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현대국어 모음체계의 대립위계와 그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55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ilding upon Ko’s (2010) earlier account for the contrast shifts from Middle Korean to Early Modern Korean, this paper presents a formal account of the diachrony and synchrony of the vocalisms in Contemporary Korean. There are two main directions i...

      Building upon Ko’s (2010) earlier account for the contrast shifts from Middle Korean to Early Modern Korean, this paper presents a formal account of the diachrony and synchrony of the vocalisms in Contemporary Korean. There are two main directions in the changes from Early Modern Korean to contemporary varieties (Kwak 2003): On the one hand, North Korean dialects inherited the contrastive hierarchy [coronal] > [low] > [high] > [labial] of the previous stage and are further losing the contrastive status of [labial]. Northwest Korean has completed this loss, while Northeast Korean seems to be still underway. On the other hand, Southeast Korean underwent a promotion of [labial], resulting in the new ordering [coronal] > [low] > [labial] > [high]. The consequence of this contrast shift is the merger of all high-mid vowel pairs. Central, Southwest, and Jeju Korean show deviations from these two major directions, each of which receives its own contrastive hierarchy treatment in detai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의 변화
      • 3. 근대국어에서 현대국어로의 변화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의 변화
      • 3. 근대국어에서 현대국어로의 변화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호, "「훈민정음」의 모음" 42 : 195-238, 2017

      2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3 고성연, "중세국어 모음체계의 대립 위계와 그 변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6) : 87-118, 2010

      4 김원보, "제주방언에서 []음의 음향분석" 언어과학회 (33) : 23-36, 2005

      5 정승철, "제주도 방언의 통시음운론" 태학사 1995

      6 현평효, "제주도 방언의 모음체계" 3 : 9-19, 1970

      7 현우종, "제주 방언 홀소리의 실험 음성학적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2

      8 김주원, "언어의 역사" 태학사 311-341, 1999

      9 김주원, "모음조화와 설축 - 훈민정음해례의 설축에 대하여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9) : 29-43, 1988

      10 곽충구, "모음조화와 모음체계" 9 (9): 151-159, 1999

      1 이진호, "「훈민정음」의 모음" 42 : 195-238, 2017

      2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3 고성연, "중세국어 모음체계의 대립 위계와 그 변화"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6) : 87-118, 2010

      4 김원보, "제주방언에서 []음의 음향분석" 언어과학회 (33) : 23-36, 2005

      5 정승철, "제주도 방언의 통시음운론" 태학사 1995

      6 현평효, "제주도 방언의 모음체계" 3 : 9-19, 1970

      7 현우종, "제주 방언 홀소리의 실험 음성학적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2

      8 김주원, "언어의 역사" 태학사 311-341, 1999

      9 김주원, "모음조화와 설축 - 훈민정음해례의 설축에 대하여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9) : 29-43, 1988

      10 곽충구, "모음조화와 모음체계" 9 (9): 151-159, 1999

      11 박종희, "국어음운론 연구" 원광대학교 출판국 1983

      12 백두현, "경상방언의 모음체계와 모음중화" 12 : 69-88, 1992

      13 최명옥, "경북 월성지역어의 음운론"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2

      14 이병근, "경기지역어의 모음체계와 비원순모음화" 9 : 151-167, 1970

      15 이기문, "개정 국어사개설" 민중서관 1972

      16 鄭承喆, "濟州島方言의 母音體系와 그에 관련된 音韻現象"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17 小倉進平, "濟州島方言" 5 : 1931

      18 Ko, Seongyeon, "Tongue root harmony and vowel contrast in Northeast Asian languages" Harrassowitz 2018

      19 Cho, Taehong, "The vowels of Cheju" 98 : 81-94, 2000

      20 Shin, Jiyoung, "The sounds of Kore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1 Hall, Daniel Currie, "The role and representation of contrast in phonological theory" University of Toronto 2007

      22 Dresher, B. Elan, "The contrastive hierarchy in ph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3 Kim, Jong-Kyoo, "Quantity sensitivity and feature sensitivity of vowels: A constraint-based approach to Korean vowel phonology" Indiana University 2000

      24 Halle, Morris, "On feature spreading and the representation of place of articulation" 31 (31): 387-444, 2000

      25 Kwon, Joy, "Korean vowel mergers: Contrastive hierarchies and distinctive features" 25 (25): 159-168, 2019

      26 Archangeli, Diana, "Grounded phonology" MIT Press 1994

      27 Clements, G. Nick, "Feature economy in sound systems" 20 (20): 287-333, 2003

      28 Kim, Han-Kon, "An acoustic study of the Cheju dialect in Korean" 5 (5): 25-61, 1980

      29 Ko, Seongyeon, "A contrastivist view on the evolution of the Korean vowel system" 61 : 181-196, 2010

      30 이병근, "19세기 국어의 모음체계와 모음조화" 72 (72): 1-14, 1976

      31 박종덕, "/E/, /∃/ 생성의 동기적 관련성-경상도 방언을 대상으로-" 한글학회 (264) : 25-6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김차균)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5 0.95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