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Z세대 소비자의 스포츠 웨어러블 모바일 앱 쇼핑성향과 앱 속성 중요도, 구매의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Z Consumers’ Shopping Tendency for Sports Wearable Mobile Apps,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86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Z consumers' shopping tendencies for sports wearable mobile apps,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among Generation Z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sports wearables using mobile apps, and a total of 211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data. Data analysis included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3.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3.0,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fashionability and convenience, which are subfactors of Generation Z consumers' shopping tendencies for sports wearable mobile app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but affordability and ubiqu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Second, fashionability and ubiquity, which are subfactors of Generation Z consumers' shopping tendencies for sports wearable mobile app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ut affordability and conven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for Generation Z consum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Z consumers' shopping tendencies for sports wearable mobile apps,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Z consumers' shopping tendencies for sports wearable mobile apps,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among Generation Z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sports wearables using mobile apps, and a total of 211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data. Data analysis included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3.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3.0,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fashionability and convenience, which are subfactors of Generation Z consumers' shopping tendencies for sports wearable mobile app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but affordability and ubiqu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Second, fashionability and ubiquity, which are subfactors of Generation Z consumers' shopping tendencies for sports wearable mobile app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ut affordability and conven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importance of app attributes for Generation Z consum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용 ; 김용선, "화장품 쇼핑성향 유형에 따른 화장품 온라인 리뷰 신뢰도, 구매 만족도, 구전행동 영향관계" 한국미용학회 24 (24): 243-255, 2018

      2 김기연, "혼합적 방법론을 적용한 디지털 Z세대 소비자의큐레이션 구독서비스에 관한 선호 유형 연구" 인문사회 21 14 (14): 2849-2864, 2023

      3 김지우 ; 정혜정 ; 김영삼 ; 오경화,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쇼핑성향, 이용동기 및 선호 이미지 유형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41 (41): 796-808, 2017

      4 채진미, "패션 쇼핑성향이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구매빈도에 따른 차이" 복식문화학회 24 (24): 457-470, 2016

      5 채진미, "패션 쇼핑성향 유형별 모바일 커머스 특성 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 : 441-453, 2015

      6 손호웅,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2016

      7 지연 ; 신세영, "중국여성의 쇼핑성향이 유통채널 선택요인 및 한국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1 (21): 88-98, 2017

      8 왕봉교 ; 이미숙, "중국 20∼30대 여성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의류제품의 인터넷 쇼핑행동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1 (21): 37-53, 2019

      9 응교몽, "인터넷 쇼핑 생방송 시청자의 소비성향이 뷰티상품 선택속성과 구매의향에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10 최정화 ; 박동진 ; 노기영, "운동/피트니스앱 속성이 앱 활용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적 관점에서의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327-339, 2015

      1 이지용 ; 김용선, "화장품 쇼핑성향 유형에 따른 화장품 온라인 리뷰 신뢰도, 구매 만족도, 구전행동 영향관계" 한국미용학회 24 (24): 243-255, 2018

      2 김기연, "혼합적 방법론을 적용한 디지털 Z세대 소비자의큐레이션 구독서비스에 관한 선호 유형 연구" 인문사회 21 14 (14): 2849-2864, 2023

      3 김지우 ; 정혜정 ; 김영삼 ; 오경화,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쇼핑성향, 이용동기 및 선호 이미지 유형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41 (41): 796-808, 2017

      4 채진미, "패션 쇼핑성향이 모바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구매빈도에 따른 차이" 복식문화학회 24 (24): 457-470, 2016

      5 채진미, "패션 쇼핑성향 유형별 모바일 커머스 특성 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 : 441-453, 2015

      6 손호웅,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2016

      7 지연 ; 신세영, "중국여성의 쇼핑성향이 유통채널 선택요인 및 한국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1 (21): 88-98, 2017

      8 왕봉교 ; 이미숙, "중국 20∼30대 여성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의류제품의 인터넷 쇼핑행동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1 (21): 37-53, 2019

      9 응교몽, "인터넷 쇼핑 생방송 시청자의 소비성향이 뷰티상품 선택속성과 구매의향에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10 최정화 ; 박동진 ; 노기영, "운동/피트니스앱 속성이 앱 활용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적 관점에서의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327-339, 2015

      11 최명국 ; 신재익, "앱속성, 사용자만족, 신뢰,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 버스정보의 모바일앱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7 (27): 165-175, 2022

      12 변경원 ; 노동연, "스포츠용품 소비성향과 제품선택요인, 재구매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8 (18): 509-520, 2020

      13 조미나, "배달 앱 이용 현황과 배달 앱 서비스 품질 속성 중요도·수행도 분석 - 2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8 (38): 278-289, 2022

      14 임동수 ; 서원석, "모바일 항공 앱(APP)의 서비스품질이 기술수용을 통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MOBISQUAL 모델 중심으로 -" 한국기업경영학회 26 (26): 63-80, 2019

      15 안상희, "모바일 쇼핑성향과 정보탐색이 쇼핑몰의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의류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469-478, 2020

      16 이미진 ; 이규혜, "모바일 쇼핑동기와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153-163, 2013

      17 김나미,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 패션 쇼핑 성향과 패션 앱 속성 중요도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18 김현영 ; 김현진, "Z세대의 모바일 학습 일상에 관한 디지털 문화기술지" 한국교육공학회 39 (39): 105-154, 2023

      19 김용만 ; 노동연, "Z세대 소비자의 스포츠웨어 온라인 쇼핑몰 구매속성과 지각된 가치, 관계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21 (21): 307-317, 2023

      20 홍미성 ; 김가은, "Z세대 무용전공생의 유튜브(YouTube) 이용실태 분석" 한국무용과학회 37 (37): 1-20, 2020

      21 Hair, J. F. Jr.,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Macmillam Publishing Company 2006

      22 박선영, "HMR 선택속성과 모바일 앱 속성이1인가구 소비자의 HMR 구매의도에 미치는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23 Eichen, L., "Families’ digital media use: Intentions, rules and activities" 52 (52): 2162-2177, 2021

      24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les with unobservables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25 하지영, "B급농산물의 구매자 소비성향과 구매 후 행동간의 영향관계에서 구매동기의 매개효과검증" 459-476,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