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文化史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275510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韓國放送通信大學出版部, 1983

      • 발행연도

        198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09 판사항(3)

      • DDC

        909 판사항(19)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文化史 / 羅鍾一; 閔錫泓; 尹世哲 共著

      • 기타서명

        韓國放送通信大學敎材

      • 형태사항

        xiv,376p.,접지2장; 26cm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공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나노생명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지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농학도서관 Deep Link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수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부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국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先史時代의 人類生活 / 羅鐘一
      • 1.1 人類의 起源 = 1
      • 1.2 舊石器時代人의 生活 = 4
      • 1.3 新石器革命 = 7
      • 목차
      • 제1장 先史時代의 人類生活 / 羅鐘一
      • 1.1 人類의 起源 = 1
      • 1.2 舊石器時代人의 生活 = 4
      • 1.3 新石器革命 = 7
      • 제2장 오리엔트文明 / 羅鐘一
      • 2.1 文明의 誕生 = 9
      • 2.2 오리엔트社會와 文化 = 12
      • 2.3 東部地中海 沿岸國家 = 17
      • 제3장 아시아文化의 成立 / 尹世哲
      • 3.1 印度의 古代文化 = 22
      • 3.1.1 인더스文明 = 22
      • 3.1.2 아리아族의 社會 = 24
      • 3.1.3 브라만社會 = 26
      • 3.2 印度의 統一과 古代文化의 發達 = 28
      • 3.2.1 佛敎의 일어남 = 28
      • 3.2.2 마우리아王朝의 統一 = 29
      • 3.2.3 東西文化의 交流 = 31
      • 3.2.4 佛敎의 갈림과 힌두敎 = 32
      • 3.3 中國의 古代文化 = 33
      • 3.3.1 黃河文明의 시작 = 33
      • 3.3.2 중국역사의 시작 : 殷 · 周 = 35
      • 3.3.3 春秋戰國時代 = 36
      • 3.3.4 中國歷史의 搖籃 = 38
      • 제4장 西洋의 古典文化
      • 4.1 그리이스의 폴리스文化 = 40
      • 4.1.1 에게文明 = 40
      • 4.1.2 폴리스의 成立과 發展 = 43
      • 4.1.3 스파르타와 아테네 = 47
      • 4.1.4 페르시아戰爭과 그리이스文化 = 50
      • 4.1.5 알렉산더의 帝國과 헬레니즘文化 = 53
      • 4.2 로마의 地中海世界 統一 = 55
      • 4.2.1 로마의 建國과 發展 = 55
      • 4.2.2 로마의 地中海世界 統一 = 59
      • 4.2.3 로마의 平和와 文化 = 62
      • 4.2.4 그리스도敎의 發展과 로마의 沒落 = 64
      • 제5장 西洋 中世社會의 成立 / 羅鐘一
      • 5.1 西유럽世界의 形成 = 69
      • 5.1.1 게르만族의 移動 = 69
      • 5.1.2 프랑크王國과 로마 카톨릭敎會 = 72
      • 5.2 西유럽의 封建社會 = 75
      • 5.3 중世 敎會勢力의 伸張 = 83
      • 5.4 비잔틴帝國 = 85
      • 5.5 이슬람世界의 成長 = 89
      • 5.5.1 이슬람敎의 成立 = 89
      • 5.5.2 이슬람帝國의 盛衰 = 91
      • 5.5.3 이슬람文化 = 93
      • 제6장 西유럽 중세사회의 변화 / 羅鐘一
      • 6.1 十字軍과 都市의 發達 = 97
      • 6.1.1 十字軍 = 97
      • 6.1.2 商工業과 都市의 發達 = 100
      • 6.2 中世 유럽人의 生活과 文化 = 104
      • 6.3 유럽 中世社會의 沒落 = 111
      • 6.3.1 敎會勢力의 衰退 = 111
      • 6.3.2 社會經濟的 變化 = 112
      • 6.3.3 中央集權的 民族國家의 形成 = 115
      • 제7장 아시아文化의 發展 / 尹世哲
      • 7.1 印度의 中世社會와 文化 = 120
      • 7.1.1 굽타王朝의 統一과 文化 = 120
      • 7.1.2 印度文化圈의 成立 = 122
      • 7.1.3 印度의 이슬람化 = 124
      • 7.2 秦·漢帝國의 社會와 文化 = 127
      • 7.2.1 統一帝國 ; 秦 = 127
      • 7.2.2 漢帝國과 儒敎主義의 成立 = 128
      • 7.2.3 後漢의 豪族社會 = 131
      • 7.2.4 漢代의 社會와 文化 = 132
      • 7.3 分裂과 變化의 時代 = 133
      • 7.3.1 三國의 鼎立과 晋의統一 = 133
      • 7.3.2 北方民族의 侵入과 南北對立 = 135
      • 7.3.3 南北朝의 社會와 經濟 = 136
      • 7.3.4 南北朝의 文化 = 137
      • 7.3.5. 王朝循環과 正統論 = 139
      • 7.4 隨·唐의 再統一과 그 文化 = 140
      • 7.4.1 隋의 統一 = 140
      • 7.4.2 唐帝國의 發展 = 141
      • 7.4.3 唐의 社會와 經제 = 143
      • 7.4.4 東아시아文化圈의 成立 = 145
      • 7.4.5 唐大의 文化 = 146
      • 7.5 아시아 여러 나라 = 150
      • 7.5.1 日本의 發展 = 148
      • 7.5.2 東南아시아 여러 나라 = 150
      • 7.5.3 中國의 周邊 = 152
      • 제8장 近代 유럽社會의 誕生 / 羅鐘一
      • 8.1 르네상스의 意味 = 156
      • 8.1.1 르네상스의 意味 = 156
      • 8.1.2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背景 = 158
      • 8.1.3 이탈리아에서의 人文主義 = 160
      • 8.1.4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美術 = 162
      • 8.1.5 北部유럽의 르네상스 = 165
      • 8.2 유럽세계의 擴大 = 168
      • 8.2.1 地理上의 發見의 動機와 背景 = 168
      • 8.2.2 地理上의 發見의 經過 = 171
      • 8.2.3 地理上의 發見의 結果 = 174
      • 8.3 宗敎改革 = 175
      • 8.3.1 宗敎改革의 性格 = 175
      • 8.3.2 宗敎改革의 背景과 原因 = 176
      • 8.3.3 루터의 宗敎改革 = 179
      • 8.3.4 캘비니즘(Caluinsim)과 英國敎會의 成立 = 181
      • 8.3.5 카톨릭 宗敎改革 = 182
      • 제9장 絶對主義와와 民主主義 / 閔錫泓
      • 9.1 絶對主義와 그 政治 = 185
      • 9.1.1 絶對主義의 性格 = 185
      • 9.1.2 重商主義와 資本主義의 發展 = 187
      • 9.1.3 포르투갈과 스페인 = 189
      • 9.1.4 네덜란드의 獨立 = 191
      • 9.1.5 프랑스의 絶對主義 = 191
      • 9.1.6 프러시아와 러시아 = 193
      • 9.2 英國의 絶對主義와 革命 = 196
      • 9.2.1 英國의 絶對主義 = 196
      • 9.2.2 革命으로의 길 = 197
      • 9.2.3 淸敎徒革明 = 197
      • 9.2.4 名譽革名 = 199
      • 9.3 17·18世紀의 文化 = 200
      • 9.3.1 바로크藝術과 文學 = 200
      • 9.3.2 近代科學과 近代哲學의 成立 = 201
      • 9.3.3 政治思想의 發展 = 202
      • 9.3.4 啓蒙思想과 經濟思想 = 204
      • 9.4 美國革命과 프랑스革命 = 206
      • 9.4.1 美國革命의 原因 = 208
      • 9.4.2 獨立革命의 原因 = 206
      • 9.4.3 프랑스革命의 原因 = 208
      • 9.4.4 프랑스革命의 經緯와 意義 = 210
      • 9.4.5 나폴레옹時代 = 212
      • 제10장 近代社會와 文化의 成熟 / 閔錫泓
      • 10.1 産業革命 = 216
      • 10.1.1 産業革命이란 = 216
      • 10.1.2 産業革命의 배景 = 217
      • 10.1.3 機械의 發明과 技術의 革新 = 218
      • 10.1.4 産業革命의 結果 = 219
      • 10.2 自由主義의 發展 = 221
      • 10.2.1 메테르니히體制 = 221
      • 10.2.2 라틴 아메리카의 獨立 = 222
      • 10.2.3 그리이스의 獨立 = 223
      • 10.2.4 7月革命 = 223
      • 10.2.5 英國의 改革 = 225
      • 10.2.6 2月革命 = 228
      • 10.3 民族主義와 國民國家의 發展 = 230
      • 10.3.1 프랑스의 第二帝政 = 230
      • 10.3.2 이탈리아의 統一 = 231
      • 10.3.3 독일帝國의 建設 = 233
      • 10.3.4 美國의 發展 = 236
      • 10.3.5 러시아의 發展 = 238
      • 10.4 近代文化의 成熟 = 241
      • 10.4.1 自然科學의 發達 = 241
      • 10.4.2 社會科學의 發達 = 242
      • 10.4.3 文學과 藝術 = 243
      • 10.4.4 社會主義와 勞動運動 = 244
      • 제11장 아시아文化의 成熟 / 尹世哲
      • 11.1 宋代의 새로운 傾向 = 247
      • 11.1.1 唐末·五代의 社會的 變化 = 247
      • 11.1.2 宋代의 皇帝中心政治 = 248
      • 11.1.3 王安石의 改革 = 250
      • 11.1.4 宋代의 社會와 經濟 = 253
      • 11.1.5 宋代의 文化 = 254
      • 11.2 征服王朝 = 256
      • 11.2.1 征服王朝 理論 = 256
      • 11.2.2 契丹(遼)의 社會와 文化 = 258
      • 11.2.3 西夏 = 260
      • 11.2.4 女眞(金)帝國 = 261
      • 11.3 蒙古(元)의 中國支配와 東西文化敎流 = 263
      • 11.3.1 蒙古帝國의 發展 = 263
      • 11.3.2 蒙古의 中國支配 = 266
      • 11.3.3 蒙古 支配下의 社會相 = 268
      • 11.3.4 蒙古帝國의 文化 = 269
      • 11.3.5 東西文化의 交流 = 270
      • 11.3.6 아시아 여러 나라의 發展 = 273
      • 11.4 明·淸代의 社會와 文化 = 278
      • 11.4.1 明의 建國 = 278
      • 11.4.2 明의 對外發展 = 280
      • 11.4.3 淸의 建國 = 282
      • 11.4.4 滿洲族의 中國支配 = 284
      • 11.4.5 明·淸의 社會와 經濟 = 285
      • 11.4.6 明·淸의 文化 = 288
      • 제12장 西洋의 進出과 아시아諸國의 對應 / 尹世哲
      • 12.1 西洋勢力의 아시아 進出 = 291
      • 12.1.1 포르투갈과 스페인 = 291
      • 12.1.2 네덜란드·영국 기타 여러 나라의 東方進出 = 292
      • 12.1.3 中國의 門戶開방-阿片戰爭 = 296
      • 12.1.4 太平天國과 애로우號事件 = 297
      • 12.1.5 淸의 近代化運動 = 300
      • 12.1.6 明治維新 = 301
      • 12.2 印度와 西아시아의 近代化 = 303
      • 12.2.1 印度의 近代化運動 = 303
      • 12.2.3 西아시아의 近代化 = 304
      • 제13장 帝國主義와 第1次 世界大戰 / 閔錫泓 ; 尹世哲
      • 13.1 帝國主義와 世界分割 = 307
      • 13.1.1 帝國主義와 世界分割 = 307
      • 13.1.2 아프리카의 分割 = 308
      • 13.1.3 太平洋의 分割과 美國의 進出 = 310
      • 13.2 아시아의 民族運動 = 310
      • 13.2.1 中國의 半植民化 = 311
      • 13.2.2 辛亥革明과 5·4運動 = 312
      • 13.2.3 東南아시아의 民族運動 = 315
      • 13.2.4 印度의 民族運動 = 317
      • 13.2.5 西아시아의 여러 나라의 民族運動 = 318
      • 13.3 同盟과 協商의 對立 = 320
      • 13.3.1 비스마르크體制와 三國同盟 = 320
      • 13.3.2 三國協商의 成立 = 323
      • 13.3.3 國際的 緊張의 激化 = 323
      • 13.4 第 1次 世界大戰과 러시아革命 = 325
      • 13.4.1 大戰의 勃發과 初期狀況 = 325
      • 13.4.2 러시아 革命 = 327
      • 13.4.3 大戰의 終結 = 329
      • 제14장 베르사이유體制와 第2次 世界大戰 / 閔錫泓
      • 14.1 베르사이유體制 = 332
      • 14.1.1 베르사이유體制와 國際協調 = 332
      • 14.1.2 平和의 模索 = 334
      • 14.1.3 民主主義의 發展-戰後의 유럽과 美國 = 336
      • 14.2 世界恐慌과 全體主義의 進出 = 339
      • 14.2.1 이탈리아의 파시즘과 蘇聯의 共産主義 = 339
      • 14.2.2 世界恐慌과 그 對應策 = 342
      • 14.2.3 獨逸에서의 나찌즘의 擡頭 = 344
      • 14.3 第 2 次 世界大戰 = 346
      • 14.3.1 全體主義國家의 侵略 = 346
      • 14.3.2 柩軸國의 攻勢 = 348
      • 14.3.3 太平洋戰爭의 始作과 聯合國의 勝利 = 349
      • 제15장 오늘의 世계1 / 閔錫泓 ; 尹世哲
      • 15.1 冷戰과 國際情勢의 變化 = 354
      • 15.1.1 戰後處理와 國際聯合 = 354
      • 15.1.2 冷戰의 展開 = 355
      • 15.1.3 國際情勢의 變化 = 357
      • 15.2 아시아 여러 나라의 獨立 = 358
      • 15.2.1 아시아와 日本 = 360
      • 15.2.3 戰後의 아시아 = 363
      • 15.3 戰後의 世界 = 365
      • 15.3.1 戰後의 유럽과 美國 = 365
      • 15.3.2 中洞과 아프리카 = 368
      • 15.4 現代文化의 潮流 = 372
      • 15.4.1 自然科學과 技術 = 373
      • 15.4.2 社會科學과 思想 = 374
      • 15.4.3 文學과 藝術 = 3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