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핵심역량 중심의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ㆍ인성교육 수업모델개발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43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함양과 창의ˑ인성교육을 실과 의생활영역에서 실현하기 위 해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핵심역량중심의 창의ˑ인성교육 수업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핵심역량은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시민의식, 대인관 계능력이었다. 둘째, 실과 의생활영역의 창의ˑ인성교육 내용요소를 추출한 결과, 창의성교육요소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 교성, 문제해결능력, 호기심이며, 인성교육요소는 신뢰, 책임, 자율, 배려, 협동, 시민의식이었다. 셋째,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핵심역량중심의 창의ˑ인성교육 수업모델은 ‘스스로 하는 옷 관리’단원에서는 실천 적 문제해결 수업모델을, ‘건강하고 안전한 옷차림’단원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델을, ‘환경과 나눔의 생 활용품 만들기’단원에서는 프로젝트 수업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들은 정형화되지 않는 문제를 탐구하고, 협 동학습을 이룰 수 있으며, 조사, 토론, 실습 등의 의생활특성을 살릴 수 있는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생활영역에서의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ˑ인성교육을 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지녔으며, 3가지 수업모델을 기초로 교수ˑ학습과정안과 수업과정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과 의생활영역에서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ˑ인성 수업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ˑ인 성 수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ˑ인성요소들에 대한 타당도 검증 및 개념을 명료화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살피는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함양과 창의ˑ인성교육을 실과 의생활영역에서 실현하기 위 해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핵심역량중심의 창의ˑ인성교육 수업모델을 개발...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함양과 창의ˑ인성교육을 실과 의생활영역에서 실현하기 위 해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핵심역량중심의 창의ˑ인성교육 수업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핵심역량은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시민의식, 대인관 계능력이었다. 둘째, 실과 의생활영역의 창의ˑ인성교육 내용요소를 추출한 결과, 창의성교육요소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 교성, 문제해결능력, 호기심이며, 인성교육요소는 신뢰, 책임, 자율, 배려, 협동, 시민의식이었다. 셋째,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핵심역량중심의 창의ˑ인성교육 수업모델은 ‘스스로 하는 옷 관리’단원에서는 실천 적 문제해결 수업모델을, ‘건강하고 안전한 옷차림’단원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델을, ‘환경과 나눔의 생 활용품 만들기’단원에서는 프로젝트 수업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들은 정형화되지 않는 문제를 탐구하고, 협 동학습을 이룰 수 있으며, 조사, 토론, 실습 등의 의생활특성을 살릴 수 있는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생활영역에서의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ˑ인성교육을 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지녔으며, 3가지 수업모델을 기초로 교수ˑ학습과정안과 수업과정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과 의생활영역에서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ˑ인성 수업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ˑ인 성 수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ˑ인성요소들에 대한 타당도 검증 및 개념을 명료화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살피는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instruction model for enhancement of key competence and educa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in clothing and textile area of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Based upon literature review and case methods, the research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key competence in the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entails creativity, problem-solving ability, self- management capacity, career development ability, citizen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Secon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not only pursue its on-hand instructional goals, but also be able to achieve more concrete capacity, such key competence of creativity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punctualnes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uriosity as well as such one of personality as trust, responsibility, self-discipline, benevolence, cooperation, and citizenship. Third, the instruction model proposed includes practical problem-solving model in the chapter of 'to self- manage clothing',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in the chapter of 'to wear healthy and safe clothing‘, and project learning model in the chapter of 'to make living goods for environment and sharing' respectively. Owing to its appropriateness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se models mostly explore non- structured problems, achieve cooperative learning, and cover such characteristic elements of clothing life as discussion, examination, analysis, practical training. This result provides a found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clothing and textile area, suggesting one of its realized instruction model for practical arts area. Hopefully its consequential education may make up for the gap of the research in examination of validity and credibility following clarification of those concepts, as well as in reviewing any student change after adopting this curriculum.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instruction model for enhancement of key competence and educa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in clothing and textile area of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Based upon lit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instruction model for enhancement of key competence and educa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in clothing and textile area of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Based upon literature review and case methods, the research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key competence in the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entails creativity, problem-solving ability, self- management capacity, career development ability, citizen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Secon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not only pursue its on-hand instructional goals, but also be able to achieve more concrete capacity, such key competence of creativity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punctualnes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uriosity as well as such one of personality as trust, responsibility, self-discipline, benevolence, cooperation, and citizenship. Third, the instruction model proposed includes practical problem-solving model in the chapter of 'to self- manage clothing',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in the chapter of 'to wear healthy and safe clothing‘, and project learning model in the chapter of 'to make living goods for environment and sharing' respectively. Owing to its appropriateness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se models mostly explore non- structured problems, achieve cooperative learning, and cover such characteristic elements of clothing life as discussion, examination, analysis, practical training. This result provides a found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clothing and textile area, suggesting one of its realized instruction model for practical arts area. Hopefully its consequential education may make up for the gap of the research in examination of validity and credibility following clarification of those concepts, as well as in reviewing any student change after adopting this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내용
      • Ⅱ. 실과 의생활영역의 핵심역량과 창의ㆍ인성교육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내용
      • Ⅱ. 실과 의생활영역의 핵심역량과 창의ㆍ인성교육
      • 1. 실과 의생활영역의 핵심역량
      • 2. 실과 의생활영역의 창의ㆍ인성교육 내용요소
      • Ⅲ. 핵심 역량중심의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ㆍ인성교육 수업모델개발
      • 1. 실천적 문제해결 수업모델
      • 2.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델
      • 3. 프로젝트 수업모델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우, "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3 정미경, "초등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실과교육 지도 방안" 10 (10): 243-258, 1997

      4 최명숙, "초등학교 코바늘뜨기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73-98, 2005

      5 이윤정, "초등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11-126, 2013

      6 이윤정, "초등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 (19): 65-84, 2013

      7 이춘식, "초등 설계기술 탐구" 한국학술정보(주) 2008

      8 정미경, "초 ·중학교 가정교과 수공노작학습이 두뇌기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6 (16): 57-79, 2004

      9 이윤정,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의생활영역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83-100, 2013

      10 이정규, "창의성과 영재성" 학지사 2008

      1 이광우, "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3 정미경, "초등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실과교육 지도 방안" 10 (10): 243-258, 1997

      4 최명숙, "초등학교 코바늘뜨기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73-98, 2005

      5 이윤정, "초등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11-126, 2013

      6 이윤정, "초등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 (19): 65-84, 2013

      7 이춘식, "초등 설계기술 탐구" 한국학술정보(주) 2008

      8 정미경, "초 ·중학교 가정교과 수공노작학습이 두뇌기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6 (16): 57-79, 2004

      9 이윤정,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의생활영역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83-100, 2013

      10 이정규, "창의성과 영재성" 학지사 2008

      11 이동원,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9

      12 권오남,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학 수업 모형 사례" 한국수학교육학회 50 (50): 403-428, 2011

      13 한국과학창의재단, "창의·인성교육 총론적 고찰"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14 최경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가정과 프로젝트 학습의 개발 및 효과 : 중학교 '주거 공간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5 박지연,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의생활 영역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및 수행평가 도구 개발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내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6 정모근, "인성교육과 초등실과교육"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21-35, 2003

      17 채정연,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한국 여고생들의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의사결정 능력과 관계하는 요인" 37 (37): 43-61, 1999

      18 신보라, "실천적 문제해결학습 모형을 적용한 초등 실과 녹색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9 전국실과교과교육연구회, "실과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2

      20 교육과학기술부,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고시 제 2100-361호(별책 10)"

      21 진의남,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의 인성교육 방안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250-274, 2012

      22 송효정,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63-82, 2013

      23 정미경, "실과 가정과 영역을 통한 인성교육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141-161, 2003

      24 김세은, "식생활 영역의 실천적 문제해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서은비, "손바느질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6 김경은, "사회과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인성교육 수업 자료 개발: 공감적 활동에 기반한 문제해결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87-101, 2012

      27 윤현진,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설정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8 김진섭, "문제해결에 기초한 실과 창의성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4 (14): 69-90, 2008

      29 윤복순, "남녀 고등학생이 인식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의 효과 : ‘인간발달’ 영역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0 이명준,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교과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의 실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31 교육과학기술부,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교과교육과정 개정연구진 및 학습 연구년 교사 워크숍 자료집" 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 2011

      32 김성교, "감사성향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인성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수업 적용의 효과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17-35, 2011

      33 이연숙, "가정교육학과 인성교육" 39-61, 2012

      34 박미정, "가정교과에서의 창의·인성 수업모델개발" 25-68, 2011

      35 Laster, J. F., "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 74 (74): 41-44, 1982

      36 Weiberg, R. W., "Creativity" 시그마프레스 2009

      37 조현주,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의 의생활 단원 내용 분석 및 실천적 문제해결모형을 적용한 학습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2 (52): 385-417, 2004

      38 정미경,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육과정의 개발 절차와 주요 개정내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47-267, 2012

      39 이춘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61-181,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