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정신병약물 사용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올란자핀으로의 교체 방법에 관한 연구(Ⅱ) - 안전성 비교 - = The Study for Switching Methods to Olanzapine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Treated with Other Antipsychotics(Ⅱ) - Comparison of Safe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21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사용 중인 항정신병약물을‘직접 교체 방법’ 또는‘시작-감량 교체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안전성 측면에서 두 교체 방법 간의 비교와 교체후의 변
      화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국내 13개 병원의 입원 및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ICD-10 진단기준으로 정신분열병에 해당되며,
      임상적으로 항정신병약물 교체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가지 교체 방법 중 한 가지를 무
      작위로 피험자에 적용하였으며,‘직접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에는 사용중인 항정신병약물을 일시에
      중단하고 10mg의 올란자핀을 바로 투여하였고,‘시작-감량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는 10mg의 올
      란자핀 투여하고 2주에 걸쳐서 기존 약물을 감량하여 중단하였다. 올란자핀 사용기간은 총 6주이며, 용
      량은 5~20mg 범위로 제한하였다.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체중, 생명징후,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실험
      실 검사 그리고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
      (LUNSERS)등을 이용하였다.
      결 과:
      총 10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올란자핀의 용량, 벤조디아제핀의 병용률, 탈락
      률과 탈락 사유,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생명징후, 실험실 검사 그리고 대부분의 부작용 척도 상에서 임
      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두 교체 방법간에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AIMS의 감소는‘직접 교체 방법’
      군에서 보다 적었고, 항콜린제의 병용률은‘시작-감량 교체 방법’군에서 보다 많았다. 기저 상태에서 전
      체 피험자의 SAS와 BARS 점수는 각각 3.5점과 1.8점이었으며 70%이상의 피험자가 고프로락틴 혈증을
      보였다.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SAS, BARS, AIMS 점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고프로락틴 혈증
      을 보인 피험자 분율도 약 30%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교체 방법과 상관없이 올란자핀 교체 후 유의
      한 체중 증가가 있었다.
      결 론:
      이 연구를 통해 교체 방법에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고 용이하게 올란자핀으로 교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 항정신병약물을 올란자핀으로 교체함으로써 일부 부작용들을 줄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여러 제한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보다 체계
      적인 연구를 통해 검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이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사용 중인 항정신병약물을‘직접 교체 방법’ 또는‘시작-감량 교체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안전성 측면에서 두 교체...

      연구목적:
      이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사용 중인 항정신병약물을‘직접 교체 방법’ 또는‘시작-감량 교체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안전성 측면에서 두 교체 방법 간의 비교와 교체후의 변
      화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국내 13개 병원의 입원 및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ICD-10 진단기준으로 정신분열병에 해당되며,
      임상적으로 항정신병약물 교체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가지 교체 방법 중 한 가지를 무
      작위로 피험자에 적용하였으며,‘직접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에는 사용중인 항정신병약물을 일시에
      중단하고 10mg의 올란자핀을 바로 투여하였고,‘시작-감량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는 10mg의 올
      란자핀 투여하고 2주에 걸쳐서 기존 약물을 감량하여 중단하였다. 올란자핀 사용기간은 총 6주이며, 용
      량은 5~20mg 범위로 제한하였다.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체중, 생명징후,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실험
      실 검사 그리고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
      (LUNSERS)등을 이용하였다.
      결 과:
      총 10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올란자핀의 용량, 벤조디아제핀의 병용률, 탈락
      률과 탈락 사유,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생명징후, 실험실 검사 그리고 대부분의 부작용 척도 상에서 임
      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두 교체 방법간에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AIMS의 감소는‘직접 교체 방법’
      군에서 보다 적었고, 항콜린제의 병용률은‘시작-감량 교체 방법’군에서 보다 많았다. 기저 상태에서 전
      체 피험자의 SAS와 BARS 점수는 각각 3.5점과 1.8점이었으며 70%이상의 피험자가 고프로락틴 혈증을
      보였다.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SAS, BARS, AIMS 점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고프로락틴 혈증
      을 보인 피험자 분율도 약 30%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교체 방법과 상관없이 올란자핀 교체 후 유의
      한 체중 증가가 있었다.
      결 론:
      이 연구를 통해 교체 방법에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고 용이하게 올란자핀으로 교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 항정신병약물을 올란자핀으로 교체함으로써 일부 부작용들을 줄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여러 제한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보다 체계
      적인 연구를 통해 검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involving 13 hospital sites compared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between ‘direct switching method’ and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Method:This study included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fulfilled the criteria for schizophrenia
      as defined in the ICD-10, and were in need to be appropriate for switching antipsychotic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switching methods. For ‘direct switching method’
      group, previous antipsychotics were abruptly discontinued and 10mg of olanzapine was administered,
      whereas for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group, initially 10mg of olanzapine was administered
      and previous antipsychotics was gradually tapered for 2 weeks. Olanzapine was used for 6 weeks and
      the dose was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20mg.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was measured
      with vital signs including body weight, adverse events reported spontaneously, laboratory tests,
      and various scales such as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and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S).
      Results:103 patients were switched to olanzapine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between two switching
      method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osage of olanzapine used, the concomitant
      use of benzodiazepine, the rate and reasons of drop-out, the adverse events, vital signs, laboratory
      tests, and most scales for measuring side-effects. However, the decrease in AIMS scor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rect switching method’ group, and the concomitant use of anticholinergics
      was comparatively greater in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group. At baseline, SAS and BARS
      scores were 3.5 and 1.8 points respectively, and more than 70% of the subjects showed hyperprolactinemia.
      After switching to olanzapine, SAS, BARS, and AIM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th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was also decreased to less than 30%.
      However significant weight gain after the treatment of olanzapine was observed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
      Conclusion:This study may suggest that switching to olanzapine can be done with relatively high
      safety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s and olanzapine can significantly decrease some side-effects
      induced by other antipsychotics.
      번역하기

      Objectives: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involving 13 hospital sites compared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between ‘direct switching method’ and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Method:This study included both inpatients and...

      Objectives: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involving 13 hospital sites compared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between ‘direct switching method’ and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Method:This study included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fulfilled the criteria for schizophrenia
      as defined in the ICD-10, and were in need to be appropriate for switching antipsychotic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switching methods. For ‘direct switching method’
      group, previous antipsychotics were abruptly discontinued and 10mg of olanzapine was administered,
      whereas for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group, initially 10mg of olanzapine was administered
      and previous antipsychotics was gradually tapered for 2 weeks. Olanzapine was used for 6 weeks and
      the dose was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20mg.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was measured
      with vital signs including body weight, adverse events reported spontaneously, laboratory tests,
      and various scales such as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and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S).
      Results:103 patients were switched to olanzapine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between two switching
      method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osage of olanzapine used, the concomitant
      use of benzodiazepine, the rate and reasons of drop-out, the adverse events, vital signs, laboratory
      tests, and most scales for measuring side-effects. However, the decrease in AIMS scor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rect switching method’ group, and the concomitant use of anticholinergics
      was comparatively greater in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group. At baseline, SAS and BARS
      scores were 3.5 and 1.8 points respectively, and more than 70% of the subjects showed hyperprolactinemia.
      After switching to olanzapine, SAS, BARS, and AIM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th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was also decreased to less than 30%.
      However significant weight gain after the treatment of olanzapine was observed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
      Conclusion:This study may suggest that switching to olanzapine can be done with relatively high
      safety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s and olanzapine can significantly decrease some side-effects
      induced by other antipsycho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연 구 방 법
      • 연 구 결 과
      • 고 찰
      • 참 고 문 헌
      • 서 론
      • 연 구 방 법
      • 연 구 결 과
      • 고 찰
      • 참 고 문 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