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904년에서 1905년 초 사이 금남 이동진의 의지와 재정지원에 따라 그의 장남인 소남 이일우에 의해 대구에서 설립, 운영되었다가 1911년 일제에 의해 폐쇄된 것으로 알려진 사숙이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01563
조용완 (대구가톨릭대학교)
2023
Korean
우현서루 ; 시무학당 ; 이일우 ; 이동진 ; 이장가 ; Woo-Hyun Seoru ; Si-Mu Hakdang ; Dong Jin Lee ; Il Woo Lee ; Lee Jang Ga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83-211(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04년에서 1905년 초 사이 금남 이동진의 의지와 재정지원에 따라 그의 장남인 소남 이일우에 의해 대구에서 설립, 운영되었다가 1911년 일제에 의해 폐쇄된 것으로 알려진 사숙이자...
본 연구는 1904년에서 1905년 초 사이 금남 이동진의 의지와 재정지원에 따라 그의 장남인 소남 이일우에 의해 대구에서 설립, 운영되었다가 1911년 일제에 의해 폐쇄된 것으로 알려진 사숙이자 도서관인 우현서루(友弦書樓)를 근대 도서관이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현서루를 1) 설립 주체와 설립 목적 2) 설립 일자 3) 위치와 건물 4) 장서 구성과 확보 방법 5) 이용대상과 주요 이용객 6) 도서관 활동 7) 폐쇄 과정 8) 폐쇄 후 장서의 이동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동진․이일우 부자와 그의 후손과 지인이 쓴 글을 담은 <성남세고>를 비롯해 다양한 DB와 인터넷 검색을 통해 도서, 당시의 신문과 잡지기사, 논문, 기록물 등을 찾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인용문헌 확장검색을 실시하여 관련문헌들을 광범위하게 분석하였다. 우현서루의 도서관 성격에 관한 8가지 측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우현서루의 설립과 폐쇄, 매각 등에 관한 기존의 주장 중에서 일부 오류를 발견하였고, 우현서루의 장서규모와 장서확보 방안, 우현서루의 이용대상, 우현서루 폐쇄 후 장서 이동과정 등에 대해 새로운 결과를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일수, "한말·일제강점기 윤필오·윤홍열·윤우열 삼부자의 사회활동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원 (71) : 289-327, 2018
2 박지현, "한말 식민지기 유교 지식인 海岳 金光鎭의 도시 이주와 의생 활동 그리고 지적 전환" 동아대학교 2016
3 송승섭, "한국 도서관사" 한국도서관협회 2019
4 김봉희, "한국 개화기 서적 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9
5 최재목 ; 정다운 ; 김찬우 ; 곽재관, "일제강점기 신지식의 요람 대구 「友弦書樓」에 대하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11-225, 2009
6 조용완, "일제강점기 순회문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6 (56): 119-150, 2022
7 조용완 ; 김종성, "일제강점기 대구부립도서관 건물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31 (31): 145-168, 2020
8 박용찬, "이상화 가(家)의 서간들과 동경(東京)" 한국문학언어학회 (62) : 463-486, 2014
9 김필동, "이상백의 생애와 사회학 사상" 28 (28): 1-34, 1994
10 김영석 ; 이용재,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공공도서관 규명에 관한 연구 - 일본홍도회도서실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9 (49): 131-150, 2018
1 김일수, "한말·일제강점기 윤필오·윤홍열·윤우열 삼부자의 사회활동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원 (71) : 289-327, 2018
2 박지현, "한말 식민지기 유교 지식인 海岳 金光鎭의 도시 이주와 의생 활동 그리고 지적 전환" 동아대학교 2016
3 송승섭, "한국 도서관사" 한국도서관협회 2019
4 김봉희, "한국 개화기 서적 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9
5 최재목 ; 정다운 ; 김찬우 ; 곽재관, "일제강점기 신지식의 요람 대구 「友弦書樓」에 대하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11-225, 2009
6 조용완, "일제강점기 순회문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6 (56): 119-150, 2022
7 조용완 ; 김종성, "일제강점기 대구부립도서관 건물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31 (31): 145-168, 2020
8 박용찬, "이상화 가(家)의 서간들과 동경(東京)" 한국문학언어학회 (62) : 463-486, 2014
9 김필동, "이상백의 생애와 사회학 사상" 28 (28): 1-34, 1994
10 김영석 ; 이용재,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공공도서관 규명에 관한 연구 - 일본홍도회도서실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9 (49): 131-150, 2018
11 백기만, "씨뿌린 사람들-慶北作家文藝家評傳" 사조사 1957
12 소남 이일우 기념사업회, "소남 이일우와 우현서루" 경진출판 2017
13 이동진, "성남세고" 경진출판 2016
14 상백이상백평전 출판위원회, "상백이상백평전" 을유문화사 1996
15 이상규, "두발을 못 뻗는 이 땅이 애달파" 경진출판 2021
16 정필모, "도서관문화사" 구미무역 출판부 1991
17 윤희윤, "도서관 지식문화사" 동아시아 2019
18 김세익, "도서․인쇄․도서관사" 아세아문화사 1992
19 대륜중고등학교, 대륜동창회, "대륜 80년사" 대륜중고등학교, 대륜동창회 2001
20 사단법인 거리문화연대, "대구신택리지" 북랜드 2007
21 김란기, "대구시 서성로 소남 이일우 가옥의 건축적 특징과 인문학적 가치" 249-254, 2016
22 이중희, "대구미술이 한국미술이다" 동아문화사 2019
23 박용찬, "근대계몽기 대구의 문학장 형성과 우현서루"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6) : 397-420, 2014
24 권대웅, "근대 대구의 애국계몽운동" 선인 2021
25 송승섭, "개화기 한국 근대 도서관의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구보학회 (32) : 11-68, 2022
26 권대웅, "韓末 慶北地方의 私立學校와 그 性格" 58 : 21-48, 1994
27 최재목, "海岳 金光鎭의 陽明學에 대한 예비적 고찰 —‘韓國近代陽明學’의 영남지역 전개에 대한 새로운 發掘—" 한국사상사학회 (30) : 285-313, 2008
28 윤효정, "本會會報" 4 : 40-48, 1906
29 송승섭, "日帝 强占期 京城圖書館의 變遷 過程에 관한 考察" 한국도서관·정보학회 51 (51): 71-90, 2020
30 박영호, "小南 李一雨의 삶과 한시 세계" 동방한문학회 (73) : 301-330, 2017
국가전거를 활용한 단위 도서관의 전거데이터 소급 구축 연구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을 중심으로 -
지역사회 공론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연구 - 서울 성북구립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