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최근 형사소송법의 개정으로 도입된 전문심리위원제도 중 특히 심리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형사사건의 재판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73192
2010
Korean
350
KCI등재
학술저널
137-160(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최근 형사소송법의 개정으로 도입된 전문심리위원제도 중 특히 심리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형사사건의 재판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하...
본 논문에서는 최근 형사소송법의 개정으로 도입된 전문심리위원제도 중 특히 심리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형사사건의 재판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단 형사절차에서의 전문심리위원들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외국의 유사제도와 비교하여 보았다. 다음으로는 현재 형사사건의 전문심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3인이 개입된 43건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실질적으로 전문심리위원들의 의견이 재판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보았다. 빈도분석 결과, 성폭력사건과 살인사건에서 전문심리위원들의 의견 개진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성폭력사건은 재범과 치료가능성을, 살인사건은 범행전후의 심리상태에 대해 감정을 요구하였다. 43건의 항소심 결과, 전문심리위원들의 의견은 판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과 독일의 경찰간부후보생 교육훈련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