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여년간 우리 나라의 항만 개발은 컨테이너 화물(일반화물 포함)과 연안여객 처리에 치우쳐 왔으며 그 결과 부가 가치가 높은 크루즈 선박을 위한 크루즈 전용선석과 터미널이 컨테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91448
이태우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2002
Korean
크루즈 선박 ; 크루즈 관광 ; 크루즈 터니널 ; 크루즈항 ; cruise vessel ; cruise tourism ; cruise terminal ; cruise port
326.36
학술저널
135-155(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30여년간 우리 나라의 항만 개발은 컨테이너 화물(일반화물 포함)과 연안여객 처리에 치우쳐 왔으며 그 결과 부가 가치가 높은 크루즈 선박을 위한 크루즈 전용선석과 터미널이 컨테이...
지난 30여년간 우리 나라의 항만 개발은 컨테이너 화물(일반화물 포함)과 연안여객 처리에 치우쳐 왔으며 그 결과 부가 가치가 높은 크루즈 선박을 위한 크루즈 전용선석과 터미널이 컨테이너 터미널에 비하여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아시아 지역은 풍부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 역내 및 미주 유럽간의 항공망의 발달로 세계 제 3대 크루즈 시장으로서 급성장하고 있으므로 크루즈 전용터미널에 대한 잠재 수요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또한 한국은 동북아시아지역에서 한중일간의 크루즈 항로상에 중요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아시아지역의 크루즈 산업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크루즈 항만의 체계적인 개발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구나 크루즈 전용 터미널의 개발은 항만 자체의 여건뿐만 아니라 해양관광자원, 육상관광자원, 국제 항공망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종합적인 해양관광정책 수립을 위해서도 필요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주와 아시아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크루즈 전용 터미널의 입지여건과 성장 동인(動因)을 분석ㆍ도출한 뒤, 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주요 항만의 여건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어느 항만이 크루즈항으로서 가장 적합한지를 판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성과는 한ㆍ중ㆍ일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간의 연계 크루즈 관광산업과 해양관광산업을 종합적으로 성장ㆍ발전시키기 위한 국내 크루즈 전용 터미널의 개발 방향과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mand for international cruise terminals is increasing in Korea. As an attempt to meet the ever-increasing requirement, the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an investigation to find out what factors are to be considered to make a cruise terminal su...
The demand for international cruise terminals is increasing in Korea. As an attempt to meet the ever-increasing requirement, the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an investigation to find out what factors are to be considered to make a cruise terminal successful with referring to overseas cruise terminals, such as Hong Kong, Singapore, some ports in the Caribbean Sea. As part of this project, the current paper aims to draw such factors by interview and survey in a way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e. port and shipping and tourism studies. The cruise operators attitudes towards needs and requirements on cruise terminals are also to be identifi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aper may be helpful and informative not only to the Korean government that has a plan to efficiently develop cruise terminals in the country but also to those who are concerned with port development in general.
목차 (Table of Contents)
해운 물류비 절감을 위한 컨테이너선 대형화의 전망 및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