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뉴 미디어 <미스터 션샤인>을 활용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병행적 학습 모형 연구 - 가치 문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rallel Learning Model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New Media < Mr. Sunshine > -Focused on the value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60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utility and utilization of new media in the digital environment, paying attention to the popular culture produ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 Mr. Sunshine >. According to this goal, lingui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utility and utilization of new media in the digital environment, paying attention to the popular culture produ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 Mr. Sunshine >.
      According to this goal, linguistic informatics as a quantitative study and text interpretative method as a qualitative study were applied to verify the educational utility of < Mr. Sunshine > as a media text and to present a specific classroom teaching model based on this data.
      The Korean value culture education plan considering the learner characteristics of Koreans, foreigners, and overseas Koreans was constructed as a class model and data. This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ontinuous need for research on ways to present interpretation and critique of media content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use it educationally. (Yonsei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tewart Hall, "현대성과현대문화" 현실문화연구 2001

      2 최기숙, "한국학과 감성 교육-시각, 문화, 현장" 앨피 2018

      3 강현화, "한국인의 가치문화 교수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3 (3): 85-115, 2007

      4 김해옥, "한국문화 교육의 위계화 방안 연구 -문화 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언어정보연구원 35 : 183-204, 2015

      5 김해옥, "학습자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학문 및 취업 목적 학습자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41-71, 2018

      6 김해옥,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읽기" 애피스테메 2010

      7 빅토리아 D·알렉산더, "예술 사회학" 살림 2010

      8 김영순, "영상미디어 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9 파트리스 파비스, "수행성과 매체성: 21세기 인문학의 쟁점" 푸른사상 2012

      10 Geerts Hofstede, "세계의 문화와 조직" 학지사 1995

      1 Stewart Hall, "현대성과현대문화" 현실문화연구 2001

      2 최기숙, "한국학과 감성 교육-시각, 문화, 현장" 앨피 2018

      3 강현화, "한국인의 가치문화 교수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3 (3): 85-115, 2007

      4 김해옥, "한국문화 교육의 위계화 방안 연구 -문화 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언어정보연구원 35 : 183-204, 2015

      5 김해옥, "학습자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학문 및 취업 목적 학습자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41-71, 2018

      6 김해옥,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읽기" 애피스테메 2010

      7 빅토리아 D·알렉산더, "예술 사회학" 살림 2010

      8 김영순, "영상미디어 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9 파트리스 파비스, "수행성과 매체성: 21세기 인문학의 쟁점" 푸른사상 2012

      10 Geerts Hofstede, "세계의 문화와 조직" 학지사 1995

      11 데이비드 버킹엄, "미디어 교육 -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현대문화" jNBook 2004

      12 문혜성, "미디어 교육"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4

      13 일레인, "문화코드-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 2017

      14 필립 스미스, "문화이론" 이학사 2008

      15 존 스토리,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실문화연구 1994

      16 Moran, P. R., "문화 교육" 경문사 2004

      17 김해옥, "디지털 환경과 대중 매체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2019

      18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2017

      19 황선미, "대만 한류의 한계 ― <미스터 션샤인> PTT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학회 (49) : 59-78, 2020

      20 정현선, "다매체 시대의 국어교육과 문화 교육" 역락 2004

      21 김형준, "뉴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8

      22 "넷플릭스 <미스텨 션샤인> 24회 영상과 대본, 유튜브 <미스터 션샤인>편집본 영상"

      23 Heinle & Heinle, "The rise of the novel : studies in Defoe, Richardson and Field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24 Hadley, A O, "Teaching language in context" 2001

      25 Sandra M. Fowler, "Intercultural Source book: Cross – Cultural Training Methods, 2" Intercultural press 1999

      26 Eli Hinkel, "Culture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7 이영미, "<미스터 션샤인> 맥락 잡기" 273-274, 2018

      28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19 해외한류실태조사" 2019

      29 정혜경, "2010년대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국가와 개인의 감정구조—<태양의 후예>(2016)와 <미스터션샤인>(2018)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5 (25): 123-161,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5 1.159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