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inimal shoe가 달리기 시 하지의 생체역학 및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inimal Shoe on Lower Extremity Biomechanics and Safety During Runn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n lower extremity biomechanics and safety of minimal shoe prevailed lately. So this study compared whether differences in rearfoot control variables, impact absorption variables, and pressure distribution variables observed while running barefoot, in conventional running shoes and in minimal shoe.
      The subjects employed for this study were 16 healthy college students. Motions of lower extremity at three different shoe conditions were analyzed through 3D cinematography and force platform. Conclusions derived from results were as follows.
      Initial pronation and total pronation of rearfoot motion in barefoot and minimal shoes were larger or smaller than i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and could create impact absorption problems. The compressive angle and the torsion angle in barefoot and minimal shoes were larger tha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and thus made negative effects to foot safeties. Maximum impact forces, loading rate of maximum impact forces, and loading rate of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s in minimal shoes were larger than in barefoot and i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The regional peak pressure except M6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barefoot, minimal shoes, and a conventional shoe, but that of minimal shoes was larger tha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arfoot control variables and impact absorption variables in minimal sho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Based on this findings, it seems that minimal shoe places runners at greater risk of musculoskeletal injur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unning shoe. Also it was determined that minimal footwear designed to mimic barefoot running do not closely mimic the mechanics of barefoot runn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n lower extremity biomechanics and safety of minimal shoe prevailed lately. So this study compared whether differences in rearfoot control variables, impact absorption variables, and pressure distri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n lower extremity biomechanics and safety of minimal shoe prevailed lately. So this study compared whether differences in rearfoot control variables, impact absorption variables, and pressure distribution variables observed while running barefoot, in conventional running shoes and in minimal shoe.
      The subjects employed for this study were 16 healthy college students. Motions of lower extremity at three different shoe conditions were analyzed through 3D cinematography and force platform. Conclusions derived from results were as follows.
      Initial pronation and total pronation of rearfoot motion in barefoot and minimal shoes were larger or smaller than i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and could create impact absorption problems. The compressive angle and the torsion angle in barefoot and minimal shoes were larger tha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and thus made negative effects to foot safeties. Maximum impact forces, loading rate of maximum impact forces, and loading rate of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s in minimal shoes were larger than in barefoot and i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The regional peak pressure except M6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barefoot, minimal shoes, and a conventional shoe, but that of minimal shoes was larger tha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arfoot control variables and impact absorption variables in minimal sho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 conventional running shoe. Based on this findings, it seems that minimal shoe places runners at greater risk of musculoskeletal injur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unning shoe. Also it was determined that minimal footwear designed to mimic barefoot running do not closely mimic the mechanics of barefoot run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minimal신발이 달리기 시 하지의 생체역학 및 안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에 동원된 피험자는 건강한 남자대학생 16명이었으며 맨발, minimal신발, 일반 런닝화를 대상으로 영상분석장비와 지면반력측정장비를 이용하여 4m/sec의 속도로 달리기를 할 때 하지동작을 촬영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발의 초기 회내운동과 총 회내운동은 맨발과 minimal신발의 경우 일반 운동화에 비하여 너무 크거나 작게 나타나서 충격력흡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압축각과 뒤틀림각은 맨발과 minimal신발이 일반 런닝화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나서 발의 안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 최대충격력과 최대충격력부하율, 최대수직지면반력부하율은 minimal신발이 맨발이나 일반 런닝화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부위별 최대압력은 M6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통계적인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minimal신발이 일반 런닝화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후족제어변인과 충격흡수변인에서 minimal신발이 일반 런닝화에 비하여 충격력흡수가 잘 안되기 때문에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minimal신발이 맨발의 기능과 유사하도록 개발되었다고 하지만 본 연구결과 여러 분석변인에서 맨발과 minimal신발 사이에 차이를 나타냈기 때문에 맨발의 기능을 모방한 신발을 제작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minimal신발이 달리기 시 하지의 생체역학 및 안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에 동원된 피험자는 건강한 남자...

      본 연구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minimal신발이 달리기 시 하지의 생체역학 및 안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에 동원된 피험자는 건강한 남자대학생 16명이었으며 맨발, minimal신발, 일반 런닝화를 대상으로 영상분석장비와 지면반력측정장비를 이용하여 4m/sec의 속도로 달리기를 할 때 하지동작을 촬영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발의 초기 회내운동과 총 회내운동은 맨발과 minimal신발의 경우 일반 운동화에 비하여 너무 크거나 작게 나타나서 충격력흡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압축각과 뒤틀림각은 맨발과 minimal신발이 일반 런닝화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나서 발의 안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 최대충격력과 최대충격력부하율, 최대수직지면반력부하율은 minimal신발이 맨발이나 일반 런닝화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부위별 최대압력은 M6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통계적인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minimal신발이 일반 런닝화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후족제어변인과 충격흡수변인에서 minimal신발이 일반 런닝화에 비하여 충격력흡수가 잘 안되기 때문에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minimal신발이 맨발의 기능과 유사하도록 개발되었다고 하지만 본 연구결과 여러 분석변인에서 맨발과 minimal신발 사이에 차이를 나타냈기 때문에 맨발의 기능을 모방한 신발을 제작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창수, "이동속도의 증가에 따른 신발평가변인 분석" 대한운동학회 18 (18): 43-52, 2016

      2 조종희, "야구 투수의 투구 동작 시 왼발과 오른발의 하지관절모멘트 분석" 교육연구원 32 (32): 219-233, 2016

      3 김재삼, "골프 아이언클럽 다운스윙시 하지관절모멘트 변화 분석" 교육연구원 32 (32): 125-138, 2016

      4 De Wit, B., "Timing of lower extremity motions during barefoot and shod running at three velocities" 16 (16): 169-179, 2000

      5 Stacoff, A., "Tibiocalcaneal kinematics of barefoot versus shod running" 33 (33): 1387-1395, 2000

      6 Frederick, E. C., "The prediction of vertical impact force during running" 14 : 498-, 1981

      7 Herzog, W., "The influence of velocity and playing surfaces on the load on the human body in running" ETH 1978

      8 Nigg, B. M., "The influence of running velocity and midsole hardness on external impact forces in heel-toe running" 20 (20): 951-959, 1987

      9 Sinclair, J., "The influence of barefoot and barefoot-inspired footwear on the kinetics and kinematics of running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running shoes" 5 (5): 45-53, 2013

      10 TenBroek, T. M., "Removing sources of variance from an analysis of barefoot vs. shod running" 5 (5): S129-S130, 2013

      1 곽창수, "이동속도의 증가에 따른 신발평가변인 분석" 대한운동학회 18 (18): 43-52, 2016

      2 조종희, "야구 투수의 투구 동작 시 왼발과 오른발의 하지관절모멘트 분석" 교육연구원 32 (32): 219-233, 2016

      3 김재삼, "골프 아이언클럽 다운스윙시 하지관절모멘트 변화 분석" 교육연구원 32 (32): 125-138, 2016

      4 De Wit, B., "Timing of lower extremity motions during barefoot and shod running at three velocities" 16 (16): 169-179, 2000

      5 Stacoff, A., "Tibiocalcaneal kinematics of barefoot versus shod running" 33 (33): 1387-1395, 2000

      6 Frederick, E. C., "The prediction of vertical impact force during running" 14 : 498-, 1981

      7 Herzog, W., "The influence of velocity and playing surfaces on the load on the human body in running" ETH 1978

      8 Nigg, B. M., "The influence of running velocity and midsole hardness on external impact forces in heel-toe running" 20 (20): 951-959, 1987

      9 Sinclair, J., "The influence of barefoot and barefoot-inspired footwear on the kinetics and kinematics of running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running shoes" 5 (5): 45-53, 2013

      10 TenBroek, T. M., "Removing sources of variance from an analysis of barefoot vs. shod running" 5 (5): S129-S130, 2013

      11 McNair, P. J.,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associated with running in different shoes" 28 (28): 256-260, 1994

      12 Ketabi, S., "Influence of minimal heel inserts on rearfoot movement, running economy, mechanical parameters and muscular activity during distance running" 5 (5): s84-s85, 2013

      13 Coyles, V. R., "Dynamic angular stiffness of the knee and ankle during barefoot and shod running" 2001

      14 von Tscharner, V., "Changes in EMG signals for the muscle tibialis anterior while running barefoot or with shoes resolved by non-linearly scaled wave-lets" 36 (36): 1169-1176, 2003

      15 Nigg, B. M., "Biomechanics of Running Shoes" Human Kinetics Publishers, Inc. 161-165, 1986

      16 Nigg, B. M., "Biomechanics of Running Shoes" Human Kinetics Publishers, Inc. 139-151, 1986

      17 De Wit, B.,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stance phase during barefoot and shod running" 33 (33): 269-278, 2000

      18 Bishop, M., "Athletic footwear, leg stiffness, and running kinematics" 41 (41): 387-392, 2006

      19 Reenalda, J., "A comparison of ground reaction force patterns of conventional running shoes and minimalistic footwear in habitually shod runners" 3 (3): S130-S13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