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에 위치한 E 대학 간호대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공감능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00653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95-2808(14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에 위치한 E 대학 간호대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공감능력,...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에 위치한 E 대학 간호대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공감능력, 문화간호 자신감, 문화적 역량에 대한 자가보고 질문지를 사용하여 2013년 11월 2일부터 12월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97세(SD=2.00)이었고 외국어 능력과 문화간호 자신감의 평균 점수는 각각 4.98점(SD=1.72)과 4.66점(SD=1.89)이었다. 자기효능감의 평균 점수는 79.32점(범위 59-102)이었고, 공감능력의 평균 점수는 107.56점(범위 61-141)이었으며, 문화적 역량의 평균 점수는 122.17점(범위 69-201)이었다. 문화적 역량과 문화간호 자신감(r=.403, p<.001), 자기효능감(r=.227, p<.001)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간호 자신감, 외국거주경험, 자기효능감이었고 총분산의 24%를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수방법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Participants were 18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E university, Gyeonggi provi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Participants were 18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E university, Gyeonggi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self-administration questionnaires of self-efficacy, empathy,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and cultural competency from 2nd November to 13th December in 2013. The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software.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0.97 (SD=2.0) years and the average score of foreign language skill and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was 4.98 (SD=1.72) and 4.66 (SD=1.89), respectively. Mean self-efficacy score was 79.32 (range: 59-102), mean empathy score was 107.56 (range: 61-141), and mean cultural competency score was 122.17 (range: 69-201).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r=.403, p<.001), and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r=.227, p<.001). Twenty-four percent of cultural competency was explained by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residence experience in foreign country,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diversity of teaching method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need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참고문헌 (Reference)
1 채덕희,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 18 (18): 76-86, 2012
2 지은주,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1685-1697, 2014
3 이은지, "일 지역 보건진료원의 문화적 역량"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3 (23): 179-188, 2012
4 조미경, "인공신장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수행자신감"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2595-2610, 2012
5 오원옥, "보건의료 및 복지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 23 (23): 192-199, 2010
6 김은혜, "보건·복지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공감력,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769-2779, 2014
7 김금미, "대학생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수용적 행동: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259-283, 2010
8 박순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23-145, 2011
9 김경화,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의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143-158, 2011
10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1 채덕희, "종합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 18 (18): 76-86, 2012
2 지은주,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1685-1697, 2014
3 이은지, "일 지역 보건진료원의 문화적 역량"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3 (23): 179-188, 2012
4 조미경, "인공신장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수행자신감"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2595-2610, 2012
5 오원옥, "보건의료 및 복지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 23 (23): 192-199, 2010
6 김은혜, "보건·복지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공감력,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769-2779, 2014
7 김금미, "대학생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수용적 행동: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259-283, 2010
8 박순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23-145, 2011
9 김경화,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의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143-158, 2011
10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11 박영례, "간호학생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신감" 기본간호학회 14 (14): 429-436, 2007
12 김선희, "간호사의 문화간호 자기효능감과 문화간호역량 교육 요구" 한국간호과학회 43 (43): 102-113, 2013
13 양진향,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2611-2622, 2012
14 정명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강화를 위한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 간 상관관계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32-339, 2014
15 김덕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 22 (22): 159-168, 2013
16 오원옥,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간호학회 17 (17): 222-229, 2011
17 양선이,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183-193, 2013
18 김경숙, "간호대학생의 결혼이민자 및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인식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 24 (24): 531-539, 2012
19 양선이, "간호 대학생의 공감 능력 및 자아 탄력성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1699-1710, 2015
20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 663-671, 1982
21 Campinha-Bacote, J., "T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A model of care" 13 (13): 181-184, 2002
22 Hughes, K. H., "Teaching methods and an outcome tool for measuring cultural sensitivit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18 : 57-62, 2007
23 Sugiura, K., "Survey-based analysis of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and its predictors : Comparison between nurses who were Japan overseas cooperation volunteers and nurses working at municipal hospitals" 23 (23): 22-36, 2003
24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tatistics on Foreign Residents by Local Governments in 2015"
25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77
26 Long, T. B., "Overview of teaching strategies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20 : 325-333, 2012
27 Davis, M. H.,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 approach" 44 : 113-126, 1983
28 Salanova, M., "Link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nurses’ extra‐role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work engagement" 67 (67): 2256-2266, 2011
29 Askarian, M., "Knowledge, practice, and attitude among Irianian nurses, midwives and students regarding standard isolation precautions" 28 (28): 241-244, 2007
30 Caffrey, R. A., "Improv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Results of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the curriculum and an international immersion experience" 44 (44): 234-240, 2005
31 Faul, F.,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39 (39): 175-191, 2007
32 Jeffreys, M. R., "Evaluat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on students' transcultural self-efficacy perceptions" 23 (23): 188-197, 2012
33 Koskinen, L., "Enhancing cultural competence: Trans-Atlantic experiences of European and Canadian nursing students" 15 (15): 502-509, 2009
34 Schim, S.,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instrument" 11 (11): 29-40, 2003
35 Campinha-Bacote, J., "Becoming culturally competent in ethnic psychopharmacology" 45 (45): 27-33, 2007
36 Dawson, L., "Assessment of self-efficacy for cultural competence in prescribing" 6 : 44-48, 2010
37 Min, S. H., "A exploratory study about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the cultural awareness" 11 (11): 183-206, 2009
간호학생의 창의성, 책임지향성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Electricity Demand and Lock-in Effect
The Implicit Price of PM2.5 by Using Hedonic Model : The Case of Incheon and Gyunggido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8 | 0.956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