민란과 연관이 있다고 인식했다. 플랑시는 민군이 일본인과 결탁하여 신부들을 공격한 것으로 단정했다. 플랑시는 일본의 개입을 예측했으므로 본국 정부에 제주민란에 대한 더 이상의 개입을 반대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프랑스 해군 사령관 포티에는 알루에트호와 쉬르프리즈호를 제주도로 출동시켰다. 쉬르프리즈호와 알루에트호는 5월 30일 전후 제주도에 도착하여 프랑스 신부들을 구출했다. 고종은 정부군을 보냈고 추가 파병을 지시했다. 그러자 플랑시는 고종의 민란 진압에 대한 의지를 인정했다.
      프랑스는 치안이 회복되었다고 판단했고, 그에 따라 알루에트호와 쉬르프리즈호는 6월 3일 제주도를 떠났다. 그러나 제주민란이 종식되지 않자 알루에트호는 6월 9일 제주도에 재차 입항했다. 프랑스는 제주목사에게 민군 지도부를 엄벌에 처하라고 요구했다. 포티에는 6월 13일 민군 지도부가 체포되자 6월 19일 제주민란의 종료를 선언했다.
      플랑시는 본국 정부에 유사한 사건이 재발할 경우 즉각적인 군사 개입을 건의했다. 그는 군함을 동원한 포격, 민란 지도부의 처형, 지방 당국으로부터 배상금 회수 등을 제시했다. 그는 프랑스는 군사적 개입으로 대한제국 황실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프랑스는 대한제국의 재판에 깊숙하게 개입했다. 플랑시는 외부대신 박제순에게 민란 가담자의 명단을 건네주며 신속한 재판을 요구했다. 플랑시는 채구석이 극형에 처해지기를 기대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in 1901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rance


      The popular uprising in Jeju Island outbreak on May 1901. French Minister, Plancy recognized that reason of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was excessive levy taxes of tax collection of the Imperial Household. France recognized that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outbreak on May 9 1901. Plancy marked munitions of Dae Jung, Chai Gu Seok(채구석) as that the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informed to foreign secretary of the Great Han Empire that Chai Gu Seok was a ringleader of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recognized that The Japanese had something to do with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recognized that the militia and Japanese all turned upon the French priest. Plancy presupposed intervention of Japan. Therefore He objected further intervention.
      French naval commander Pottier ordered to move Surprise and Alouette for Jeju Island. Surprise and Alouette reached Jeju Island about May 30. The warships relieved French priest. King Kojong dispatched the Government forces. After King Kojong ordered to additional dispatch troops. Plancy acknowledged strong will of suppression of King Kojong.
      French naval warship judgmented
      번역하기

      The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in 1901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rance The popular uprising in Jeju Island outbreak on May 1901. French Minister, Plancy recognized that reason of popular u...

      The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in 1901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rance


      The popular uprising in Jeju Island outbreak on May 1901. French Minister, Plancy recognized that reason of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was excessive levy taxes of tax collection of the Imperial Household. France recognized that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outbreak on May 9 1901. Plancy marked munitions of Dae Jung, Chai Gu Seok(채구석) as that the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informed to foreign secretary of the Great Han Empire that Chai Gu Seok was a ringleader of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recognized that The Japanese had something to do with popular uprising of Jeju Island. Plancy recognized that the militia and Japanese all turned upon the French priest. Plancy presupposed intervention of Japan. Therefore He objected further intervention.
      French naval commander Pottier ordered to move Surprise and Alouette for Jeju Island. Surprise and Alouette reached Jeju Island about May 30. The warships relieved French priest. King Kojong dispatched the Government forces. After King Kojong ordered to additional dispatch troops. Plancy acknowledged strong will of suppression of King Kojong.
      French naval warship judgmen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