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초자치단체장 정당공천폐지와 반부패전략 = Anti-Corruption Strategy and Abolition of Party Nomination for Lower Level Local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398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4년 6월 4일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은 기초자치선거의 정당공천폐지였다. 한국에서 전국동시지방선거 여섯 번을 치루는 동안 선거부패가 심각하였다. 최근까지의 연구결...

      2014년 6월 4일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은 기초자치선거의 정당공천폐지였다. 한국에서 전국동시지방선거 여섯 번을 치루는 동안 선거부패가 심각하였다. 최근까지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기초자치단체장들의 중요한 부패요인은 왜곡된 선거제도라고 나타났다. 그 중에 정당공천제의 하향식공천과 공천헌금이 부패요인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조사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주의가 강한 정당의 특징이 있기에 일부 지역에서는 특정 정당의 공천만 받으면 지방선거에서 당선이 되는 독특한 정치구조이다. 이로 인해 많은 폐해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 정당공천제의 장ㆍ단점 비교와 일반국민들과 정치인, 전문가의 의견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가 선진화된 민주정치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인 정당공천폐지와 반부패전략을 제시하려고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iggest concern in the upcoming local election on June 4, 2014 is the abolition of party nomination in local government elections. South Korea faces the sixth nationwide local election on top of the research findings until recently that point to t...

      The biggest concern in the upcoming local election on June 4, 2014 is the abolition of party nomination in local government elections. South Korea faces the sixth nationwide local election on top of the research findings until recently that point to the distorted election system as the most important corruption factor of local government leaders. The biggest causes turned out to be the top-down nomination and nomination offerings of the party nomination system.
      Noted for the strong regionalism among political parties, South Korea is characterized by a peculiar political structure under which candidates can win in a local election in certain regions as long as they have been nominated by a certain party. It has so far brought about seriously harmful consequences. In an attempt to help to resolve those problems,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current party nomination system and compare and analyze opinions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politicians and exper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would propose the abolition of party nomination and anti-corruption strategies necessary to implement advanced democratic politics in Sou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 Ⅲ. 기초자치단체장의 부패
      • Ⅳ. 기초지방선거 공천폐지에 대한 여론분석결과 및 반부패전략
      • 국문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 Ⅲ. 기초자치단체장의 부패
      • Ⅳ. 기초지방선거 공천폐지에 대한 여론분석결과 및 반부패전략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아란, "지역주의와 지방자치:기초자치단체장의 정당공천" 한국행정학회 36 (36): 129-143, 2002

      2 최승범, "지방정치의 민주성과 지방행정의 책임성 확보를 위한 내적 조건" 정부학연구소 8 (8): 6-200, 2002

      3 "지방자치법"

      4 안광현,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인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7

      5 오수길, "지방자치단체장의 매니페스토 이행과 시민참여적 성과관리 :시민참여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5-24, 2010

      6 김성호, "지방자치단체의 부패방지체계와 개선방안, In 부패방지와 신뢰정부 구축" 27-52, 2003

      7 김흥주, "지방자치단체 반부패정책 확산의 영향에 관한 연구 -공직자 부조리 신고포상금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8 (18): 55-88, 2013

      8 정세욱, "지방자치 10년의 평가와 과제" 미래한국재단 202 : 2005

      9 김종웅, "지방선거의 정당공천제에 관한 연구 : 기초의회의원의 효과성 인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05

      10 김봉준, "지방선거의 정당공천제에 관한 논의" 대한지방자치학회 10 (10): 53-72, 2008

      1 황아란, "지역주의와 지방자치:기초자치단체장의 정당공천" 한국행정학회 36 (36): 129-143, 2002

      2 최승범, "지방정치의 민주성과 지방행정의 책임성 확보를 위한 내적 조건" 정부학연구소 8 (8): 6-200, 2002

      3 "지방자치법"

      4 안광현,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인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7

      5 오수길, "지방자치단체장의 매니페스토 이행과 시민참여적 성과관리 :시민참여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5-24, 2010

      6 김성호, "지방자치단체의 부패방지체계와 개선방안, In 부패방지와 신뢰정부 구축" 27-52, 2003

      7 김흥주, "지방자치단체 반부패정책 확산의 영향에 관한 연구 -공직자 부조리 신고포상금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8 (18): 55-88, 2013

      8 정세욱, "지방자치 10년의 평가와 과제" 미래한국재단 202 : 2005

      9 김종웅, "지방선거의 정당공천제에 관한 연구 : 기초의회의원의 효과성 인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05

      10 김봉준, "지방선거의 정당공천제에 관한 논의" 대한지방자치학회 10 (10): 53-72, 2008

      11 이기우, "지방선거와 정당참여" 지방행정연구소 210 : 2005

      12 박재욱,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와 경선제 -5.31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9 (9): 336-359, 2006

      13 안광현,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부패와 개선방안: 자치단체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5 (15): 37-61, 2010

      14 허철행, "지방선거에 있어서 정당공천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233-251, 2011

      15 주용학, "지방선거에 있어서 기초단체장의 정당공천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14 (14): 2002

      16 육동일, "지방선거 정당공천제의 한계와 과제 - 지방의회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18 (18): 5-26, 2006

      17 육동일, "지방선거 정당공천제의 평가와 과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

      18 유현종, "지방선거 매니페스토 제도 도입의 실효성 평가 : 지방정부 예산구조 변화 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255-279, 2011

      19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중앙선거관리보 제66호"

      2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선거구 및 의원정수현황"

      21 "정치자금에 관한법률"

      22 안광현, "자치단체장의 부패사례연구" 한국부패학회 14 (14): 65-88, 2009

      23 자치의정, "일본 지방자치 동향"

      24 안광현, "세계화와 한국지방자치론" 청목출판사 2013

      25 김영종, "부패학" 숭실대학교 출판부 2001

      26 임승빈, "민선자치단체장의 바람직한 역할정립을 위한 제도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6

      27 주용학, "민선4기 지방선거 결과 분석 및 정책적 함의 - 기초단체장의 정당공천제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19 (19): 29-51, 2007

      28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2014

      29 안광현, "기초자치단체장의 부패유발요인과 반부패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부패학회 12 (12): 201-222, 2007

      30 최창수, "기초의회의원의 정치적 태도와 정당공천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179-199, 2007

      31 정세욱, "기초단체장선거 정당공천제 바람직한가?" 2002

      32 국민권익위원회, "국민권익백서" 2013

      33 이승종, "개정선거법에 대한 논평" 한국자치발전연구원 124 : 2005

      34 Holli, M. G., "The American Mayor: The Best & The Worst Big-City Leaders"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9

      35 Dye, "Politics in States and Communities" Pearson Prentice Hall 2009

      36 Kim, Young Jong, "New Korea Public Administration & Corruption Studies" HyungSeul Press 2003

      37 Byrne, Tony, "Local Government in Britain" Penguin Books 1990

      38 Charles R. Adrian, "Form of City Government in American History, in the Municipal Yearbook"

      39 Frederickson, H. George, "Ethics and Public Administration" M. E. Sharpe 1993

      40 이곤수, "6.2 지방선거의 현직효과: 경기도와 경상남도 도지사선거의 비교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365-371, 2010

      41 김광주, "5.31지방선거의 분석과 정책과제" 대한정치학회 14 (14): 155-176,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