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 급성 호흡기 감염은 소아 연령에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의 50%에 해당하는 주된 질병이며 의료 서비스에 주된 영향력을 끼친다. 정확한 진단과 환자 관리롤 통한 유병율과 ...
연구 배경 : 급성 호흡기 감염은 소아 연령에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의 50%에 해당하는 주된 질병이며 의료 서비스에 주된 영향력을 끼친다. 정확한 진단과 환자 관리롤 통한 유병율과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전국적인 소아 중증 하기도 감염 감시망 사업이 계획되었고 이를 위한 준비 사업으로 본 연구가 시작 되었다.
연구 방법 : 5세 미만의 소아 중증 하기도 감염 환자의 환례를 정의하여 이에 해당되는 환자들의 비인두 흡입 검체를 채취하였다. 연구 기간 내 세브란스 어린이 병원에 입원한 급성 하기도 감염 환자 중 총 298명의 검체가 포함되었다. 298개의 검체가 채취되고 호흡기 바이러스 12종에 대한 분자진단이 이루어졌다. 포함된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Bdnfluenza virus A,B),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l,2,3(Parainfluenza virus 1,2,3,PIV 1,2,3),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보카바이러스(human boca virus), 코로나바이러스 0C 43과 공통항원(human corona virus, hCoV-OC 43/common antigen), 리 노바이러스(Rhinovirus, RV) 메타뉴모바이러스(human metapneumovirus, hMPV), 호흡기 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등이다.
연구 결과 : 연령의 중간값은 16개월 (범위: 0-67개월)이었고 남녀 비는 1.5: 1 이었다. 총 298검체 중 139 검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어 46%의 양성율을 보였다. RSV가 기명의 환자(24%)에서 검출되었고, hMPV 8.3%. hCoV 2.4%. adenovirus 5.4%, hBoV 5%. PIV 5.4%, RV 2.4%, influenza virus 1.6%에서 발견 되었다. RSV의 경우 입원 기간의 중간값은 4일 이었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는 총 8명(2.7%)이었다. PCR 양성 검체 112개에 대해 배양검사를 실시 하였으며 106검체에서 양성율을 보여 약 94%의 일치율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방법으로 매뉴얼 작성을 하였으며, 바이러스 결과물이 소아 중중 하기도 감염 감시망 사업에 적합한 방법임이 입증되는 결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