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목록 환경에서 전거데이터의 기능이 특히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국가전거데이터의 공개와 공동 활용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국가전거를 활용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의 목록 환경에서 전거데이터의 기능이 특히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국가전거데이터의 공개와 공동 활용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국가전거를 활용한 ...
최근의 목록 환경에서 전거데이터의 기능이 특히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국가전거데이터의 공개와 공동 활용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국가전거를 활용한 단위 도서관의 전거데이터 소급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2019년 국립중앙도서관과 KERIS에서 공동으로 추진했던 전거데이터 소급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의 방식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방법론적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한 후 보다 많은 도서관들이 국가전거를 활용하여 전거데이터의 소급 구축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시범사업에 참여한 A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전거데이터의 자동 생성률과 정확률, 그리고 자동 생성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와 누락의 사례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가전거를 이용한 전거데이터의 자동생성률은 20% 남짓에 불과했고, 전거형의 형식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낮은 생성률과 오류, 누락은 종합목록이나 단위 도서관의 서지레코드 품질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이에 따라 기존 데이터에 대한 보다 세밀한 검토와 함께 정교한 알고리즘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동근, "한국형 전거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31 (31): 21-47, 2000
2 노지현, "목록이론의 이해와 적용" 한국도서관협회 2023
3 김미향,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전거제어 방안 연구" 27 : 41-70, 2009
4 이미화, "대학도서관 전거제어 현황분석을 통한 전거제어 방안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3 (43): 5-26, 2012
5 김미향 ; 김태수,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7 (27): 125-146, 2010
6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서지과, "국립중앙도서관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 개인명" 국립중앙도서관
7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전거 누리집"
8 심경, "국내 공공도서관의 인명 전거제어의 현황 및 발전 방향" 한국문헌정보학회 40 (40): 221-244, 2006
9 이성숙, "국가전거데이터 공동활용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질적 탐구" 한국비블리아학회 32 (32): 443-467, 2021
10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전거 공유 및 활용 확산을 위한 추진 계획(안)"
1 오동근, "한국형 전거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31 (31): 21-47, 2000
2 노지현, "목록이론의 이해와 적용" 한국도서관협회 2023
3 김미향,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전거제어 방안 연구" 27 : 41-70, 2009
4 이미화, "대학도서관 전거제어 현황분석을 통한 전거제어 방안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3 (43): 5-26, 2012
5 김미향 ; 김태수,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7 (27): 125-146, 2010
6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서지과, "국립중앙도서관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 개인명" 국립중앙도서관
7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전거 누리집"
8 심경, "국내 공공도서관의 인명 전거제어의 현황 및 발전 방향" 한국문헌정보학회 40 (40): 221-244, 2006
9 이성숙, "국가전거데이터 공동활용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질적 탐구" 한국비블리아학회 32 (32): 443-467, 2021
10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전거 공유 및 활용 확산을 위한 추진 계획(안)"
11 오삼균 ; 한상은 ; 손태익 ; 김성훈, "VIVO를 활용한 국가적 전거구축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5 (35): 165-187, 2018
12 Ashmann, A., "The lowdown on automated vendor supplied authority control" 20 (20): 33-44, 2002
13 Zhu, L., "The future of authority control: issues and trends in the liked data environment" 19 (19): 215-2181, 2019
14 Kreyche, M., "The DeathFlip project : automating death date revisions to name headings in bibliographic records" 48 (48): 684-695, 2010
15 Lampron, P., "Name authority work in the linked data environment" 19 (19): 137-140, 2019
16 Monaco, M., "Methods for in-sourcing authority control with MarcEdit, SQL, and regular expressions" 20 (20): 1-27, 2020
17 Mak, L., "Coping with the storm : automating name authority record updates and bibliographic file maintenance" 29 (29): 235-245, 2013
18 Haffner, A, "Cluster Authority Data"
19 Williams, H., "Cleaning up the catalogue"
20 Schreur, P. E., "Bridging the worlds of MARC and linked data: transition, transformation, accountability" 78 (78): 48-56, 2020
21 Wolf, S., "Automating authority control processes" 47 : 2020
22 Wiederhold, R., "Authority control today: principles, practices, and trends" 59 (59): 129-158, 2021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을 중심으로 -
지역사회 공론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연구 - 서울 성북구립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