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시험 체제하에서의 법학 및 법학교육의 위기에 대응하여 로스쿨 체제가 출범하였다. 그렇지만 법학 및 법학교육의 위기는 가시지 않고 더욱더 심화되고 있다. 행정법학의 危機 는 학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24875
2019
-
법학교육 ; 법학 및 법학교육의 위기 ; 로스쿨 체제 ; 변호사시험 ; 행정법도그마틱 ; 법치국가원리적 상황
363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83-213(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법시험 체제하에서의 법학 및 법학교육의 위기에 대응하여 로스쿨 체제가 출범하였다. 그렇지만 법학 및 법학교육의 위기는 가시지 않고 더욱더 심화되고 있다. 행정법학의 危機 는 학문...
사법시험 체제하에서의 법학 및 법학교육의 위기에 대응하여 로스쿨 체제가 출범하였다. 그렇지만 법학 및 법학교육의 위기는 가시지 않고 더욱더 심화되고 있다. 행정법학의 危機 는 학문으로서의 행정법학을 委棄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성문법전이 없다는 행정법의 특징이 이제는 행정법학의 존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치명적인 약점이 되고 있다. 행정법도그마틱을 어느 정도로 집약하여 성문화하지 않고서는 교육현장에서 행정법은 비호감이 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로스쿨체제하에서 비판적 논증이 없는 판례암기만이 법학교육의 정상적 수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고정관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동반되지 않은, 행정법학의 판례에로의 도피는 일시적인 편안함을 넘어 행정법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심각한 의문을 던진다. 진화가 없는 국가와 사회는 그 구성원 모두를 힘들게 만든다. 학문 역시 마찬가지이다. 개인적으로 지금의 단계는 비단 행정법학만이 아니라, 법학 전반이 그 본연을 잃어버리고 자신의 자리를 이미 상실하였거나 급속히 상실해가는 것으로 여겨진다. 행정법학을 비롯한 법학의 현재의 위기상황은 잠재적 파산상태에 견줄 수 있다. 학문의 세계와 대학사회에서 낙오된 영역이 현실에서 그 힘을 발휘할 수 없듯이, 법학의 추락은 대학을 넘어 법제도 및 법조직역의 위상저 하로 이어질 것이고, 이는 법치국가원리적 상황의 위기를 낳는다. 법학의 위기가 법학교육의 위기이자, 법치국가원리적 상황의 위기를 낳는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경찰행정법학, 어떻게 할 것인가? 2019, 어느 경찰행정법학자의 개강사
하자있는 행정조사와 행정행위의 효과 일본의 판례와 학설을 중심으로
미국 행정법상 대통령의 법적 지위 * 대통령의 보좌조직과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중심으로
미국 행정절차법(APA)상 처분이유제시의무의 범위 * 납세고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