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사의 업무 부담에 따른 정서적 소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9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간호사의 업무 부담과 정서적 소진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간호사의 업무 부담과 정서적 소진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에서 실시한 교육에 참여하고 설문에 응답한 간호사 중 65개병원의 3,083명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간호사의 71.6%가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였으며 정서적 소진의 평균점수는 33.54점이었다. 둘째, 비간호 업무 경험은 정서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분한 간호인력’변수는 정서적 소진을 높였다. 넷째, ‘간호등급’은 간호사당 4병상 이상에 비해 3.5-3.9 병상만이 정서적 소진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다섯째, 내과병동에서 근무하는 경우(OR=2.05)와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정서적 소진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 업무 부담을 나타내는 ‘비간호 업무 경험’, ‘충분한 간호인력’, ‘간호등급’의 3가지 변수 모두 정서적 소진을 간호사 수준과 병원 수준에서 설명력 있는 유의한 변수였다. 또한 ‘근무부서’, ‘임상경력’도 정서적 소진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임이 나타났다. 즉, 비간호 업무 경험이 많을수록, 간호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간호사당 침상수가 많을수록, 내과부서에 근무하는 경우,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정서적 소진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nurse"s emotional exhaustion and influencing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burnout and hospital nursing workload using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ubjects were 3,083 nurses of 65 hospit...

      This study examined the nurse"s emotional exhaustion and influencing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burnout and hospital nursing workload using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ubjects were 3,083 nurses of 65 hospital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nducted by the Healthcare Industry Trade Union in 2010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First, 71.6% of nurses experienced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average score of emotional exhaustion was 33.53. Second, the "non - nursing work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Third, the "sufficient nursing staff" variable increased the emotional exhaustion. Fourth, the nursing grade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emotional exhaustion compared to those with more than four beds per nurse. Fifth, in the case of working in the internal ward, the shorter the clinical career, the higher the emotional exhaustion. In other words, higher emotional exhaustion was associated with more nursing work experience, more perceived insufficient nursing staff, more nurses per bed,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a shorter clinical care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고찰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세영, "초보간호사의 이직의도 경험"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168-176, 2013

      2 윤금숙,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6 (16): 507-516, 2010

      3 강정숙,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3-273, 2015

      4 변대식,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15 (15): 444-454, 2009

      5 최혜윤,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279-300, 2003

      6 채영란, "병원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신체증상 및 소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430-440, 2017

      7 김영옥, "병원 일반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14 (14): 591-601, 2002

      8 고유경, "간호근무환경과 간호결과와의 관련성 및 간호사 업무 부담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병원경영학회 19 (19): 54-67, 2014

      9 Louisa She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UK hospital nurse staffing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dissatisfaction" 13 : 51-60, 2005

      10 Christina Maslach,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Wiley 2 (2): 99-113, 1981

      1 이세영, "초보간호사의 이직의도 경험"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168-176, 2013

      2 윤금숙,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6 (16): 507-516, 2010

      3 강정숙,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3-273, 2015

      4 변대식,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15 (15): 444-454, 2009

      5 최혜윤,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279-300, 2003

      6 채영란, "병원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신체증상 및 소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430-440, 2017

      7 김영옥, "병원 일반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14 (14): 591-601, 2002

      8 고유경, "간호근무환경과 간호결과와의 관련성 및 간호사 업무 부담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병원경영학회 19 (19): 54-67, 2014

      9 Louisa She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UK hospital nurse staffing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dissatisfaction" 13 : 51-60, 2005

      10 Christina Maslach,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Wiley 2 (2): 99-113, 1981

      11 Armstrong M,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downsizing on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9 (9): 8-32, 1996

      12 Park Eun-joo,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Burnout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Leave among Hospital Empolye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7

      13 Heather K, "The Impa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s on Patient Safety Outcomes" 36 (36): 259-267, 2006

      14 Herbert J. Freudenberger, "Staff Burn-Out" Wiley 30 (30): 159-165, 1974

      15 Esther M, "Role stress in nurses: review of related factors and strategies for moving forward" 7 : 57-65, 2005

      16 Julie Jean Lanz, "Resilience as a moderator of the indirect effects of conflict and workload on job outcomes among nurses" Wiley 73 (73): 2973-2986, 2017

      17 Jeanne A. Schaefer, "Relationship, task and system stressors in the health care workplace" Wiley 3 (3): 285-298, 1993

      18 Suk Young Kim, "Relationofamong Emotionallabor,Burnoutand coping typeofclinicalnurse" Gachon University 2014

      19 Birgit Aust,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of hospital workers: Validation of a comprehensive assessment scale" Elsevier BV 44 (44): 814-825, 2007

      20 Masako Kanai-Pak, "Poor work environments and nurse inexperience are associated with burnout, job dissatisfaction and quality deficits in Japanese hospitals" Wiley 17 (17): 3324-3329, 2008

      21 Al-Kandari, Fatimah, "Perceived adverse patient outcomes correlated to nurses’workload in medical and surgical wards of selected hospitals in Kuwait" 18 : 581-590, 2008

      22 Wolf GA, "Nursing turnover: Some cases of solution" 14 : 233-246, 1981

      23 Christine Duffield, "Nursing staffing, nursing workload, the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outcomes" Elsevier BV 24 (24): 244-255, 2011

      24 "Nurses' reports on hospital care in five countries" 20 (20): 43-53, 2001

      25 Sung-Hyun Cho, "Nurse staffing, quality of nursing care and nurse job outcomes in intensive care units" Wiley 18 (18): 1729-1737, 2009

      26 LU Minmin, "Nurse burnout in China : a questionnarie survery on staffing,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care" 23 : 440-447, 2015

      27 Eileen T. Lake, "Multilevel models in health outcomes research" Elsevier BV 19 (19): 113-115, 2006

      28 Hugh Firth, "Maslach Burnout Inventory: Factor Structure and Norms for British Nursing Staff" SAGE Publications 57 (57): 147-150, 2016

      29 Lynn, "Licensed Nurse Staffing and Adverse Events in Hospitals" 41 (41): 142-152, 2003

      30 Maslach C, "Job bournout" 52 : 397-422, 2001

      31 Aiken LH, "Hospital Staffing, Organization, and Quality of Care : Cross-National Findings" 50 (50): 187-194, 2002

      32 Aiken LH,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288 (288): 1987-1993, 1987

      33 Schaufeli WB, "Handbook of Work and Healthy Psychology" 1996

      34 Lusine Poghosyan, "Factor structure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An analysis of data from large scale cross-sectional surveys of nurses from eight countries" Elsevier BV 46 (46): 894-902, 2009

      35 A. Nantsupawat, "Effects of nurse work environment on job dissatisfaction, burnout, intention to leave" 42 (42): 91-98,

      36 Natasha Khamisa, "Effect of personal and work stress on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general health of hospital nurses in South Africa" AOSIS 22 : 2017

      37 Moore S, "Coping with downsizing : stress, self-esteem, and social intimacy" 27 : 28-30, 1996

      38 Descamp KD, "Buffering Nursing Stress Through Play at Work" 5 (5): 619-627, 1993

      39 김철웅, "Application of Revised Nursing Work Index to Hospital Nurses of South Korea" 한국간호과학회 7 (7): 128-135, 2013

      40 김경숙, "2차 종합병원 간호사의 업무환경요인과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2 (22): 121-129,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