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식품섭취상황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1969년부터 1989년까지 21년간의 국민영양조사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식품 섭취량은 1,000g정도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057080
1992
Korean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509-51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민의 식품섭취상황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1969년부터 1989년까지 21년간의 국민영양조사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식품 섭취량은 1,000g정도를 ...
국민의 식품섭취상황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1969년부터 1989년까지 21년간의 국민영양조사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식품 섭취량은 1,000g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식물성 식품의 섭취량은 감소하는 반면 동물성 식품의 섭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식품성 식품 중 곡류의 섭취량 감소는 매우 현저하여 전체 식물성 식품의 섭취량 감소를 주도하였고, 감자류의 섭취량 역시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채소류의 섭취량은 소폭의 증감을 계속하고 있으나 가공류의 섭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콩류는 매년 섭취량이 상당한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과실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조류의 섭취량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80년대 후반에 커다란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동물성 식품에서 육류, 난류, 어패류는 해마다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어 단백질 섭취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유류와 동물성 유지도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nnual report of National Nutrition Survey, the trend of food intake of Korean is analyzed from 1969 to 1989. Total food intake is about 1,000g. The amount of plant foods intake is decreased but the amount of animal food intake is increased. ...
With the annual report of National Nutrition Survey, the trend of food intake of Korean is analyzed from 1969 to 1989. Total food intake is about 1,000g. The amount of plant foods intake is decreased but the amount of animal food intake is increased. Among plant foods, the consumption of cereals and grain product and starch and starch roots is decreased gradually. The degree of decreasing are evident in the amount of cereal and grain product intake. The amount of vegetable intake is kept fluctuating, but the amount of processed vegetable products intake shows an upward trend. The amount of legumes and their products, vegetables, fruits and seaweeds intake is increased each year. In addition, among animal foods, the amount of meat and products, eggs, fish and shellfish and milk and milk products intake is increased greatly.
해조류 섭취가 성인 남자의 Na, Ca, K 흡수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인스탄트 메밀국수가 백서의 소화흡수율, 간장 및 혈청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식이 중에 첨가한 Coenzyme Q10과 Vitamin E가 Adriamycin을 투여한 흰쥐의 간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Vitamin E와 콜레스테롤 급이가 혈장 Lipoprotein들의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