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적웅, "한국 현대시의 시작방법 연구 : 김춘수·김수영·신동엽의 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2 김종욱, "하이데거와 형이상학 그리고 불교" 철학과 현실사 2003
3 한스 페터 헴펠, "하이데거와 禪" 민음사 1995
4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5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숭고와 시뮬라르크의 이중주" 아트북스 2004
6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지식인의 종언" 문예출판사 2011
7 이광호, "자유의 시학과 미적 현대성-김수영과 김춘수 시론에 나타난 '무의미'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12) : 271-297, 2005
8 김예령, "숭고에 대하여" 문학과지성사 2005
9 마르틴 하이데거, "동일성과 차이" 민음사 2009
10 이정길, "데리다를 통해 본 말라르메의 유희" 한국프랑스학회 18 : 1992
1 권적웅, "한국 현대시의 시작방법 연구 : 김춘수·김수영·신동엽의 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2 김종욱, "하이데거와 형이상학 그리고 불교" 철학과 현실사 2003
3 한스 페터 헴펠, "하이데거와 禪" 민음사 1995
4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5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숭고와 시뮬라르크의 이중주" 아트북스 2004
6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지식인의 종언" 문예출판사 2011
7 이광호, "자유의 시학과 미적 현대성-김수영과 김춘수 시론에 나타난 '무의미'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12) : 271-297, 2005
8 김예령, "숭고에 대하여" 문학과지성사 2005
9 마르틴 하이데거, "동일성과 차이" 민음사 2009
10 이정길, "데리다를 통해 본 말라르메의 유희" 한국프랑스학회 18 : 1992
11 남기혁,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4 : 1999
12 김춘수, "김춘수 시전집-김춘수 전집 1" 현대문학 2004
13 김춘수, "김춘수 시론전집Ⅱ" 현대문학 2004
14 김춘수, "김춘수 시론전집Ⅰ" 현대문학 2004
15 하재연, "‘순수 언어’의 추구와 현대시의 방향-김춘수 시론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 (2):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