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 A University Instructor s Experiences with Online Courses under COVID-19 circumsta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2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기존의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고 운영한 교수자의 경험을 고찰함으로써 온라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Chen(2016)의 ICCEE 모형을 준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운영하였던 경험에 대해 자전적 사례연구 방식으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기존 수업의 수업목표를 그대로 유지하였고 온라인 수업의 유형은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형식으로 결정하였다. 수업내용은 수업목표와 동일하게 기존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LMS와 e-mail을 기술적 도구로 선정하였다. 기존 수업의 플립드 러닝과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 동영상 콘텐츠와 과제 수행을 병행하는 교수전략을 수립하였다. 이후 강의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내용의 모듈화와 구체적인 사례가 추가되었으며,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오픈북 기반 시험 문항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수업의 실천 과정에서는 상호작용 및 학습 참여와 공평한 시험 응시를 위한 다양한 실천들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이 실현되고 있으며, 학습자를 배려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내용 전달에 치중한 강의자료의 개발과 평가, 상호작용 감소 등의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실시간 소그룹 토론활동과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한 시간 분배,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기존의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고 운영한 교수자의 경험을 고찰함으로써 온라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온라인 수업 설계...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기존의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고 운영한 교수자의 경험을 고찰함으로써 온라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Chen(2016)의 ICCEE 모형을 준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운영하였던 경험에 대해 자전적 사례연구 방식으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기존 수업의 수업목표를 그대로 유지하였고 온라인 수업의 유형은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형식으로 결정하였다. 수업내용은 수업목표와 동일하게 기존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LMS와 e-mail을 기술적 도구로 선정하였다. 기존 수업의 플립드 러닝과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 동영상 콘텐츠와 과제 수행을 병행하는 교수전략을 수립하였다. 이후 강의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내용의 모듈화와 구체적인 사례가 추가되었으며,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오픈북 기반 시험 문항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수업의 실천 과정에서는 상호작용 및 학습 참여와 공평한 시험 응시를 위한 다양한 실천들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이 실현되고 있으며, 학습자를 배려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내용 전달에 치중한 강의자료의 개발과 평가, 상호작용 감소 등의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실시간 소그룹 토론활동과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한 시간 분배,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online class and to seek a deeper understanding of it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an instructor who changed their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reason, the experiences of designing and operating onlin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as explored in the form of an autobiographical case by using Chen (2016) s ICCEE model. As a result, in preparation for online classes, researcher maintained the goals of previous classes and employed the type of non real time online classes. The contents of classes remained the same, and LMS and e-mail were selected as new technical tools. To achieve similar effects as flipped learning in previous classes, a teaching strategy combining video contents and task performance was established. Since then, modularization of contents and specific cases have been add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ecture materials, and open book test questions have been developed to secure fairness for student evaluation.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online courses, various practices were carried out for interaction,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fair examinations. As a result, researchers confirmed that learner-centered classes are being realized through online classe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continuous efforts considering learners. However, problems such as development, evaluation, and reduction of interaction of lecture materials focused on content delivery were identified, and real-tim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ime distribution for emotional interaction, and application of learner-led customized learning were presented to mitigate the proble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online class and to seek a deeper understanding of it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an instructor who changed their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online class and to seek a deeper understanding of it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an instructor who changed their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reason, the experiences of designing and operating onlin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as explored in the form of an autobiographical case by using Chen (2016) s ICCEE model. As a result, in preparation for online classes, researcher maintained the goals of previous classes and employed the type of non real time online classes. The contents of classes remained the same, and LMS and e-mail were selected as new technical tools. To achieve similar effects as flipped learning in previous classes, a teaching strategy combining video contents and task performance was established. Since then, modularization of contents and specific cases have been add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ecture materials, and open book test questions have been developed to secure fairness for student evaluation.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online courses, various practices were carried out for interaction,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fair examinations. As a result, researchers confirmed that learner-centered classes are being realized through online classe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continuous efforts considering learners. However, problems such as development, evaluation, and reduction of interaction of lecture materials focused on content delivery were identified, and real-tim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ime distribution for emotional interaction, and application of learner-led customized learning were presented to mitigate the probl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 Ⅰ. 들어가며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가일, "한국과 호주의 동네 놀이터 특징에 관한 비교문화 사례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91-617, 2016

      2 전보라, "학습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375-1386, 2020

      3 김선영,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Personalized Learning)의 개념과 성격: 미국 학교 사례를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49-70, 2018

      4 안미리, "학습분석학 국내 문헌 고찰: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2 (32): 253-291, 2016

      5 교육부, "포스트코로나 시대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 발표"

      6 장원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37-966, 2020

      7 김미영,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글쓰기 강좌의 원격화상수업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책 - 2020학년도 1학기 홍익대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120 : 5-49, 2020

      8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 분야 학사운영 및 지원방안발표"

      9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10 김선영, "캠퍼스 대학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대한 에세이 분석"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231-260, 2020

      1 전가일, "한국과 호주의 동네 놀이터 특징에 관한 비교문화 사례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91-617, 2016

      2 전보라, "학습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375-1386, 2020

      3 김선영,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Personalized Learning)의 개념과 성격: 미국 학교 사례를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49-70, 2018

      4 안미리, "학습분석학 국내 문헌 고찰: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2 (32): 253-291, 2016

      5 교육부, "포스트코로나 시대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 발표"

      6 장원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37-966, 2020

      7 김미영,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글쓰기 강좌의 원격화상수업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책 - 2020학년도 1학기 홍익대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120 : 5-49, 2020

      8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 분야 학사운영 및 지원방안발표"

      9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10 김선영, "캠퍼스 대학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대한 에세이 분석"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231-260, 2020

      11 고주영, "카메라를 이용한 온라인 시험 공정성 강화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2 (12): 1427-1435, 2009

      12 김세영, "초등교육 연구에 있어서의 질적 사례연구" 19 (19): 31-57, 2012

      13 이혁규,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인류학회 7 (7): 175-210, 2004

      14 이동성, "질적 연구와 자문화기술지" 아카데미프레스 2012

      15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8

      16 조연주, "장애 요인 분석을 통한 한국어 온라인 수업 발전 방향 모색" 한국국어교육학회 (124) : 297-324, 2020

      17 봉미미, "자기효능감과 자기규제적 학습 : 교육공학 관련 연구에서의 시사점" 14 (14): 97-111, 1998

      18 이미영, "이러닝품질, 실재감 및 컴퓨터활용능력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21-1037, 2020

      19 정인성, "웹 기반 교육" 교육과학사 77-100, 1999

      20 김영환, "원격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3

      21 이의길, "온라인교육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수업전략"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87-105, 2006

      22 김영희, "온라인 협력적 대학 영작문 수업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교육연구원 36 (36): 159-180, 2020

      23 임지은,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32 (32): 461-485, 2020

      24 이은준, "온라인 수업의 편리성 인식 유형에 따른 만족도 및 학습경험 인식의 차이"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341-362, 2010

      25 박상훈, "온라인 국제교류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2015

      26 전영국, "연극놀이와 과학탐구 기반의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운영한 대학교수의 자전적 사례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5 (25): 141-165, 2017

      27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247-277, 2020

      28 한송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395-418, 2020

      29 최원호,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중심으로" 1 (1): 1-28, 2020

      30 김동원,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만족도 및 인식 변화 연구 - C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원 6 (6): 73-101, 2021

      31 서제희, "미술교사의 성장 체험에 관한 자전적 성찰 연구" 서울대학교 2014

      32 이상수,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0 (20): 63-88, 2004

      33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34 조인식, "대학의 원격수업 관련 쟁점과 개선과제" 국회 입법조사처 2020

      35 양미경, "대학에서의 오픈북 시험의 의의와 난점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2 (32): 117-154, 2019

      36 한형종,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고려요소 및 개선방안 탐색: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69-79, 2020

      37 방인자,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203-232, 2020

      38 김명찬, "가난 극복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인간환경미래연구원 (17) : 75-107, 2016

      39 Friend, B., "Virtual schools: planning for success" Teachers College Press 97-117, 2005

      40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Inc 1995

      41 Kitanovska, V., "The Challenges in Implementing the ICCE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Online Learning" 11 (11): 165-170, 2020

      42 Lee, J., "Patterns of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in Large Online Course : Strategies for Fostering Sustainable Discussion" 15 (15): 260-272, 2012

      43 Zuhairi, A., "Empowering lifelong learning through open universities in Taiwan and Indonesia" 15 (15): 167-188, 2020

      44 Ruttenbur, B., W., "E-Learning : The Engine of the knowledge economy" Morgan Keegan 2000

      45 Hussien, H. S., "Critical Review of Design and Development of One-Step E-Learning Plagiarism Module for An Academic Writing Course : An Application of The ICCEE Model" 7 (7): 1039-1048, 2020

      46 이영희,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211-234, 2020

      47 Andresen, M. A., "Asynchronous discussion forum : success factors, outcomes, assessments, and limitations" 12 (12): 249-257, 2009

      48 Mihiotis, A., "Asynchronous Remote Learning and Distance Learning : Τhe Case of Master in Business Administration By H. O. U" 2 : 1-13, 2006

      49 Chen, L., "A Model for Effective Online Instructional Design" 6 (6): 2303-2308, 2016

      50 김상호, "4차 산업혁명과 평생학습" 60 : 1-4,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7 1.91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