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승옥 시나리오의 현대적 이미지 연구  :  현대적 공간의 시각적 이미지화를 중심으로 = Modern Image Research of Kim Seung-ok’s Scenario -Around Visual Image-Making of the Modern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01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 시나리오는 영화의 영상을 구상화한다는 점에서 시나리오 내에 형상화된 영상이미지를 시지각 양상에서 고찰하는 데에 적합한 텍스트가 된다. 서양은 세계관과 기술의 상호소통 과정...

      영화 시나리오는 영화의 영상을 구상화한다는 점에서 시나리오 내에 형상화된 영상이미지를 시지각 양상에서 고찰하는 데에 적합한 텍스트가 된다. 서양은 세계관과 기술의 상호소통 과정을 거쳐 새로운 영상적 시지각을 형성한 반면, 한국은 인식론적 배경이 미흡한 상태에서 영상기술의 영향을 받은 경향이 짙다. 이는 1970년대의 김승옥 각색 시나리오에서 작가가 포착한 현대적 감수성이 이미지적인 상상력을 통해 만들어진 형상화와도 관련된다. 본고에 선별된 작품들은 현대도시인인 청년들의 욕망과 좌절의식을 현대적 도시 공간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통해 보여준다. 이 영상 이미지들은 현대도시 안 주체의 문제를 제기하지만, 작품들의 낭만적인 서사전개와 결말로 인해 관객대중들에게 현대적 주체에 대한 고찰의 기회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데에는 긍정적이지 못하다. 이와 같은 양상은 김승옥 시나리오의 현대 도시 공간에 대한 이미지들이 부조리에 대한 관객대중들의 인식을 고정화하며, 이미지를 다양성으로서 재생산하는 데에 기여하지 못했다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이는 김승옥의 의도와 상관없이 그의 각색 시나리오에 시각의 헤게모니가 은밀하게 작동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주체가 단일한 시선이 아닌 다양성을 내재한 시선으로 세계와 만날 때 현대성과 주체의 문제는 좀더 적극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general contour of the so-called archetype story and totemism related to indigenous people in Siberia. The focal point of this study, the archetype story, has been considered the original source in contemporary industry of cult...

      This study explores the general contour of the so-called archetype story and totemism related to indigenous people in Siberia. The focal point of this study, the archetype story, has been considered the original source in contemporary industry of culture contents, in which a culture usually reproduces as a product, not as common knowledge. Generally speaking, Siberian people have thousands of their own archetype story. Due to some obstacles such as instable geographical reasons, weather conditions, and other language barrier, the archetype story could be able to be kept even now a days. More importantly, this archetype story provides not only a nexus between Korean cultures, but a clear clue for the understanding of whole-scale archetype story.
      Needless to say, Siberian archetype story is closely related to totemism. Totemism, which had been submerged into the creation myth and other myth of a foundation of a certain nation, has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For this right reason, an analysis of totemism plays a key role in the study of whole-scale archetype story.
      On the other hand, in totem myth of South Siberia, there are three plots: plot of animal-ancestor, plot of activity of animal as creator, and national heroic plot. The object of this cult is mainly devoted to bear and eagle, ancestor, and Shaman’s helper, supernatural be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영상시대와 김승옥 시나리오
      • Ⅱ. 영상이미지의 구상화 형식과 지각방식
      • Ⅲ. 현대적 공간의 기호로서의 영상 이미지
      • Ⅳ. 영상 이미지의 헤게모니적 속성
      • 국문초록
      • Ⅰ. 영상시대와 김승옥 시나리오
      • Ⅱ. 영상이미지의 구상화 형식과 지각방식
      • Ⅲ. 현대적 공간의 기호로서의 영상 이미지
      • Ⅳ. 영상 이미지의 헤게모니적 속성
      • Ⅴ. 다양성으로서의 영상 이미지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