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캠핑장디자인을 위한 이용자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Type of User’s Subjective Perception for Campground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16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득증가와 주 5일제 근무 등으로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보다 높은 삶의 질과 행복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망이 증가함에 따라 레저 활동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캠...

      소득증가와 주 5일제 근무 등으로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보다 높은 삶의 질과 행복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망이 증가함에 따라 레저 활동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캠핑은 남녀노소 국민 모두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레저 활동 중의 하나로 근래 들어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캠핑 수요증가에 따라 캠핑장과 관련시설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용자의 만족도에는 캠핑장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특성과 요구사항(needs)이 고려되고 배려되지 않은 천편일률적인 캠핑장과 캠핑시설로 인해 많은 이용자들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모든 캠핑장은 동일한 특성을 지니고 있지 않으며 또한 모든 캠핑장 이용자가 동일한 특성을 지닌 캠핑장을 원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캠핑장 이용자는 선호하는 적합한 캠핑장과 캠핑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캠핑장 이용자를 대상으로 캠핑장의 디자인·개발을 위한 캠핑장의 선호유형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와 연구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개발에 앞서 캠핑장을 대상으로 이용자의 요구사항과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캠핑장의 디자인에 반영하기 위해 캠핑장 이용자의 캠핑장에 대한 선호인식(preference perception)의 유형을 도출하여 분류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인간의 주관적 감성의 선호유형연구를 위해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Q방법론은 인간의 느낌, 의견, 선호, 감정, 이상, 취향, 직관 등과 같은 인간의 주관적 감성의 선호유형연구를 위해 사용되는 접근방법으로 연구방법인 동시에 분석방법이다. 정량보다는 정성 및 감성에 , 그리고 객관보다는 주관적 관점과 보다 밀접한 관계가 있는 디자인의 가치와 본질에 비추어 볼 때 주관성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방법의 접근은 향후 디자인분야에서도 매우 의미 있다 할 수 있다. Q방법론은 이용자의 주관적 입장에서 도출해 낼 수 있는 의견이나 생각을 진술문이라는 Q항목을 통해서 추출해내고, 이용자들과의 개별면담과 Q소팅을 통해 이용자의 인식유형을 도출·분류해서 사람들을 유형화하여 각 유형을 해석함으로써 유용한 아이디어나 상징을 찾아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량적 지표로 측정할 수 없는 이용자의 심리적 기저의 요인들을 추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캠핑장이용자의 선호유형을 Q방법론을 이용한 Q소팅과 분석을 통해 종합·해석한 결과 첫째, 안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의지향형 둘째,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주의를 추구하는 활동지향형 셋째, 안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중심형 넷째, 위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의지향형이라 명명한 총 4가지의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Q방법론은 이용자의 주관적 입장에서 캠핑장 이용자의 캠핑장 선호유형을 도출해 낼 수 있는 조사·연구방법이며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향후 캠핑장 디자인·개발의 방향 및 전략 수립과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특성 있는 캠핑장의 조성에 기여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sire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s on the increase as the national income in Korea increases according to the economic growth and as they have more leisure time due to a five-day workweek, etc.. Accordingly, the ...

      The desire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s on the increase as the national income in Korea increases according to the economic growth and as they have more leisure time due to a five-day workweek, etc.. Accordingly, the demands on the leisure activities have increased drastically. The camping among various leisure activities is one of leisure activities that the unspecified individuals of all Koreans, men and women of all ages, can easily access at low costs, which demands are increasing. For this reason, the private and public campgrounds are
      increasing, but there is much difference in the user 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ampground. Therefore, it is time to need the design and strategy of various campgrounds appropriately as the demands for the user s campground are increasing, and as the expectation level and needs for the camping activities and campgrounds have varied.
      this study and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campground preference type for the user have to be preceded. Accordingly, prior to design·development, this study was to grasp the user s requirement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an object of campground among the leisure space.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deduce and analyze the perception type of campground for the user by applying the subjectivity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reflect the design of campground. Q Methodology is an analysis method as well as a research method, as a
      approach method used for the research on the preference type of human beings subjective sensitivity like feeling, opinion, preference, emotion, ideal, taste, and intuition covering the whole field of social science. In the meantime, most of study·research methods have used general quantitative study and research method(SPSS and Scaling method, etc.) in order to ensure the justification(necessity) and objectivity of research. However, it may have its limitations in light of quality and sensitivity rather than quantity, and of value and essenc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subjectivity than objectivity. The approach as research method on the basis of subjectivity may be very meaningful to the field of design in the future. Q Methodology could find out useful idea and symbol by extracting the opinions or thoughts deduced from the user s subjective position through QItems like statements, and by interpreting each type as stereotyping people after deducing·classifying the user s perception type through the individual interviewand QSorting with the users. Furthermore, QMethodology could extract the factors of the user s psychological foundation
      which could notmeasure it by the quantitative index.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re were four types designate as: convenience-oriented type which considers much about the safety through Q analysis; activity-based type which pursues the unartificial naturalism; information-centered type which considers much about the safety;
      convenience-centered type which considers much about the sanitation. To conclude, this research expects that this study will be very useful to increase the campgrounds satisfaction and to foster a high standard of camping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II. 캠핑의 개념 및 현황
      • III. 이용자 인식유형 연구
      • IV. 결 론
      • 참고문헌
      • I. 서 론
      • II. 캠핑의 개념 및 현황
      • III. 이용자 인식유형 연구
      • IV.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천, "휴양림 캠핑문화 활성화를 위한 오토캠핑 사례 연구" 2008

      2 김종민, "캠핑장 레저 활성화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2

      3 유보현, "캠핑 안전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2) : 65-74, 2014

      4 김병진, "캠핑" 과학기술사 1979

      5 김정섭, "인사(人事) 커뮤니케이션 가운데 주거지 질문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4) : 5-24, 2012

      6 이병열, "오토캠핑체험. 만족. 행동의도 간의 관계 연구: 4Es 이론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4 (24): 275-294, 2012

      7 김진옥, "오토캠핑 참여자의 동기, 가치, 만족도, 충성도 간의구조적 관계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28 (28): 45-70, 2013

      8 최연화, "오토캠핑 참여동기 유형에 따른 행태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41-60, 2014

      9 김홍일, "오토캠핑 마니아의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6 (36): 199-219, 2012

      10 이주향, "디자인 가치인식 유형에 기반한 사용자완성형디자인 모형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1 김세천, "휴양림 캠핑문화 활성화를 위한 오토캠핑 사례 연구" 2008

      2 김종민, "캠핑장 레저 활성화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2

      3 유보현, "캠핑 안전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2) : 65-74, 2014

      4 김병진, "캠핑" 과학기술사 1979

      5 김정섭, "인사(人事) 커뮤니케이션 가운데 주거지 질문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4) : 5-24, 2012

      6 이병열, "오토캠핑체험. 만족. 행동의도 간의 관계 연구: 4Es 이론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4 (24): 275-294, 2012

      7 김진옥, "오토캠핑 참여자의 동기, 가치, 만족도, 충성도 간의구조적 관계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28 (28): 45-70, 2013

      8 최연화, "오토캠핑 참여동기 유형에 따른 행태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41-60, 2014

      9 김홍일, "오토캠핑 마니아의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6 (36): 199-219, 2012

      10 이주향, "디자인 가치인식 유형에 기반한 사용자완성형디자인 모형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11 "http://www.nps.gov/index.htm"

      12 "http://www.koa.com"

      13 "http://www.ecc-campingfuehrer.de"

      14 "http://www.campingzone.com"

      15 "http://www.autocamping.co.kr/campingschool/autocamping_history.php"

      16 "http://www.autocamping.co.kr/campingschool/autocamping_history.php"

      17 "http://www.autocamp.or.jp"

      18 "http://www.acsi.eu"

      19 "http://www.acamps.org"

      20 "http://hyundaimobis.tistory.com/92"

      21 황상민, "Q방법론의 심리학적 적용과 해석의 문제 : 객관성과 주관성의 이중주" 7 : 12-, 2002

      22 김흥규, "Q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8-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 Journal of Product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3 0.78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