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전으로 1949년부터 대륙의 공산당정권과 대만의 국민당정권은 대치국면에 들어갔다. 미 국은 처음에는 반공의 기치 아래 대만을 지지했지만 소련을 억제하기 위해 1972년에는 중국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232365
2011
Korean
학술저널
257-273(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중국 내전으로 1949년부터 대륙의 공산당정권과 대만의 국민당정권은 대치국면에 들어갔다. 미 국은 처음에는 반공의 기치 아래 대만을 지지했지만 소련을 억제하기 위해 1972년에는 중국과 ...
중국 내전으로 1949년부터 대륙의 공산당정권과 대만의 국민당정권은 대치국면에 들어갔다. 미 국은 처음에는 반공의 기치 아래 대만을 지지했지만 소련을 억제하기 위해 1972년에는 중국과 관 계정상화 하였고 1979년에 중국과 수교하였다. 미⋅중 간 관계정상화의 과정에서 대만문제는 항상 제일 큰 장애요인이 되었다. 대만문제의 핵심은 중국이 견지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과 미국이 강조하는 ‘대만의 안전’ 간의 충돌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수용하여 대만과 단교하였지만, 「대만관계 법」 등의 조치를 통하여 대만에게 일정한 안전보장을 제공하였다. 미 - 중 수교의 결과로 대만은 외교적으로 고립된 비정상국가로 전락하였고 내부적으로는 통치 정당성 상실에 따른 민주화와 또 그에 따른 정체성의 변화 등의 영향이 있었다. 한반도 주변 상황 과 미국의 전략구도 등을 볼 때 미국과 북한의 관계정상화가 이루어져도 한국에 대한 영향은 대만 처럼 크지 않을 것이다. 다만 북 - 미 관계정상화 논의에서 한국이 제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양안(兩岸) 교류협력의 특징과 남ㆍ북한관계에 대한 시사점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거대기업의 역할 : EU사례의 함의와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