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펠만, "행복의 철학사" 시와 진실 2012
2 한수영,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교양과목의 개발과 설계 I : 중앙대학교 <창의와 소통> 과목 사례"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 : 51-77, 2015
3 최윤경, "프랑스 문학과 예술 작품을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사례 연구 - 중앙대학교 <창의와 소통>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52) : 7-34, 2016
4 맹주만, "칸트의 실천이성의 이율배반" 중앙철학연구소 21 : 211-236, 2007
5 이연도, "창의적 사고와 소통" 중앙대학교 출판부 2016
6 베넷, "윤리란 무엇인가" 지와사랑 2010
7 아리스토텔레스, "에우데모스 윤리학" 한길사 2012
8 변순용,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95-319, 2017
9 Kant, "Kants gesammelte Schriften" Sog. 1900
10 D. Schönecker, "Kants Grundlegung der Metaphysik der Sitten" UTB 2004
1 펠만, "행복의 철학사" 시와 진실 2012
2 한수영,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교양과목의 개발과 설계 I : 중앙대학교 <창의와 소통> 과목 사례"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 : 51-77, 2015
3 최윤경, "프랑스 문학과 예술 작품을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사례 연구 - 중앙대학교 <창의와 소통>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52) : 7-34, 2016
4 맹주만, "칸트의 실천이성의 이율배반" 중앙철학연구소 21 : 211-236, 2007
5 이연도, "창의적 사고와 소통" 중앙대학교 출판부 2016
6 베넷, "윤리란 무엇인가" 지와사랑 2010
7 아리스토텔레스, "에우데모스 윤리학" 한길사 2012
8 변순용,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95-319, 2017
9 Kant, "Kants gesammelte Schriften" Sog. 1900
10 D. Schönecker, "Kants Grundlegung der Metaphysik der Sitten" UTB 2004
11 K. Düsing, "Das Problem des höchsten Gutes in Kants praktischer Philosophie" 62 : 1971
12 L. W. Beck, "A Commentary on Kant's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