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for Subject of New Science Teacher`s Guide in the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5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해 새로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 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3, 4학년 담임 및 과학 전담교사 188명이며 설문지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각론에 대한 이해보다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학 및 과학교육의 본질,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 과학 교수-학습의 다양성, 평가방법 및 평가도구 작성의 원리와 기법을 익히는 데 보다 심층적이고 전문적인 소양이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각론 및 활용 실태는 종전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변인 즉, 성별, 경력, 전공, 수업에 대한 자신감 등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경력과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지도서 활용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신감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초등과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알맞게 교사용 지도서를 개선하는 노력뿐만 아니라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자아 효능감, 즉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신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해 새로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 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3, 4학년 담임 및 과학 전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해 새로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 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3, 4학년 담임 및 과학 전담교사 188명이며 설문지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각론에 대한 이해보다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학 및 과학교육의 본질,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 과학 교수-학습의 다양성, 평가방법 및 평가도구 작성의 원리와 기법을 익히는 데 보다 심층적이고 전문적인 소양이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각론 및 활용 실태는 종전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변인 즉, 성별, 경력, 전공, 수업에 대한 자신감 등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경력과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지도서 활용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신감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초등과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알맞게 교사용 지도서를 개선하는 노력뿐만 아니라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자아 효능감, 즉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신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how the actual teachers are using the new science teacher`s guide that has been revised and updated under the reform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d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s to 188 third and fourth-grade teachers working within downtown Seoul. An analysis of thes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general outline and the particular sections of the guide and their usage of it showed that the most problematic area was their recognition of the general outline of the guide. This study also analyzed how the teachers use the guide, by grouping them into different categories (i.e., gender, teaching experience, specialty, and the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self-perceived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how they used the guid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the teachers feel, the better the usage of the guide they make. This finding implies that helping elementary-school teachers improve their sense of science teaching self-confidence could help improve their perceptions and usage of the science teaching guide.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how the actual teachers are using the new science teacher`s guide that has been revised and updated under the reform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d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s to 188 third and fourth-grade teache...

      This study explores how the actual teachers are using the new science teacher`s guide that has been revised and updated under the reform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d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s to 188 third and fourth-grade teachers working within downtown Seoul. An analysis of thes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general outline and the particular sections of the guide and their usage of it showed that the most problematic area was their recognition of the general outline of the guide. This study also analyzed how the teachers use the guide, by grouping them into different categories (i.e., gender, teaching experience, specialty, and the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self-perceived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how they used the guid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the teachers feel, the better the usage of the guide they make. This finding implies that helping elementary-school teachers improve their sense of science teaching self-confidence could help improve their perceptions and usage of the science teaching guid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