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자유학년제 과학과 물리 영역 주제선택 프로그램 분석 = Analysis of the Theme Program Selected from Physics Areas for Middle School Free-Year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8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the initial free semester program(FSP) puts emphasis on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ts emphasis is now shifted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me selec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sics-based programs in theme selection activities, which were introduced on the FSP website of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Especially, we analyzed distributions of the contents and in physics area, elements of the scientific key competencies(SKC), and types of science experiments in those physics-based program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largest percentage of programs are related with the area of “forces and motion” and the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mong other SKC is the least included in all programs. And the closed and passive experiments are higher in proportion than the active and non-structured ones. Finally, we discussed the method to operate the theme selection activities effectively.
      번역하기

      While the initial free semester program(FSP) puts emphasis on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ts emphasis is now shifted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me selec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sics-based programs in theme selec...

      While the initial free semester program(FSP) puts emphasis on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ts emphasis is now shifted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me selec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sics-based programs in theme selection activities, which were introduced on the FSP website of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Especially, we analyzed distributions of the contents and in physics area, elements of the scientific key competencies(SKC), and types of science experiments in those physics-based program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largest percentage of programs are related with the area of “forces and motion” and the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mong other SKC is the least included in all programs. And the closed and passive experiments are higher in proportion than the active and non-structured ones. Finally, we discussed the method to operate the theme selection activities eff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일호, "초·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35-241, 2007

      2 남윤선, "창의 · 인성을 강조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37 (37): 131-141, 2013

      3 신철균,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4 김희백,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실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16 (16): 210-216, 1996

      5 손미현, "자유학기제 이공계 특화 프로그램: 에너지와 환경 –뻔한 에너지? Fun한 에너지 게임!"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7개 시·도교육청 2017

      6 백성하, "자유학기제 이공계 특화 프로그램: 신기술과 신소재 –슈퍼히어로의 비밀"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7개 시·도교육청 2017

      7 정양덕,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을 통한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연구
- 전라북도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중학교를 중심으로" 21 (21): 1-25, 2015

      8 황영란, "자유학기제 교과 연계 주제선택 활동 사례집: 과학, 기술·가정" 한국교육개발원 2016

      9 박영운, "자유학기제 과학교과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2016년 서울형 자유학기제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0 김상용, "자유학기 선택 프로그램 20: 항공과학의 세계"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2015

      1 양일호, "초·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35-241, 2007

      2 남윤선, "창의 · 인성을 강조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37 (37): 131-141, 2013

      3 신철균,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4 김희백, "중·고등학생의 과학실험실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16 (16): 210-216, 1996

      5 손미현, "자유학기제 이공계 특화 프로그램: 에너지와 환경 –뻔한 에너지? Fun한 에너지 게임!"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7개 시·도교육청 2017

      6 백성하, "자유학기제 이공계 특화 프로그램: 신기술과 신소재 –슈퍼히어로의 비밀"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7개 시·도교육청 2017

      7 정양덕,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을 통한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연구
- 전라북도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중학교를 중심으로" 21 (21): 1-25, 2015

      8 황영란, "자유학기제 교과 연계 주제선택 활동 사례집: 과학, 기술·가정" 한국교육개발원 2016

      9 박영운, "자유학기제 과학교과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2016년 서울형 자유학기제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0 김상용, "자유학기 선택 프로그램 20: 항공과학의 세계"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2015

      11 왕범식, "자유학기 선택 프로그램 14: 놀이공원의 과학"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2014

      12 양일호,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42-355, 2006

      13 김순식, "소집단 토의·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2 (12): 54-63, 2019

      14 이재봉,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 공개 문항에 나타난 중학생의 물리 학습 특성" 한국물리학회 64 (64): 299-306, 2014

      15 조명희, "고교생의 진로발달, 학교생활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구조적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91-112, 2013

      16 임종헌, "‘자유학기 활동’ 운영 과정에 대한 혼합 방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6 (46): 61-91, 2019

      17 이효진, "‘빛과 소리’교육을 위한 과학·공학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11-224, 2019

      18 OECD, "PISA 2012 results: Ready to Learn: Students' engagement, drive and self-beliefs (Volume Ⅲ)" OECD Publishing 2013

      19 최상덕 외, "2015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6

      20 조현미, "2015 자유학기제 선택 프로그램: 과학으로 들여다 본 세상 이야기" 부산광역시교육청 2015

      21 송진웅,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실문화"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9 (9): 72-84, 2015

      22 김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 영역 탐구 활동에 포함된 과학과 핵심역량의 적절성 분석" 한국물리학회 69 (69): 473-483, 2019

      23 윤도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과 핵심역량 하위요소 추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301-1319,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7 1.7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