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Data Literacy Competency Building Measures: Focusing on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1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소속 연구자를 위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해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RDMRose, RDMLA, DataONE, 캐나다 디지털 연구 연합, NNLM, 파르테노스 그리고 Coursera이다. 또한 해당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연구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 및 분석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종합하여 연구자를 위한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및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에게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소속 연구자를 위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해...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소속 연구자를 위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해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RDMRose, RDMLA, DataONE, 캐나다 디지털 연구 연합, NNLM, 파르테노스 그리고 Coursera이다. 또한 해당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연구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 및 분석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종합하여 연구자를 위한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및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에게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

      2 김지현, "북미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35 (35): 7-36, 2018

      3 배화순, "데이터 리터러시의 사회과 교육적 함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95-120, 2019

      4 송유경 ; 송석리 ; 김예지 ; 임철일,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데이터 기반 토론 수업 모형 및 교수전략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7 (37): 943-982, 2021

      5 한미영 ; 김현정 ; 정대홍,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 사례 연구"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6 (16): 165-178, 2022

      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데이터교육센터"

      7 Digital Research Alliance of Canada, "Training Resources"

      8 Wiljes, C., "Teaching research data management for students" 18 (18): 38-, 2019

      9 Neema Florence Mosha, "Teaching research data management courses in higher learning institutions in Tanzania" Emerald 44 (44): 166-179, 2022

      10 PARTHENOS, "TRANING MODULES"

      1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

      2 김지현, "북미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35 (35): 7-36, 2018

      3 배화순, "데이터 리터러시의 사회과 교육적 함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95-120, 2019

      4 송유경 ; 송석리 ; 김예지 ; 임철일,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데이터 기반 토론 수업 모형 및 교수전략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7 (37): 943-982, 2021

      5 한미영 ; 김현정 ; 정대홍,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 사례 연구"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6 (16): 165-178, 2022

      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데이터교육센터"

      7 Digital Research Alliance of Canada, "Training Resources"

      8 Wiljes, C., "Teaching research data management for students" 18 (18): 38-, 2019

      9 Neema Florence Mosha, "Teaching research data management courses in higher learning institutions in Tanzania" Emerald 44 (44): 166-179, 2022

      10 PARTHENOS, "TRANING MODULES"

      11 Anna, M. T., "Research data management in the curriculum :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38 : 138-142, 2014

      12 coursera,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haring"

      13 RDMLA, "RESEARCH DATA MANAGEMENT LIBRARIAN ACADEMY"

      14 Cox, A., "RDMRose" The University of Sheffield 2022

      15 Baykoucheva, S., "Managing Scientific Information and Research Data" Chandos Publishing 80-, 2015

      16 THE UNIVERSITY of EDINBURGH, "MANTRA"

      17 ACRL,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

      18 Xu, Z., "Effect of online research data management instruction on social science graduate students’ RDM skills" 44 (44): 101190-, 2022

      19 Pasek, J. E., "Education needs in research data management for science-based disciplines: Self-assessment surveys of graduate and faculty at two public universities" (92) : 2019

      20 Carlson, J., "Determining data information literacy needs : a study of students and research faculty" 11 (11): 629-657, 2011

      21 Koltay, T., "Data literacy for researchers and data librarians" 49 (49): 3-14, 2017

      22 DataON, "Data Management Skillbuilding Hub"

      23 Wolff, A., "Creating an understanding of data literacy for a data-driven society" 12 (12): 2016

      24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Class Catalog"

      25 D’Ignazio, C., "Bloomberg Data for Good Exchange 2015" 2015

      26 Data Journalism Handbook, "Become Data Literate in 3 Simple Steps"

      27 Emily, P. F., "Academic librarians in data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 a case study in meteorology" 77 (77): 536-552,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