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의 분류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 Taxonomic study of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는 매과(Family Falconidae)에 속하며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고, 일부 개체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철새에 속한다. 2021년 3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전남 해남군, 경기도 파주시, 인천시 강화군, 충남 서산시와 태안군에서 38개체의 번식 및 월동 개체를 포획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적 특성,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여 국내 황조롱이 집단의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모계유래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Control region, Cytochrome b)의 염기서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황조롱이 집단들 사이에 현저히 낮은 유전적 분화도와 유전적 다양성을 보이며 이들 집단들은 모두 단일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조롱이 수컷과 암컷 모두 형태적으로 변이가 심한 특징을 보였으며, 조사 기간 중 드문 철새로 도래하는 것으로 알려진 아종 한국황조롱이 F. t. tinnunculus는 확인되지 않았다. 한국에 분포하는 황조롱이는 텃새집단과 철새집단 모두 서식하므로 향후 텃새와 철새 집단의 형태적 변이 및 유전적 유연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아종 및 연령에 따른 형태적 특징, 분포 지역, 이동성에 대한 실체가 파악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는 매과(Family Falconidae)에 속하며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고, 일부 개체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철새에 속한다. 2021년 3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전남 해남군, 경기도 파주...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는 매과(Family Falconidae)에 속하며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고, 일부 개체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철새에 속한다. 2021년 3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전남 해남군, 경기도 파주시, 인천시 강화군, 충남 서산시와 태안군에서 38개체의 번식 및 월동 개체를 포획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적 특성,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여 국내 황조롱이 집단의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모계유래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Control region, Cytochrome b)의 염기서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황조롱이 집단들 사이에 현저히 낮은 유전적 분화도와 유전적 다양성을 보이며 이들 집단들은 모두 단일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조롱이 수컷과 암컷 모두 형태적으로 변이가 심한 특징을 보였으며, 조사 기간 중 드문 철새로 도래하는 것으로 알려진 아종 한국황조롱이 F. t. tinnunculus는 확인되지 않았다. 한국에 분포하는 황조롱이는 텃새집단과 철새집단 모두 서식하므로 향후 텃새와 철새 집단의 형태적 변이 및 유전적 유연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아종 및 연령에 따른 형태적 특징, 분포 지역, 이동성에 대한 실체가 파악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ickinson, E. C.,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2003

      2 Vaurie, C, "The birds of the Palearctic fauna. Volume 2:Non-Passeriformes" H.F. and G. Witherby Ltd 1965

      3 Dickinson, E. C.,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2: Passerines" Aves Press 2014

      4 Clements, J. F, "The Clements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2007

      5 Austin, O. L, "The Birds of Korea" 101 (101): 301-, 1948

      6 Vaurie, C, "Systematic Notes on Palearctic Birds. No. 45 Falconidae:The Genus Falco (Part 2). American Museum novitates" American Museum novitates 1-24, 1961

      7 Clark, A. H, "Report on a collection of birds made by Pierre Louis Jouy in Korea" 38 : 147-176, 1910

      8 Ferguson-Lees, J., "Raptor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2001

      9 박희천 ; 류시현 ; Jin Hee Le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of the KoreanSubspecies of the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한국동물분류학회 22 (22): 87-89, 2006

      10 Kodak, "Kodak color separation guides and gray scales / Q14"

      1 Dickinson, E. C.,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2003

      2 Vaurie, C, "The birds of the Palearctic fauna. Volume 2:Non-Passeriformes" H.F. and G. Witherby Ltd 1965

      3 Dickinson, E. C.,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2: Passerines" Aves Press 2014

      4 Clements, J. F, "The Clements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2007

      5 Austin, O. L, "The Birds of Korea" 101 (101): 301-, 1948

      6 Vaurie, C, "Systematic Notes on Palearctic Birds. No. 45 Falconidae:The Genus Falco (Part 2). American Museum novitates" American Museum novitates 1-24, 1961

      7 Clark, A. H, "Report on a collection of birds made by Pierre Louis Jouy in Korea" 38 : 147-176, 1910

      8 Ferguson-Lees, J., "Raptor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2001

      9 박희천 ; 류시현 ; Jin Hee Le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of the KoreanSubspecies of the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한국동물분류학회 22 (22): 87-89, 2006

      10 Kodak, "Kodak color separation guides and gray scales / Q14"

      11 Won, P. O,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avifauna). vol. 25"

      12 Baker, K, "Identification guide to European non-passerines"

      13 Park, J. G, "Identification Guide to Birds of Korea" Nature and Ecology Publication 2022

      14 Demongin, L, "Identification Guide birds in the ha"

      15 Gill, F., "IOC World Bird List (v. 11.1)"

      16 Zhang, L., "Genetic variation between subspecies of Common Kestrels (Falco tinnunculus) in Beijing, China" 42 (42): 214-219, 2008

      17 Clark, A. H, "Eighteen new species and one new genus of birds from eastern Asia and the Aleutian islands" 32 : 468-, 1907

      18 Brown, L,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Wellfleet 1989

      19 Meise, W, "Die Vogelwelt der Mandschurei" 18 (18): 1-86, 1934

      20 Park, J. Y,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birds in Korea" Kyung Hee University 2002

      21 Groombridge, J. J., "A molecular phylogeny of African Kestrels with reference to divergence across the Indian Ocean" 25 : 267-277, 2002

      22 Lee, W. S.,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