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투입자재 분석을 통한 대표 주거시설에서의 환경영향 평가 = A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Residential Facilities by Analysis on Construction Input Mate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75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nstruction input materials on residential-commercial and apartment buildings to assess their environmental impact on residential buildings. In terms of analysis on construction statements for residential-commercial and apartment buildings, the energy consumption of construction input materials was estimated through input-output table assesment, and then their environmental impact was assessed.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in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civil engineering was the highest with 38.5%, followed by construction (33.1%), landscape architecture (13.8%), machine (8.7%) and electricity & communication (5.9%) in terms of environmental impact. In addition, total environmental impact by unit area (/㎡) in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was 9.67E-02pe․yr/㎡, about 2.7 times higher than apartment buildings (3.57E-02pe․yr/㎡).
      번역하기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nstruction input materials on residential-commercial and apartment buildings to assess their environmental impact on residential buildings. In terms of analysis on construction statement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nstruction input materials on residential-commercial and apartment buildings to assess their environmental impact on residential buildings. In terms of analysis on construction statements for residential-commercial and apartment buildings, the energy consumption of construction input materials was estimated through input-output table assesment, and then their environmental impact was assessed.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in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civil engineering was the highest with 38.5%, followed by construction (33.1%), landscape architecture (13.8%), machine (8.7%) and electricity & communication (5.9%) in terms of environmental impact. In addition, total environmental impact by unit area (/㎡) in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was 9.67E-02pe․yr/㎡, about 2.7 times higher than apartment buildings (3.57E-02pe․y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대표 주거건물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주상복합 건물 및 아파트 건물에 대한 투입자재의 환경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상복합 건물 및 아파트 건물의 공사내역서 분석을 산업연관분석하여 투입자재에 대한 에너지소비량을 산출,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상복합 건물에 대한 공종별 환경영향 분석 결과 토목공사(38.5%), 건축공사(33.1%), 조경공사(13.8%), 기계공사(8.7%), 전기‧통신공사(5.9%) 순으로 환경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상복합 건물에서의 단위면적당(/㎡) 총 환경영향은 9.67E-02pe․yr/㎡로 아파트 건물의 3.57E-02pe․yr/㎡에 비해 약 2.7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대표 주거건물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주상복합 건물 및 아파트 건물에 대한 투입자재의 환경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상복합 건물 및 아파트 건물의 공사내...

      본 연구는 국내 대표 주거건물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주상복합 건물 및 아파트 건물에 대한 투입자재의 환경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상복합 건물 및 아파트 건물의 공사내역서 분석을 산업연관분석하여 투입자재에 대한 에너지소비량을 산출,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상복합 건물에 대한 공종별 환경영향 분석 결과 토목공사(38.5%), 건축공사(33.1%), 조경공사(13.8%), 기계공사(8.7%), 전기‧통신공사(5.9%) 순으로 환경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상복합 건물에서의 단위면적당(/㎡) 총 환경영향은 9.67E-02pe․yr/㎡로 아파트 건물의 3.57E-02pe․yr/㎡에 비해 약 2.7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경, "입지특성에 따른 주상복합건물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2 양재섭, "서울 도심부 주거실태와 주거확보방향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3 최두성, "공동주택 단지 투입자재 분석을 통한 환경영향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0 (30): 195-203, 2014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LCA를 위한 원단위 작성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 LCA기법에근거한 친환경 건축물 평가방안 구축" 국토교통부 2003

      5 "www.edp.or.kr"

      6 "ISO14044 Environmental management -Life Cycle Assessment - Requirements and guidelines"

      7 "ISO14040 Environmental management -Life Cycle Assessment - principles and frame"

      8 한국은행, "2010년 산업연관표"

      1 이원경, "입지특성에 따른 주상복합건물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2 양재섭, "서울 도심부 주거실태와 주거확보방향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3 최두성, "공동주택 단지 투입자재 분석을 통한 환경영향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0 (30): 195-203, 2014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LCA를 위한 원단위 작성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 LCA기법에근거한 친환경 건축물 평가방안 구축" 국토교통부 2003

      5 "www.edp.or.kr"

      6 "ISO14044 Environmental management -Life Cycle Assessment - Requirements and guidelines"

      7 "ISO14040 Environmental management -Life Cycle Assessment - principles and frame"

      8 한국은행, "2010년 산업연관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