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재로서의 지역문화예술: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 운용 방안을 중심으로 = ALocal Culture and Arts as Public Goods: Focusing on The Operation Plan of The Local Culture and Arts Coordina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52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공재로서의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발맞춰 정부는 문화기본법, 문화예술진흥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의 문화예술에 관련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정작 지역에서는 문화예술의 사회적 요구를 실천하기 위한 공적 책임과 권한을 갖춘 합법적 전담인력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수도권과 지역의 양극화로 인해 발생하는 수도권 위주의 지원사업, 관과 지역의 예술가와 주민들 간의 문화예술에 대한 협치의 부재, 문화예술 관련 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들의 문제와 한계점 등에 대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지역문화예술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결방안과 함께 지역문화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지역에서 문화예술을 공공재로서 다루고 관리할 수 있는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 제도의 필요성과 그들이 갖춰야 할 필요 역량과 양성방안을 검토하였다.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는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우호적 환경조성, 지역문화예술 조직간 성장 및 네트워크 형성지원, 지역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시스템 구축, 지역문화예술 신규주체 및 의제발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리고 업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크게 4개로 분류하고 그 아래 29개의 소역량으로 구체화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수직적 정책 체계로 이루어졌던 지역문화예술 관련 사업들과 달리 수평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가 활동할 수 있는 중간거점 조직으로써 지역문화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공공재로서의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발맞춰 정부는 문화기본법, 문화예술진흥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의 문화예술에 관련한 제도적 근거를 ...

      공공재로서의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발맞춰 정부는 문화기본법, 문화예술진흥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의 문화예술에 관련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정작 지역에서는 문화예술의 사회적 요구를 실천하기 위한 공적 책임과 권한을 갖춘 합법적 전담인력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수도권과 지역의 양극화로 인해 발생하는 수도권 위주의 지원사업, 관과 지역의 예술가와 주민들 간의 문화예술에 대한 협치의 부재, 문화예술 관련 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들의 문제와 한계점 등에 대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지역문화예술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결방안과 함께 지역문화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지역에서 문화예술을 공공재로서 다루고 관리할 수 있는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 제도의 필요성과 그들이 갖춰야 할 필요 역량과 양성방안을 검토하였다.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는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우호적 환경조성, 지역문화예술 조직간 성장 및 네트워크 형성지원, 지역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시스템 구축, 지역문화예술 신규주체 및 의제발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리고 업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크게 4개로 분류하고 그 아래 29개의 소역량으로 구체화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수직적 정책 체계로 이루어졌던 지역문화예술 관련 사업들과 달리 수평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가 활동할 수 있는 중간거점 조직으로써 지역문화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희섭, "한국시민사회의 자율성과 공공성에 관한 연구" 46 (46): 2007

      2 이선미, "한국 시민사회 지표; 지역공동체활동과 시민사회" 2 (2): 43-76, 2004

      3 "통계청"

      4 권기효, "청년이 지방을 떠나는 진짜 이유"

      5 김종국, "창조경제 관점에서의 문화융성과 문화산업"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2 (12): 7-21, 2016

      6 최준석,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창조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2014

      7 이정은, "지역문화의 실천을 위한 문화매개자의 역할 연구 : 인천의 스페이스빔, 임시공간, 인천스펙타클을 중심으로" 한국지역문화학회 7 (7): 1-29, 2020

      8 마스다 히로야,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연쇄붕괴하는 도시와 지방의 생존전략" 와이즈베리 2015

      9 안덕초 ; 김용근,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연구동향과 이해당사자 내용분석 - KCI 등재 및 등재후보지를 중심으로"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9) : 65-101, 2017

      10 강지선, "예술가 주도 젠트리피케이션의 신화 -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로서 예술가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예술과미디어학회 20 (20): 11-38, 2021

      1 임희섭, "한국시민사회의 자율성과 공공성에 관한 연구" 46 (46): 2007

      2 이선미, "한국 시민사회 지표; 지역공동체활동과 시민사회" 2 (2): 43-76, 2004

      3 "통계청"

      4 권기효, "청년이 지방을 떠나는 진짜 이유"

      5 김종국, "창조경제 관점에서의 문화융성과 문화산업"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2 (12): 7-21, 2016

      6 최준석,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창조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2014

      7 이정은, "지역문화의 실천을 위한 문화매개자의 역할 연구 : 인천의 스페이스빔, 임시공간, 인천스펙타클을 중심으로" 한국지역문화학회 7 (7): 1-29, 2020

      8 마스다 히로야,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연쇄붕괴하는 도시와 지방의 생존전략" 와이즈베리 2015

      9 안덕초 ; 김용근,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연구동향과 이해당사자 내용분석 - KCI 등재 및 등재후보지를 중심으로"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9) : 65-101, 2017

      10 강지선, "예술가 주도 젠트리피케이션의 신화 -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로서 예술가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예술과미디어학회 20 (20): 11-38, 2021

      1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연구보고서 지역 공공인재 양성과 임용 확대 방안" 2022

      12 강윤주 ; 심보선, "생활예술공동체 내 문화매개자의 역할 분석: 인천 ‘문화바람’의 경우" 비판사회학회 (100) : 335-373, 2013

      13 배채윤,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개념에 의한 문화예술공동체 연구" 5 (5): 39-62, 2012

      14 김희석, "박근혜 정부의 순수예술분야 지원정책 - ‘문화융성’의 예산 반영도 고찰 -"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9 (9): 29-59, 2016

      15 이용관, "문화콘텐츠산업을 통한 창조경제 구현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3

      16 필립 스미스, "문화이론: 사회학적 접근" 이학사 2012

      17 김창규, "문화융성 및 창조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문화재 법정책 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4 (14): 551-571, 2014

      18 이정연,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668-680, 2021

      19 문희원,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연구동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13 (13): 71-101, 2020

      20 지영호 ; 민지은,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문화매개’ 및 ‘문화매개자’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9 (29): 28-49, 2015

      21 이상길,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 매스미디어에서 온라인 미디어까지" 한국언론정보학회 52 (52): 154-176, 2010

      22 김은경, "도시문화프로젝트 : 통영 동피랑 벽화마을" 47 (47): 60-63, 2012

      23 조남규 ; 최자인, "국내 문화예술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생태계 현황 및 사례 비교 분석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37 (37): 39-54, 2020

      24 박상준, "공적 시민성의 육성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방안 - 시민사회의 활성화 측면에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11-28, 2012

      25 최지영 ; 김현지, "감천문화마을의 지역 문화마케팅이 지역 브랜드 자산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167-191, 2017

      26 권평이 ; 김진희, "감천문화마을 주민의 문화욕구 탐색:의미사용이론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4) : 1-26, 2016

      27 최은경, "‘창조경제’와 ‘문화 융성’이 조응하는 경제발전주의에 관한 탐구" 한국문화경제학회 18 (18): 181-207, 2015

      28 한국고용정보원, "‘22년 3월, 전국 시군구 2곳 중 1곳은 소멸위험지역- 통영, 포천, 충주 등 11곳 기초지자체, 신규 소멸위험 진입… 일자리를 중심으로 대안적 전략 마련이 시급"

      29 문화체육관광부, "2021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