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주효과와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12306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42(20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주효과와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주효과와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각 하위요인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직무만족도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종속변수와 관련되는 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두 차원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미치는 설명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련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도의 7개 요인중 동료애와 교직의식은 두 차원의 교사효능감과 모두 유의한 정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발전성과 혁신성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에만 관련되었고, 보상, 자율성, 업무부담 완화는 집단적 교사효능감에만 관련되었다. 마지막으로두 차원의 교사효능감이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던 직무만족도 요인은 보상뿐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이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personal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dependant variable, the relationships of personal and collective t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personal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dependant variable, the relationships of personal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o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interaction effects of two dimensions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examined by using a series of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s.
Both personal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omradeship’ and ‘sense of teaching’of 7 sub-scales of job satisfactions.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and ‘innovation’. In contrast, collective teacher effic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pensation’, ‘professional autonomy’ and ‘workload relief’. Finally, personal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showed an interaction with only ‘compensation’. The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al policy to improve teachers’job satisfac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자경,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교육발전연구소 25 (25): 181-200, 2015
2 이성복, "초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317-337, 2014
3 임성택,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생과 학부모 특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39-57, 2009
4 김아영,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5-29, 2002
5 최권,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개인적, 집단적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3 (53): 161-183, 2015
6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1-41, 2010
7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교사몰입 간 관계에 대한 구조적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85-303, 2010
8 권순형,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협력 간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61-180, 2014
9 황영준, "중학교 교사의 개인배경, 자기효능감, 조직지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21, 2012
10 이재덕,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교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1-71, 2008
1 김자경,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교육발전연구소 25 (25): 181-200, 2015
2 이성복, "초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317-337, 2014
3 임성택,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생과 학부모 특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39-57, 2009
4 김아영,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5-29, 2002
5 최권,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개인적, 집단적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3 (53): 161-183, 2015
6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1-41, 2010
7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교사몰입 간 관계에 대한 구조적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85-303, 2010
8 권순형,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협력 간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61-180, 2014
9 황영준, "중학교 교사의 개인배경, 자기효능감, 조직지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21, 2012
10 이재덕,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교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1-71, 2008
11 김경화,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09-128, 2009
12 김근곤, "보건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9 (9): 22-42, 2011
13 김이경,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직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원 31 (31): 213-235, 2015
14 곽경련, "교원 성과상여금 평가 특징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67-292, 2014
15 임성택, "교사의 학생체벌관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설명 효과 비교" 교육과학연구소 39 (39): 51-77, 2008
16 조대연,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서울시 중등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2 (42): 51-80, 2015
17 조민아, "교사의 발달 단계에 따른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 심리적 소진의 차이" 교육연구원 26 (26): 93-111, 2010
18 주동범, "교사 효능감 관련 변인의 분석: 직무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0 (40): 12-270, 2002
19 김희규, "교사 근무성적평정 및 성과상여금평가 실태 분석" 안암교육학회 22 (22): 31-53, 2016
20 Lim, S. T., "The mediating roles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 of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to their burnout" 44 : 138-147, 2014
21 Lee, H. S.,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Personal Teacher Efficac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Graduate School of Incheon University 2012
22 Coladarci, T.,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60 : 323-337, 1992
23 Kyriacou, C., "Teacher stress : A review" 29 (29): 299-306, 1977
24 Egyed, C. J., "Teacher self-efficacy, burnout, experience and decision to refer a disruptive student" 27 (27): 462-474, 2006
25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Its meaning and measure" 68 (68): 202-248, 1998
26 Ashton, P. T., "Teacher efficacy :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5 (35): 28-32, 1984
27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81-582, 1984
28 Ware, H., "Teacher and Collective Efficacy Beliefs as Predictors Commitment" 100 (100): 303-310, 2007
29 Lim, S. T., "Teacher Efficacy" Kanghyun press 2011
30 Bandura, A., "Self 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31 Woolfolk-Hoy, A. E., "Prospecti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s about control" 82 (82): 81-89, 1990
32 Cherness, C., "Professional burnout" Taylor and Francis 135-150, 1993
33 Ashton, P. T.,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gman 1986
34 Korean Education Newspaper, "Increasingly shaky Teachers' Authority. Let's start 'Haksamoilche Campaign'"
35 Eibmer, H., "How supervision influences teacher efficacy and commitment : An investigation of a path model" 18 (18): 110-114, 2003
36 Ro, J. H.,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19 (19): 163-181, 2001
37 Goddard, R. 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 Its meaning measure and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37 (37): 479-507, 2000
38 Rehm, L. P., "Cognitive processes in depression" Guilford 143-176, 1988
39 Parkay, F. W.,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stress" 21 (21): 13-22, 1988
40 Joongang Ilbo, "20%, regretting that he/she became a teacher, the First Place in the OECD"
체육교사의 교수유형,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교과태도의 관계
기계학습을 통한 TIMSS 2011 중학생의 수학 성취도 관련 변수 탐색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피드백 발화 유형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6-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3 | 1.544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