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A Study of Guidelines for Genetic Counseling in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7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착상전 유전진단(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은 유전질환을 가진 부부들을 대상으로 체외수정을 통해 획득한 배아에서 유전진단을 하는 방법이다. 다양한 유전질환을 가진 부부에게 그 질환에 맞는 PGD의 설계가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PGD 시행 전 유전상담을 시행하는 것은 PGD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PGD 시행 시 필요한 유전상담의 내용에 대해 환자 및 가족과 전문가의 구체적인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PGD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2010년 2월 3일부터 4월 30일까지 PGD를 실시 또는 실시 예정인 부부들과 PGD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환자 60명과 전문가 31명을 포함하여 총 91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으며, 환자들은 염색체 이상 질환 49명(81.7%)과 단일유전자 이상 질환 11명(18.3%)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환자와 전문가 모두 유전상담이 PGD의 의료서비스 일환으로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환자의 충분한 이해를위하여 필요한 유전상담의 시간에 대해 환자와 가족 그리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결과, 각각 45명(75.0%)과 23명(74.2%)이 적정한 유전상담시간을 30분 이상이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현 의료시스템에서는 짧은 진료시간 내 진료와 유전상담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환자에게 완벽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가 그룹에서는 진료시간의 부족과 유전질환의 정보 부족이 유전상담의 어려운 점이라고 답하였으며, 이에 비 의사(non-MD) 전문유전상담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30명(96.7%)으로 높게 나타났다. 환자와 가족들은 PGD 시술 시 예기치 못한 결과의 가능성, 환자가 가진 유전질환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선택사항, 환자가 가지고 있는 유전질환의 위험도 평가, 유전자 검사 시 검사의 목적설명 및 검사기술의 한계점과 오진률의 설명, PGD시술 전반에 관한 기술적인 정보 등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더 자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전문가의견 역시 환자 및 가족이 관심 있고 자세한 설명을 원하는 정보와 대부분 일치하였다. 이에 따라 환자의 요구와 의견으로 나타난 위의 결과들을 향후 PGD를 위한 유전상담의 지침(guide-line) 구축 시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유전진단과 생식의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PGD의 적용과 효율성 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PGD를 시행함에 있어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유전상담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가 향후 PGD를 위한 유전상담 지침서(guideline)에 반영되어 적절한 PGD의 설계, 실시, 사후 관리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목적 : 착상전 유전진단(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은 유전질환을 가진 부부들을 대상으로 체외수정을 통해 획득한 배아에서 유전진단을 하는 방법이다. 다양한 유전질환을 가진 부부에...

      목적 : 착상전 유전진단(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은 유전질환을 가진 부부들을 대상으로 체외수정을 통해 획득한 배아에서 유전진단을 하는 방법이다. 다양한 유전질환을 가진 부부에게 그 질환에 맞는 PGD의 설계가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PGD 시행 전 유전상담을 시행하는 것은 PGD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PGD 시행 시 필요한 유전상담의 내용에 대해 환자 및 가족과 전문가의 구체적인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PGD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2010년 2월 3일부터 4월 30일까지 PGD를 실시 또는 실시 예정인 부부들과 PGD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환자 60명과 전문가 31명을 포함하여 총 91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으며, 환자들은 염색체 이상 질환 49명(81.7%)과 단일유전자 이상 질환 11명(18.3%)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환자와 전문가 모두 유전상담이 PGD의 의료서비스 일환으로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환자의 충분한 이해를위하여 필요한 유전상담의 시간에 대해 환자와 가족 그리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결과, 각각 45명(75.0%)과 23명(74.2%)이 적정한 유전상담시간을 30분 이상이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현 의료시스템에서는 짧은 진료시간 내 진료와 유전상담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환자에게 완벽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가 그룹에서는 진료시간의 부족과 유전질환의 정보 부족이 유전상담의 어려운 점이라고 답하였으며, 이에 비 의사(non-MD) 전문유전상담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30명(96.7%)으로 높게 나타났다. 환자와 가족들은 PGD 시술 시 예기치 못한 결과의 가능성, 환자가 가진 유전질환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선택사항, 환자가 가지고 있는 유전질환의 위험도 평가, 유전자 검사 시 검사의 목적설명 및 검사기술의 한계점과 오진률의 설명, PGD시술 전반에 관한 기술적인 정보 등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더 자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전문가의견 역시 환자 및 가족이 관심 있고 자세한 설명을 원하는 정보와 대부분 일치하였다. 이에 따라 환자의 요구와 의견으로 나타난 위의 결과들을 향후 PGD를 위한 유전상담의 지침(guide-line) 구축 시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유전진단과 생식의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PGD의 적용과 효율성 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PGD를 시행함에 있어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유전상담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가 향후 PGD를 위한 유전상담 지침서(guideline)에 반영되어 적절한 PGD의 설계, 실시, 사후 관리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also known as embryo screening, is a pre-pregnancy technique used to identify genetic defects in embryos created through in vitro fertilization. PGD is considered a means of prenatal diagnosis of genetic abnormalities. PGD is used when one or both genetic parents has a known genetic abnormality; testing is performed on an embryo to determine if it also carries the genetic abnormality. The main advantage of PGD is the avoidance of selective pregnancy termination as it imparts a high likelihood that the baby will be free of the disease under consideration. The application of PGD to genetic practices, reproductive medicine, and genetic counseling is becoming the key component of fertility practice because of the need to develop a custom PGD design for each couple.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a survey on the contents of genetic counseling in PGD was carried out via direct contact or e-mail with the patients and specialists who had experienced PGD during the three months from February to April 2010.
      Results: A total of 91 persons including 60 patients, 49 of whom had a chromosomal disorder and 11 of whom had a single gene disorder, and 31 PGD specialists responded to the survey.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all respondent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genetic counseling in all steps of PGD including planning, operation, and follow-up. The patient group responded that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results (51.7%), genetic risk assessment and recurrence risk (46.7%), the reproduction options (46.7%), the procedure and limitation of PGD (43.3%) and the information of PGD technology (35.0%) should be included as a genetic counseling information. In detail, 51.7% of patients wanted to be counseled for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results and the recurrence risk, while 46.7% wanted to know their reproduction options (46.7%). Approximately 96.7% of specialists replied that a non-M.D. genetic counselor is necessary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genetic counseling in PGD because it is difficult for physicians to offer satisfying information to patients due to lack of counseling time and specific knowledge of the disorders.
      Conclusions: The information from the survey provides important insight into the overall present situation of genetic counseling for PGD in Korea. The survey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general awareness that genetic counseling is essential for PGD, suggesting that appropriate genetic counseling may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PGD. The establishment of genetic counseling guidelines for PGD may contribute to better plann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PGD.
      번역하기

      Purpose: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also known as embryo screening, is a pre-pregnancy technique used to identify genetic defects in embryos created through in vitro fertilization. PGD is considered a means of prenatal diagnosis of genet...

      Purpose: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also known as embryo screening, is a pre-pregnancy technique used to identify genetic defects in embryos created through in vitro fertilization. PGD is considered a means of prenatal diagnosis of genetic abnormalities. PGD is used when one or both genetic parents has a known genetic abnormality; testing is performed on an embryo to determine if it also carries the genetic abnormality. The main advantage of PGD is the avoidance of selective pregnancy termination as it imparts a high likelihood that the baby will be free of the disease under consideration. The application of PGD to genetic practices, reproductive medicine, and genetic counseling is becoming the key component of fertility practice because of the need to develop a custom PGD design for each couple.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a survey on the contents of genetic counseling in PGD was carried out via direct contact or e-mail with the patients and specialists who had experienced PGD during the three months from February to April 2010.
      Results: A total of 91 persons including 60 patients, 49 of whom had a chromosomal disorder and 11 of whom had a single gene disorder, and 31 PGD specialists responded to the survey.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all respondent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genetic counseling in all steps of PGD including planning, operation, and follow-up. The patient group responded that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results (51.7%), genetic risk assessment and recurrence risk (46.7%), the reproduction options (46.7%), the procedure and limitation of PGD (43.3%) and the information of PGD technology (35.0%) should be included as a genetic counseling information. In detail, 51.7% of patients wanted to be counseled for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results and the recurrence risk, while 46.7% wanted to know their reproduction options (46.7%). Approximately 96.7% of specialists replied that a non-M.D. genetic counselor is necessary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genetic counseling in PGD because it is difficult for physicians to offer satisfying information to patients due to lack of counseling time and specific knowledge of the disorders.
      Conclusions: The information from the survey provides important insight into the overall present situation of genetic counseling for PGD in Korea. The survey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general awareness that genetic counseling is essential for PGD, suggesting that appropriate genetic counseling may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PGD. The establishment of genetic counseling guidelines for PGD may contribute to better plann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PG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국문초록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국문초록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영, "착상전 유전진단의 임상적 적용" 대한생식의학회 35 (35): 19-38, 2008

      2 Soini S, "The interface betwee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genetics: technical, social, ethical and legal issues" 4 : 588-645, 2006

      3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International Society, "The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International Society (PGDIS): Guidelines for good practice in PGD" 9 : 430-434, 2004

      4 Shenfield F, "Taskforce 5: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18 : 649-651, 2003

      5 Aittomaki K, "Safety issues in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should ICSI patients have genetic testing before treatment? A practical proposition to help patient information" 19 : 472-476, 2004

      6 Lee HS,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for single gene disorders" 6 : 131-145, 2009

      7 Platteau P,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for aneuploidy screening in women older than 37 years" 84 : 319-324, 2005

      8 Munne S,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and human implantation-A Review" 24 : S70-S76, 2003

      9 Sermon K,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363 : 1633-1641, 2004

      10 Shiloh S, "Perception of risk in genetic counselling" 3 : 45-61, 1989

      1 김진영, "착상전 유전진단의 임상적 적용" 대한생식의학회 35 (35): 19-38, 2008

      2 Soini S, "The interface betwee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genetics: technical, social, ethical and legal issues" 4 : 588-645, 2006

      3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International Society, "The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International Society (PGDIS): Guidelines for good practice in PGD" 9 : 430-434, 2004

      4 Shenfield F, "Taskforce 5: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18 : 649-651, 2003

      5 Aittomaki K, "Safety issues in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should ICSI patients have genetic testing before treatment? A practical proposition to help patient information" 19 : 472-476, 2004

      6 Lee HS,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for single gene disorders" 6 : 131-145, 2009

      7 Platteau P,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for aneuploidy screening in women older than 37 years" 84 : 319-324, 2005

      8 Munne S,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and human implantation-A Review" 24 : S70-S76, 2003

      9 Sermon K,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363 : 1633-1641, 2004

      10 Shiloh S, "Perception of risk in genetic counselling" 3 : 45-61, 1989

      11 이형송, "Ornithine transcarbamylase (OTC) 효소결핍증, 수포성표피박리증 및 lactic acidosis 가계에서 duplex nestedPCR 방법을 이용한 착상전 유전진단:OTC 효소결핍증 가계에서의 정상아 임신 및 출산" 대한산부인과학회 47 (47): 708-718, 2004

      12 Chung YS, "National survey for genetic counseling and demands for professional genetic counselor" 4 : 167-178, 2007

      13 Katz MG, "Issues and concerns of couples presenting for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22 : 1117-1122, 2002

      14 Kim HJ, "Genetic counseling in Korean health care system" 3 : 1-5, 2007

      15 Kim HJ, "Genetic counseling" 21 : 473-477, 2003

      16 Lim CK, "Efficacy and clinical outcome of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using FISH for couples of reciprocal and Robertsonian translocations: the Korean experience" 24 : 556-561, 2004

      17 Thornhill AR, "ESHRE PGD Consortium‘'Best practice guidelines for clinical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and preimplantation genetic screening (PGS)'" 20 : 35-48, 2005

      18 Goossens V, "ESHRE PGD Consortium data collection IX: cycle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with pregnancy follow-up to October 2007" 24 : 1786-1810, 2009

      19 Staessen C, "Comparison of blastocyst transfer with or without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for aneuploidy screening in couples with advanced maternal age: a prospective" 19 : 2849-2858, 2004

      20 Kim HJ, "Challenge of personalized medicine in the genomic era" 5 : 89-9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의학유전학회지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7-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3 0.05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