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에서 전해져 오는 고려인의 설화를 연구한 책. 2005년 7월 21일부터 8월 15일까지 2006년 3월 29일부터 7월 15일까지 2차로 나눠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거주하면서 수집 채록한 고려인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7488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앙아시아에서 전해져 오는 고려인의 설화를 연구한 책. 2005년 7월 21일부터 8월 15일까지 2006년 3월 29일부터 7월 15일까지 2차로 나눠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거주하면서 수집 채록한 고려인의 ...
중앙아시아에서 전해져 오는 고려인의 설화를 연구한 책. 2005년 7월 21일부터 8월 15일까지 2006년 3월 29일부터 7월 15일까지 2차로 나눠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거주하면서 수집 채록한 고려인의 구전 설화를 모아 정리했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632388)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제1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설화에 대하여 Ⅰ. 머리말 = 13 Ⅱ. 조사 경위 및 조사 과정 = 14 1. 조사 경위 = 14 2. 조사 과정 = 17 Ⅲ. 중앙아시아 고려인 구전설화의 존재양상 = 42 1. 중앙...
목차 제1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설화에 대하여 Ⅰ. 머리말 = 13 Ⅱ. 조사 경위 및 조사 과정 = 14 1. 조사 경위 = 14 2. 조사 과정 = 17 Ⅲ. 중앙아시아 고려인 구전설화의 존재양상 = 42 1. 중앙아시아 고려인 구전설화의 목록 = 42 2. 중앙아시아 고려인 구전설화의 유형 = 45 Ⅳ. 중앙아시아 고려인 구전설화의 특징 = 47 1. 유형상의 특징 = 47 2. 새로운 각편들 = 49 3. 기타 특징들 = 52 Ⅴ. 맺음말: 중앙아시아 고려인 구전설화의 의의 = 55 제2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설화 1. 이소냐 할머니 구연 자료 = 59 (1) 너도 토기장사하러 왔다 쫓겨왔니? = 59 (2) 부부 낮거리 = 60 (3) 남편 성행위 교육 = 61 2. 리따냐 할머니 구연 자료 = 62 (1) 어머니를 용서한 형제 = 62 (2) 삼 캐러 간 세 친구 = 69 (3) 가난한 집의 아내를 탐낸 부자 = 70 (4) 이 주먹이 누구 거요? = 72 (5) 불효자 이야기 = 73 3. 양노라 할머니 구연 자료 = 76 (1) 꼬부랑 강아지 = 76 (2) 아버님은 좆이가 되세요 = 76 4. 박리자 할머니 구연 자료 = 77 (1) 세상에서 가장 짧은 이야기: '고뿐' = 77 5. 한철주 할머니 구연 자료 = 78 (1) 아리랑 전설 = 78 (2) 우애 좋은 형제 = 80 (3) 잣이오(김선달이야기) = 81 (4) 새 좀 치마로 덮어 주오(김선달이야기) = 81 (5) '申'자, '辛'자 파자풀이 = 82 (6) 누가 더 무서운가? = 82 (7) 하고 나서 씻개(김삿갓이야기) = 83 6. 신뾰뜨르 할아버지 구연 자료 = 85 (1) 여자에게 비밀 말하지 마라 = 85 (2) 기구한 운명: 모자간의 근친상간 = 87 (3) 행실 나쁜 아내 버릇 고치기 = 89 7. 문선진 할아버지 구연 자료 = 90 (1) 김삿갓이야기 1 = 92 (2) 김삿갓이야기 2 = 92 (3) 도깨비이야기 1 = 93 (4) 도깨비이야기 2 = 93 (5) 도깨비이야기 3 = 93 (6) 제삿날 집 찾아온 처녀 혼령 = 94 (7) 제삿날 집 찾아온 부인 혼령 = 95 (8) 호식당할 운명 벗어나 잘 산 아이 = 97 (9) 침략자 일본 왕을 죽인 기생 = 100 (10) 여자에게는 비밀을 말하지 마라 = 101 8. 김 옐레나 할머니 구연 자료 = 102 (1) 제삿날 집 찾아온 처녀 혼령 = 102 9. 안예까치리나 할머니 구연 자료 = 104 (1) 부자와 가난뱅이 = 104 10. 강엘리자 할머니 구연 자료 = 105 (1) 고려장이야기 1: 도로 어머니 데려온 아들 = 105 (2) 고려장이야기 2: 고려장 사라진 유래 = 106 11. 박소냐 할머니 구연 자료 = 109 (1) 흥부와 놀부 = 109 12. 리스타스 씨 구연 자료 = 111 (1) 돈으로도 못 사는 행복 = 111 (2) 살았을 때는 뼈가 701개였는데 = 111 (3) 면목 안다고 고개를 끄덕이네 = 113 (4) 이순신을 태웠던 말 = 113 13. 리정숙 할머니 구연 자료 = 114 (1) 아기장수이야기 = 114 (2) 여러 가지 장수들 = 115 (3) 집 이사하라고 알려준 집신령 = 116 (4) 의붓어머니가 다리 절게 된 까닭 = 117 14. 안블라디미르 씨 구연 자료 = 118 (1) 부모 동침 못하게 하는 아이들 = 118 15. 박그리고리 할아버지 구연 자료 = 120 (1) 건더기는 없이 물만 남기다니 = 120 16. 김옥순 할머니 구연 자료 = 121 (1) 동자 산삼 = 121 (2) 꿈대로 하여 금을 얻은 효자 = 123 (3) 흥부와 놀부 = 123 (4) 죽지 않는 장수 = 124 17. 주라이사 할머니 구연 자료 = 125 (1) 고려장이야기 = 125 18. 유라이사 할머니 구연 자료 = 127 (1) 여자는 밖에서 집안 말 마라 = 127 (2) 호랑이 물리친 며느리 = 128 (3) 고양이 있습니까 = 129 (4) 오줌 누게 마차를 멈춰라 = 129 (5) 아지매요 = 130 19. 김로자 할머니 구연 자료 = 130 (1) 마약에 중독된 남편(실화) = 130 (2) 유리창 들이받은 아버지(실화) = 131 (3) 딸은 남 = 131 (4) 교회 나가게 된 내력(실화) = 134 (5) 며느리이야기 = 135 20. 김아나똘리 조사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구전설화 = 136 (1) 화재 = 139 (2) 독수리의 도움으로 장가들다 = 142 (3) 개 워리 = 146 (4) 귀신 사는 집 = 156 (5) 김선달이야기(1): 학동들을 먹여주다 = 159 (6) 김선달이야기(2): 서로 농담을 주고받다 = 161 (7) 김선달이야기(3): 귀중한 충고 = 162 (8) 김선달이야기(4): 쓸쓸한 강산의 인적이 드문 곳에서 = 163 (9) 김선달이야기(5): 한양 사람 혼내주기 = 164 (10) 김선달이야기(6): 송장 살리기 = 166 (11) 김선달이야기(7): 상인 도와주기 = 169 (12) 김선달이야기(8): 대동강 팔아먹기 = 173 (13) 김선달이야기(9): 거짓말에 대한 대가 = 176 (14) 김선달이야기(10): 가족 = 178 (15) 운명 = 180 (16) 또다시 운명 = 182 (17) 자기 스스로 = 184 (18) 장사의 여동생 = 186 (19) 유령의 집 = 190 (20) 바둑(장기) 좋아한 사람의 아들 = 194 (21) 우둔한 상관, 현명한 상관 = 197 (22) 옥루에서의 은둔생활 = 200 (23) 며느리의 효도 = 205 (24) 멸망당한 집안 = 208 (25) 어사의 모험 = 213 (26) 요술쟁이 전우친(전우치) = 218 (27) 게으름뱅이 아내(바람둥이 아내) = 222 (28) 소금장수의 모험 = 225 (29) 김삿갓이야기: 이 불 끄고 = 237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160e9be2a817ab98ffe0bdc3ef48d419#redir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