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석탄회 폐기물인 버텀애쉬의 지중매설관 기초채움재 적용성 연구 =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ottom Ash to Backfill in Buried Pi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01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buried pile backfill based on soil and bottom ash as coal ash waste.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flow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he admixture such as bottom ash, soil superplasticizer, AE agent, and thickener. As a result of the test,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mixing ratio compared to bottom ash and as the unit cement amount increased, the increase was slowed. Also, although the flow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unit cemen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bottom ash affects the decrease of flow.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ow decreased slightly as the amount of particulate matter used increased,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a small amount of AE improves flow without changing strength. As the amount of red mud increased, the tendency of increasing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remarkable and the flow was decreased.
      Finally, the standard mixture ratio satisfying the flow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is proposed for the use as the foundation filler of the underground buried pipe.
      번역하기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buried pile backfill based on soil and bottom ash as coal ash waste.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flow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he admixture such...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buried pile backfill based on soil and bottom ash as coal ash waste.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flow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he admixture such as bottom ash, soil superplasticizer, AE agent, and thickener. As a result of the test,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mixing ratio compared to bottom ash and as the unit cement amount increased, the increase was slowed. Also, although the flow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unit cemen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bottom ash affects the decrease of flow.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ow decreased slightly as the amount of particulate matter used increased,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a small amount of AE improves flow without changing strength. As the amount of red mud increased, the tendency of increasing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remarkable and the flow was decreased.
      Finally, the standard mixture ratio satisfying the flow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is proposed for the use as the foundation filler of the underground buried pi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석탄회 폐기물인 버텀애쉬와 토사를 기반으로 지중매설관 기초 채움재 적용성을 알아보는 실험적 연구이다. 버텀애쉬와 토사, 유동화제, AE제, 증점제 등과 같은 혼화재료의 배합비를 변화시켜 일축압축강도와 유동성을 알아보았다. 시험결과, 버텀애쉬 대비 현장토사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였고, 단위 시멘트량이 증가할수록 그 증가폭은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동성은 단위시멘트량에 비례하였으나, 버텀애쉬 사용량이 유동성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미립분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와 유동성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소량의 AE제 사용시 강도변화 없이 유동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레드머드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증가추세는 두드러지며, 유동성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지중매설관 기초채움재로써의 활용하기 위하여 유동성과 압축강도를 만족하는 기준배합비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석탄회 폐기물인 버텀애쉬와 토사를 기반으로 지중매설관 기초 채움재 적용성을 알아보는 실험적 연구이다. 버텀애쉬와 토사, 유동화제, AE제, 증점제 등과 같은 혼화재료의 배합...

      본 연구는 석탄회 폐기물인 버텀애쉬와 토사를 기반으로 지중매설관 기초 채움재 적용성을 알아보는 실험적 연구이다. 버텀애쉬와 토사, 유동화제, AE제, 증점제 등과 같은 혼화재료의 배합비를 변화시켜 일축압축강도와 유동성을 알아보았다. 시험결과, 버텀애쉬 대비 현장토사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였고, 단위 시멘트량이 증가할수록 그 증가폭은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동성은 단위시멘트량에 비례하였으나, 버텀애쉬 사용량이 유동성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미립분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와 유동성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소량의 AE제 사용시 강도변화 없이 유동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레드머드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증가추세는 두드러지며, 유동성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지중매설관 기초채움재로써의 활용하기 위하여 유동성과 압축강도를 만족하는 기준배합비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유진, "화강풍화토를 이용한 CLSM의 공학적 특성평가" 한국방재학회 9 (9): 19-26, 2009

      2 황인성, "물시멘트비 및 시멘트 요인에 따른 콘크리트의 초기 압축강도 발현 특성" 대한건축학회 20 (20): 77-84, 2004

      3 채덕호, "매립석탄회를 혼합한 유동성 충진재의 동적거동특성"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5 (15): 5-11, 2014

      4 천선호, "굴착 잔토를 재활용한 지중전력구조물 뒷채움재의 역학적 특성" 대한토목학회 26 (26): 303-312, 2006

      5 Kim, H., "Enhanced Performance of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with Regulated Set Cement" Konkuk University 2002

      6 이승철, "Bottom Ash를 성토재로 재활용 시 발생되는 침출수의 환경위해성 평가" 한국환경기술학회 17 (17): 332-339, 2016

      7 Ryu, J. H., "A Study on Development Method for Early-Strength Concrete" 20 (20): 681-684, 2008

      1 임유진, "화강풍화토를 이용한 CLSM의 공학적 특성평가" 한국방재학회 9 (9): 19-26, 2009

      2 황인성, "물시멘트비 및 시멘트 요인에 따른 콘크리트의 초기 압축강도 발현 특성" 대한건축학회 20 (20): 77-84, 2004

      3 채덕호, "매립석탄회를 혼합한 유동성 충진재의 동적거동특성"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5 (15): 5-11, 2014

      4 천선호, "굴착 잔토를 재활용한 지중전력구조물 뒷채움재의 역학적 특성" 대한토목학회 26 (26): 303-312, 2006

      5 Kim, H., "Enhanced Performance of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with Regulated Set Cement" Konkuk University 2002

      6 이승철, "Bottom Ash를 성토재로 재활용 시 발생되는 침출수의 환경위해성 평가" 한국환경기술학회 17 (17): 332-339, 2016

      7 Ryu, J. H., "A Study on Development Method for Early-Strength Concrete" 20 (20): 681-684,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In Korea ->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KCI등재
      2017-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Technolog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기술학회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7 0.24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