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만아동의 신체활동량과 신체활동 예측 요인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74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만아동과 비만이 아닌 아동의 신체활동 수준을 비교하고 신체활동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검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의 지원 하에 3개년간 진행되는 ‘아동비만 예방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효과’를 검증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피험자는 미국 Chicago 소재 4개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9~11세 남아 200명, 여아 200명을 모집한 후 IOTF(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의 비만 정의에 따라 비만아동과 비비만아동을 분류한다.
      이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수준, 신체활동 패턴, 신체활동 요인들을 조사한다.
      신체활동수준은 accelerometer(MTI-CSA monitor)와 accelerometer를 착용하고 있는 평일 3일에 대한 신체활동일기를 작성함으로써 측정할 예정이다. 신체활동일기는 Bouchard 등(1983)에 의해 개발된 방법을 보완한 형식을 취한다.
      신체활동패턴은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의 신체활동설문지와 ‘1997 NSW Schools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Survey’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측정한다.
      신체활동요인은 Bandura 등(1986)의 ‘Social Cognitive Theory’와 Ajzen 등(1980)의 ‘Theory of Reasoned Action/Planned Behavior’를 바탕으로 인구학적 요인, 심리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들을 조사한다.
      통계분석은 3일간의 활동수준에 대한 집단간 시점감 차이검증을 위하여 이원배치 반복측정분산분석(2*3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도록 하며 시점간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경우 총활동량에 대한 집단간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신체활동수준에 미치는 요인들을 검출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며 비만아동과 비비만아동의 그룹간 신체활동 요인들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다. 유의수준은 a=0.05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만아동과 비만이 아닌 아동의 신체활동 수준을 비교하고 신체활동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검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의 지원 하에 3개...

      본 연구는 비만아동과 비만이 아닌 아동의 신체활동 수준을 비교하고 신체활동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검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의 지원 하에 3개년간 진행되는 ‘아동비만 예방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효과’를 검증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피험자는 미국 Chicago 소재 4개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9~11세 남아 200명, 여아 200명을 모집한 후 IOTF(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의 비만 정의에 따라 비만아동과 비비만아동을 분류한다.
      이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수준, 신체활동 패턴, 신체활동 요인들을 조사한다.
      신체활동수준은 accelerometer(MTI-CSA monitor)와 accelerometer를 착용하고 있는 평일 3일에 대한 신체활동일기를 작성함으로써 측정할 예정이다. 신체활동일기는 Bouchard 등(1983)에 의해 개발된 방법을 보완한 형식을 취한다.
      신체활동패턴은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의 신체활동설문지와 ‘1997 NSW Schools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Survey’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측정한다.
      신체활동요인은 Bandura 등(1986)의 ‘Social Cognitive Theory’와 Ajzen 등(1980)의 ‘Theory of Reasoned Action/Planned Behavior’를 바탕으로 인구학적 요인, 심리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들을 조사한다.
      통계분석은 3일간의 활동수준에 대한 집단간 시점감 차이검증을 위하여 이원배치 반복측정분산분석(2*3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도록 하며 시점간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경우 총활동량에 대한 집단간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신체활동수준에 미치는 요인들을 검출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며 비만아동과 비비만아동의 그룹간 신체활동 요인들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다. 유의수준은 a=0.05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