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동해안 굿에서의 오구굿이 지니는 의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0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구굿은 망자의 원과 한을 풀어서 저승으로 천도시키는 기능을 한다. 망자가 천도되면서 조상으로 새롭게 좌정하게 된다. 이렇게 오구굿은 통과의례적 성격을 지닌다. 불완전한 죽음에 처한 망자에게 새로운 정체성(identity)을 부여해서 새로운 존재, 즉 조상으로서 위상을 정립시킨다. 오구굿이라는 의례절차에 의해서 새로운 존재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어떤 종교도 정신적인 것과 주술적인 것을 동시에 포용하지 않고 성숙한 예는 없다. 특히 주술적인 측면을 도외시하고 나면, 세계의 살아있는 힘으로부터 스스로를 단절시키는 결과가 되어 인간의 정신적 측면마저 성숙에 이르지 못한다. 오구굿 또한 조상신앙을 구체화한 죽음의례로서 가치가 있다.
      오구굿은 신앙성과 사회성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이승의 사회적ㆍ신앙적 관계를 저승의 확대ㆍ지속한 신앙이라 할 수 있다. 사후세계는 이승의 반영이다. 죽음은 삶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된다. 망자에게 천도의례를 행하는 것은 미완의 망자를 완성된 하나의 실체로 만드는 의례이다. 즉 오구굿은 신앙적으로 확대되어 완전한 신격으로 거듭나게 하는 통과의례이다.
      번역하기

      오구굿은 망자의 원과 한을 풀어서 저승으로 천도시키는 기능을 한다. 망자가 천도되면서 조상으로 새롭게 좌정하게 된다. 이렇게 오구굿은 통과의례적 성격을 지닌다. 불완전한 죽음에 처...

      오구굿은 망자의 원과 한을 풀어서 저승으로 천도시키는 기능을 한다. 망자가 천도되면서 조상으로 새롭게 좌정하게 된다. 이렇게 오구굿은 통과의례적 성격을 지닌다. 불완전한 죽음에 처한 망자에게 새로운 정체성(identity)을 부여해서 새로운 존재, 즉 조상으로서 위상을 정립시킨다. 오구굿이라는 의례절차에 의해서 새로운 존재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어떤 종교도 정신적인 것과 주술적인 것을 동시에 포용하지 않고 성숙한 예는 없다. 특히 주술적인 측면을 도외시하고 나면, 세계의 살아있는 힘으로부터 스스로를 단절시키는 결과가 되어 인간의 정신적 측면마저 성숙에 이르지 못한다. 오구굿 또한 조상신앙을 구체화한 죽음의례로서 가치가 있다.
      오구굿은 신앙성과 사회성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이승의 사회적ㆍ신앙적 관계를 저승의 확대ㆍ지속한 신앙이라 할 수 있다. 사후세계는 이승의 반영이다. 죽음은 삶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된다. 망자에게 천도의례를 행하는 것은 미완의 망자를 완성된 하나의 실체로 만드는 의례이다. 즉 오구굿은 신앙적으로 확대되어 완전한 신격으로 거듭나게 하는 통과의례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gugut does function sending to beyond because remove dead's grudge. A dead is switched over newly to ancestor. Ogugut has rite of passage property. It gives a new true identity characteristic to the dead person poorly and it converts with the ancestor. By the Ogugut it is had a new existence value.
      Plentifully there is a case where also the what kind of religion accommodates the mental thing and the incantation thing simultaneously. When it disregards the incantation thing specially, it can be isolated oneself and it cannot reach to a spirit completion. The Ogugut there is a value with the ritual which materializes a ancestor worship.
      The Ogugut is combination of the religious belief and the sociality. It maintains the relationship of this world even from the world beyond. The world beyond is reflection of this world. Dies becomes the opportunity which changes a life quality. The funeral rites is the courtesy which completes the dead person. The Ogugut is the rite of passage which does to be born again with the God which is complete.
      번역하기

      Ogugut does function sending to beyond because remove dead's grudge. A dead is switched over newly to ancestor. Ogugut has rite of passage property. It gives a new true identity characteristic to the dead person poorly and it converts with the ancesto...

      Ogugut does function sending to beyond because remove dead's grudge. A dead is switched over newly to ancestor. Ogugut has rite of passage property. It gives a new true identity characteristic to the dead person poorly and it converts with the ancestor. By the Ogugut it is had a new existence value.
      Plentifully there is a case where also the what kind of religion accommodates the mental thing and the incantation thing simultaneously. When it disregards the incantation thing specially, it can be isolated oneself and it cannot reach to a spirit completion. The Ogugut there is a value with the ritual which materializes a ancestor worship.
      The Ogugut is combination of the religious belief and the sociality. It maintains the relationship of this world even from the world beyond. The world beyond is reflection of this world. Dies becomes the opportunity which changes a life quality. The funeral rites is the courtesy which completes the dead person. The Ogugut is the rite of passage which does to be born again with the God which is comple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무의례의 층위별 역할과 활동범위
      • 3. 오구굿의 의미와 성격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무의례의 층위별 역할과 활동범위
      • 3. 오구굿의 의미와 성격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조상숭배" 1986.

      2 "한국민속학의 이해" 민속학회 문학아카데미 1994.

      3 "충청도 사혼제 속의 연행 인형 연구" 한국무속학회 4 : 2002

      4 "울진민요와 규방가사" 2001

      5 "연행예술로서 동해안 굿의 변화 양상과 변화 요인" 1999

      6 "삶 그리고 죽음" 대한교과서 1995

      7 "동해안 오기굿과 무가 연구" 1997

      8 "동해안 오귀굿 구조의 현장론적 연구" 2005

      9 "독석마을에서 본 오구굿과 死婚" 한국무속학회 2 : 2000

      1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82.

      1 "한국의 조상숭배" 1986.

      2 "한국민속학의 이해" 민속학회 문학아카데미 1994.

      3 "충청도 사혼제 속의 연행 인형 연구" 한국무속학회 4 : 2002

      4 "울진민요와 규방가사" 2001

      5 "연행예술로서 동해안 굿의 변화 양상과 변화 요인" 1999

      6 "삶 그리고 죽음" 대한교과서 1995

      7 "동해안 오기굿과 무가 연구" 1997

      8 "동해안 오귀굿 구조의 현장론적 연구" 2005

      9 "독석마을에서 본 오구굿과 死婚" 한국무속학회 2 : 2000

      1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