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낯선 유기체인 미생물을 표상하는 현대미술 = The Unfamiliar Organism of Microbe Transfigured in Contemporary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4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낯선 유기체인 미생물을 형상화한 2000년 이후의 조형예술 작품에서 표상된 것의 정체와 그 수단의 세부적인 특질들을 분석하고 표현내용의 핵심을 파악함으로써 미생물의 생명 친화적 가치가 어떻게 예술로 승화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과 방법은 특정 미생물이 미적 관조의 대상으로 재현된 유형과 미생물 군집의 생존 방식인 공생이 표현된 유형으로 크게 나누어, 미생물학과 예술의 관련 문헌을 참조하면서 낯선 유기체의 존재 의미뿐 아니라 상상과 실재의 상호작용을 통해 표상이 구현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전자에는 박테리아와 규조류의 기하학적 생체구조를 형상화한 브라운, 곰팡이의 양가적 의미나 시간성에 주목한 라이언과 프레이젠의 작품이, 후자에는 공생의 균형이나 불균형한 상태를 현시한 레이스, 에슬링어, 랭톤의 작품이 속한다. 7점의 작품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의 핵심은 확대와 과장에 의한 변형, 낯섦의 감각적 전유, 유기체의 개별성이라는 개념의 전복이다. 미생물은 태초부터 지금까지 생태계의 근원이자 중심 동력으로서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의 환경을 조성해온 생명이다. 지구상의 생명체는 개체화의 양상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모두가 박테리아의 군체라는 점에서 하나인 것이다. 미시 세계는 분자적 수준으로까지 확장하여 모든 존재자를 하나로 묶는 거대한 생명의 평면, 즉 존재론적 일반성이 마련되는 장소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낯선 유기체인 미생물을 형상화한 2000년 이후의 조형예술 작품에서 표상된 것의 정체와 그 수단의 세부적인 특질들을 분석하고 표현내용의 핵심을 파악함으로써 미생물의...

      본 연구의 목적은 낯선 유기체인 미생물을 형상화한 2000년 이후의 조형예술 작품에서 표상된 것의 정체와 그 수단의 세부적인 특질들을 분석하고 표현내용의 핵심을 파악함으로써 미생물의 생명 친화적 가치가 어떻게 예술로 승화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과 방법은 특정 미생물이 미적 관조의 대상으로 재현된 유형과 미생물 군집의 생존 방식인 공생이 표현된 유형으로 크게 나누어, 미생물학과 예술의 관련 문헌을 참조하면서 낯선 유기체의 존재 의미뿐 아니라 상상과 실재의 상호작용을 통해 표상이 구현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전자에는 박테리아와 규조류의 기하학적 생체구조를 형상화한 브라운, 곰팡이의 양가적 의미나 시간성에 주목한 라이언과 프레이젠의 작품이, 후자에는 공생의 균형이나 불균형한 상태를 현시한 레이스, 에슬링어, 랭톤의 작품이 속한다. 7점의 작품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의 핵심은 확대와 과장에 의한 변형, 낯섦의 감각적 전유, 유기체의 개별성이라는 개념의 전복이다. 미생물은 태초부터 지금까지 생태계의 근원이자 중심 동력으로서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의 환경을 조성해온 생명이다. 지구상의 생명체는 개체화의 양상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모두가 박테리아의 군체라는 점에서 하나인 것이다. 미시 세계는 분자적 수준으로까지 확장하여 모든 존재자를 하나로 묶는 거대한 생명의 평면, 즉 존재론적 일반성이 마련되는 장소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life-friendly value of microorganisms is artistically sublimated in contemporary art since 2000 that transfigures microbe as unfamiliar organisms by analyzing the identity of the represented images an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ir means and grasping the core of their contents. Based upon related references in microbiology and art,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type represented a specific microbe as an object of aesthetic contemplation and the type expressed symbiosis as the survival method of the microbial commun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unfamiliar organisms as well as their representational means through the interaction of imagination and reality. The former case is consist of Brown’s two artworks representing the giometric structures of bacteria and diatoms, Ryan and Freisen’s works projecting on the ambivalence or timely manner of mold while the latter includes Reis, Esslinger and Langton s works presenting the balance or imbalance of symbiosi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7 case studies are the transfiguration by enlargement and exaggeration, the sensory appropriation of the unfamiliar and the overthrow of the concept of individual organism. Microbes are life that have created the environment of the world in which we live as the source and central driving force of the ecosystem since the beginning of time. Life on Earth differs only in the aspect of individuation, but all are one in that they are colonies of bacteria. The microscopic world is a huge plane of life extending to the molecular level and uniting all beings. The ontological generality is emerged from the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life-friendly value of microorganisms is artistically sublimated in contemporary art since 2000 that transfigures microbe as unfamiliar organisms by analyzing the identity of the represented images 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life-friendly value of microorganisms is artistically sublimated in contemporary art since 2000 that transfigures microbe as unfamiliar organisms by analyzing the identity of the represented images an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ir means and grasping the core of their contents. Based upon related references in microbiology and art,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type represented a specific microbe as an object of aesthetic contemplation and the type expressed symbiosis as the survival method of the microbial commun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unfamiliar organisms as well as their representational means through the interaction of imagination and reality. The former case is consist of Brown’s two artworks representing the giometric structures of bacteria and diatoms, Ryan and Freisen’s works projecting on the ambivalence or timely manner of mold while the latter includes Reis, Esslinger and Langton s works presenting the balance or imbalance of symbiosi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7 case studies are the transfiguration by enlargement and exaggeration, the sensory appropriation of the unfamiliar and the overthrow of the concept of individual organism. Microbes are life that have created the environment of the world in which we live as the source and central driving force of the ecosystem since the beginning of time. Life on Earth differs only in the aspect of individuation, but all are one in that they are colonies of bacteria. The microscopic world is a huge plane of life extending to the molecular level and uniting all beings. The ontological generality is emerged from the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특정 미생물의 표상 사례 Ⅲ. 미생물 군집의 표상 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특정 미생물의 표상 사례 Ⅲ. 미생물 군집의 표상 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셸드레이크, 멀린,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아날로그 출판사 2021

      2 마굴리스, 린, "생명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리수 2016

      3 코렐, 찰스 S., "생명의 물리학" 열린책들 2021

      4 케겔, 베른하르트, "박테리아, 위대한 생명의 조력자" 다른 세상 2016

      5 뒤프렌, 미켈, "미적 체험의 현상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

      6 Schaechter, M., "미생물" 월드사이언스 2010

      7 용, 에드, "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도 많아" 어크로스 2017

      8 마굴리스, 린, "공생자 행성" 사이언스북스 2007

      9 웨이크퍼드, 톰, "공생, 그 아름다운 공존" 해나무 2021

      10 Newell-Hanson, Alice, "The Sculptor Making Massive. Moldy Fruits From Gemstones"

      1 셸드레이크, 멀린,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아날로그 출판사 2021

      2 마굴리스, 린, "생명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리수 2016

      3 코렐, 찰스 S., "생명의 물리학" 열린책들 2021

      4 케겔, 베른하르트, "박테리아, 위대한 생명의 조력자" 다른 세상 2016

      5 뒤프렌, 미켈, "미적 체험의 현상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

      6 Schaechter, M., "미생물" 월드사이언스 2010

      7 용, 에드, "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도 많아" 어크로스 2017

      8 마굴리스, 린, "공생자 행성" 사이언스북스 2007

      9 웨이크퍼드, 톰, "공생, 그 아름다운 공존" 해나무 2021

      10 Newell-Hanson, Alice, "The Sculptor Making Massive. Moldy Fruits From Gemstones"

      11 Wong, Katrina V, "The Immeasurable Space by Amie Esslinger"

      12 Myers, Lynne, "Kathleen Ryan Creates Moldy Fruit Sculptures from Semi-precious Gem stones"

      13 Brown, R., "Art and Science in Roman Beauty" 105 (105): 87-, 2017

      14 Gilbert, Scott F., "A Symbiotic View of Life : We Have Never Been Individual" 87 (87): 327-,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