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생활보장 수급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00658
박경연 (신라대학교)
2013
Korean
Elderly ; HRQoL ; Gender ; Beneficiaries. ; 기초생활보장 ; 노인 ; 성별 ; 건강관련 삶의 질.
KCI등재
학술저널
3219-3233(15쪽)
1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생활보장 수급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으로,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생활보장 수급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으로, 질병관리본부의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규정에 따른 연구계획서 제출, 심의 후 승인을 받아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초생활보장 수급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남성노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회귀분석결과 지각된 건강상태가 여성과 남성 노인 모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이었고, 만성질환 중 여성과 남성 모두에서 영향을 주는 변수는 관절염과 뇌졸중이었다. 아침식사는 남성 노인에서만, 아플 때 병원방문 포기한 경험, 우울증, 정기건강검진, 골다공증, 비만도는 여성 노인에서만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었다. 이를 통해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성별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 영향 변수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by gender among elderly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Data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0 conducted by the Korea 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by gender among elderly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Data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0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examine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QoL between gender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HRQoL among elderly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was perceived health status. Two of chronic diseases affecting both aged women and men's HRQoL were arthritis and stroke. The only variable affecting the aged men's HRQoL was the breakfast. And the elderly women's same variables were the experience of giving up hospital care, the depression, medical check up, osteoporosis, and body mass index. These results could be available for improving the destitute elderly's HRQoL.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석민, "행위단서인 매체에서 암관련 정보추구 유무가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9 (19): 76-86, 2013
2 정지영, "한국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율,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 조사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근거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445-459, 2010
3 김영경, "퇴행성슬관절염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 및 영향요인 - 통증, 일상생활활동, 우울을 중심으로 -"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3009-3020, 2011
4 엄애용, "타이치 운동이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9 (19): 152-160, 2012
5 전은영, "취약계층 남성노인의 연령별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0 (40): 400-410, 2010
6 김철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노인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42 (42): 136-147, 2012
7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8 김윤희, "저소득 여성노인의 연령별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342-1349, 2013
9 김영희,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1273-1287, 2009
10 이혜영, "재가 여성장애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5 (35): 575-584, 2005
1 홍석민, "행위단서인 매체에서 암관련 정보추구 유무가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9 (19): 76-86, 2013
2 정지영, "한국 성인의 삶의 질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율,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 조사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근거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445-459, 2010
3 김영경, "퇴행성슬관절염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 및 영향요인 - 통증, 일상생활활동, 우울을 중심으로 -"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3009-3020, 2011
4 엄애용, "타이치 운동이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9 (19): 152-160, 2012
5 전은영, "취약계층 남성노인의 연령별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0 (40): 400-410, 2010
6 김철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노인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42 (42): 136-147, 2012
7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8 김윤희, "저소득 여성노인의 연령별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342-1349, 2013
9 김영희,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1273-1287, 2009
10 이혜영, "재가 여성장애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5 (35): 575-584, 2005
11 김종임, "일부 농촌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EQ-5D) 수준 및 관련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99-109, 2013
12 홍선우,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9 (39): 480-489, 2009
13 원수진, "심장수술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107-121, 2011
14 조민우, "시간교환법을 이용한 일부 EQ-5D 건강상태의 질 가중치 측정" 대한예방의학회 40 (40): 169-176, 2007
15 김은미, "소규모 사업장 보건관리프로그램이 고령근로자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9 (19): 78-87, 2010
16 박서희, "만성 간질환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223-236, 2013
17 박경민, "도시지역 기초생활 수혜 노인의 자기관리 능력과 건강증진행위"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0 (30): 96-103, 2004
18 손신영,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 26 (26): 601-615, 2006
19 김귀분,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성인간호학회 20 (20): 146-155, 2008
20 이동호, "노인들의 질환별 유병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16-224, 2011
21 이석구,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수준, 건강행태와의 관계" 대한예방의학회 38 (38): 154-162, 2005
22 김혜령, "기초생활보장 수급 노인의 삶의 질" 한국간호과학회 38 (38): 694-703, 2008
23 안지연, "관절염 노인의 연령별 우울정도와 위험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9 (39): 72-83, 2009
24 Li, Y., "Visual impair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adults with age-related eye diseases" 20 : 845-852, 2011
25 Kim, K. B., "The correlation among health status,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the adult stroke patient’s family and the aged stroke patient’s family" 13 : 262-276, 2001
2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u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in 2012"
27 Statistics Korea, "Statistics for the elderly in 2012"
2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tatistical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2007"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29 Kemp, A., "Rural older women’s experiences with chronic health problems : Daily challenges and care practices" 44 (44): 416-417, 2004
30 Abbasimoghadam, M. A.,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ion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mong elderly people living in Tehran" 9 : 270-275, 2009
31 Minkler, M., "Health promotion for older Americans in the 21th century" 14 (14): 371-397, 2000
32 Potter, P. A., "Fundamentals of Nursing" Mosby 2005
33 Chung, M. H., "Exploration into the variance in self-report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chronically-ill elderly and their family caregivers" 15 (15): 175-275, 2007
34 Rabin, R., "EQ-5D. A measure of health status from the EuroQol group" 33 : 337-343, 2001
35 Borzecki, A. M., "Do poor health behaviors affec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veterans" 28 : 141-156, 2005
36 Choi, H. K., "A study on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quality of life for the aged-focused on the aged and super aged-" Hanyang University 2010
37 Bowling, A., "A multidimensional model of the quality of life older age" 6 : 355-371, 2002
온열환경 쾌적감에 따른 쾌적환경 구분에 있어 물리적 환경요소들의 특성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재표본 방법을 이용한 군집화 불안정성 측정에 관한 연구
집단화된 자료의 도수다각형에 근거한 분위수 계산법과 관련 모의실험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8 | 0.956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