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율배반적 행복관과 행복의 이율배반 = ‘창의와 소통’ 교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693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wide variety of discussions about the definition of happiness, attitudes and methods to pursue it. However, as the lecturer progressed through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ubjects, many students are indeed very interested in happiness, but their understanding of the happiness is very simple and dichotomous. This simple and dichotomous view can be a hindrance to the sincere and realistic attitude of life. Therefore, presenting another viewpoint of happiness can be a another positive point that this subject can set. In this paper, first, I present the antinomic attitudes to hapines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case studies on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And as an alternative to this, I suggest the implication of the philosopher Kant’ concept of antinomy. Throug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we can come to understand human characteristics as emotional and rational beings. This can provide new perspectives to students" view of life and happiness.
      번역하기

      There is a wide variety of discussions about the definition of happiness, attitudes and methods to pursue it. However, as the lecturer progressed through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ubjects, many students are indeed very interested in happines...

      There is a wide variety of discussions about the definition of happiness, attitudes and methods to pursue it. However, as the lecturer progressed through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ubjects, many students are indeed very interested in happiness, but their understanding of the happiness is very simple and dichotomous. This simple and dichotomous view can be a hindrance to the sincere and realistic attitude of life. Therefore, presenting another viewpoint of happiness can be a another positive point that this subject can set. In this paper, first, I present the antinomic attitudes to hapines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case studies on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And as an alternative to this, I suggest the implication of the philosopher Kant’ concept of antinomy. Throug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we can come to understand human characteristics as emotional and rational beings. This can provide new perspectives to students" view of life and happi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행복 담론의 편재성
      • 2. ‘창의와 소통’ 교과 사례를 통해 본 대학생들의 행복관
      • 3. 칸트의 ‘이율배반’ 개념과 행복 존재론
      • 4. 감성적-이성적 현존재의 자기긍정
      • 참고문헌
      • 1. 행복 담론의 편재성
      • 2. ‘창의와 소통’ 교과 사례를 통해 본 대학생들의 행복관
      • 3. 칸트의 ‘이율배반’ 개념과 행복 존재론
      • 4. 감성적-이성적 현존재의 자기긍정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펠만, "행복의 철학사" 시와 진실 2012

      2 한수영,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교양과목의 개발과 설계 I : 중앙대학교 <창의와 소통> 과목 사례"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 : 51-77, 2015

      3 최윤경, "프랑스 문학과 예술 작품을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사례 연구 - 중앙대학교 <창의와 소통>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52) : 7-34, 2016

      4 맹주만, "칸트의 실천이성의 이율배반" 중앙철학연구소 21 : 211-236, 2007

      5 이연도, "창의적 사고와 소통" 중앙대학교 출판부 2016

      6 베넷, "윤리란 무엇인가" 지와사랑 2010

      7 아리스토텔레스, "에우데모스 윤리학" 한길사 2012

      8 변순용,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95-319, 2017

      9 Kant, "Kants gesammelte Schriften" Sog. 1900

      10 D. Schönecker, "Kants Grundlegung der Metaphysik der Sitten" UTB 2004

      1 펠만, "행복의 철학사" 시와 진실 2012

      2 한수영,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교양과목의 개발과 설계 I : 중앙대학교 <창의와 소통> 과목 사례"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 : 51-77, 2015

      3 최윤경, "프랑스 문학과 예술 작품을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사례 연구 - 중앙대학교 <창의와 소통>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52) : 7-34, 2016

      4 맹주만, "칸트의 실천이성의 이율배반" 중앙철학연구소 21 : 211-236, 2007

      5 이연도, "창의적 사고와 소통" 중앙대학교 출판부 2016

      6 베넷, "윤리란 무엇인가" 지와사랑 2010

      7 아리스토텔레스, "에우데모스 윤리학" 한길사 2012

      8 변순용,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95-319, 2017

      9 Kant, "Kants gesammelte Schriften" Sog. 1900

      10 D. Schönecker, "Kants Grundlegung der Metaphysik der Sitten" UTB 2004

      11 K. Düsing, "Das Problem des höchsten Gutes in Kants praktischer Philosophie" 62 : 1971

      12 L. W. Beck, "A Commentary on Kant's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양교육연구소 ->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 Da Vinci Mirae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