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및 연구 = An Analysis and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308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losely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fou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 Department. This study presented a balanced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with above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operation process of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s and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s, such as educational goals, subjects, and counseling practical training.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re often combined with departments such as Christian Education, Youth, Children and Youth, and Lifelong Educ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majors, so the basic subjects of the department were analyzed to have a higher percentage of subjects than counseling subj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departments lacked a considerabl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counseling practical training.
      In the counseling course, the subjects of personal analysis, education analysis, counseling ethics, and counseling case super-vis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unselors are still lack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order to train counselors, it was analyzed that the system of systematic clinical practice system, various counseling analysis for counselor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super vision subjects were urgently needed.
      In a modern society where the demand for counseling and the need for counseling experts are increasing as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it is hoped that Korean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actively contribute and cooperate in developing models of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counseling experts through them, focusing on standardized indicators for fostering counselors.
      번역하기

      This study closely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fou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

      This study closely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fou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 Department. This study presented a balanced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with above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operation process of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s and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s, such as educational goals, subjects, and counseling practical training.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re often combined with departments such as Christian Education, Youth, Children and Youth, and Lifelong Educ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majors, so the basic subjects of the department were analyzed to have a higher percentage of subjects than counseling subj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departments lacked a considerabl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counseling practical training.
      In the counseling course, the subjects of personal analysis, education analysis, counseling ethics, and counseling case super-vis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unselors are still lack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order to train counselors, it was analyzed that the system of systematic clinical practice system, various counseling analysis for counselor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super vision subjects were urgently needed.
      In a modern society where the demand for counseling and the need for counseling experts are increasing as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it is hoped that Korean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actively contribute and cooperate in developing models of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counseling experts through them, focusing on standardized indicators for fostering counsel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에 관한 현황과 문제점을 찾아 논의하고 기독교교육상담학과의 균형 잡힌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목표, 교과목, 상담실습 등의 교육운영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는 융합전공 학과의 특징을 가지고 기독교교육, 청소년, 아동·청소년, 평생교육 등의 학과와 교육상담학과가 합쳐진 경우가 많아 그에 대한 학과기초 과목들이 상담교과목들 보다는 교과목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실습관련 교과목을 비교하였는데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두 학과 모두 개설된 실습관련 교과목수가 상당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개설된 상담학 교과목에서 상담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분석, 교육분석, 상담윤리, 상담사례 수퍼비전의 교과목들은 아직도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담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임상실습 시스템의 체계와 상담자교육을 위한 다양한 상담분석 및 수퍼비전의 교과목들의 확대가 시급한 실정으로 분석되었다.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상담의 요구와 상담전문가의 필요가 높아지는 현대사회에서, 한국의 대학들이 상담자 양성을 위한 표준화 된 지표를 중심으로 상담교육의 모델을 개발하고 그를 통해 상담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협력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에 관한 현황과 문제점을 찾아 논의하고 기독교교육...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에 관한 현황과 문제점을 찾아 논의하고 기독교교육상담학과의 균형 잡힌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목표, 교과목, 상담실습 등의 교육운영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는 융합전공 학과의 특징을 가지고 기독교교육, 청소년, 아동·청소년, 평생교육 등의 학과와 교육상담학과가 합쳐진 경우가 많아 그에 대한 학과기초 과목들이 상담교과목들 보다는 교과목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실습관련 교과목을 비교하였는데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두 학과 모두 개설된 실습관련 교과목수가 상당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개설된 상담학 교과목에서 상담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분석, 교육분석, 상담윤리, 상담사례 수퍼비전의 교과목들은 아직도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담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임상실습 시스템의 체계와 상담자교육을 위한 다양한 상담분석 및 수퍼비전의 교과목들의 확대가 시급한 실정으로 분석되었다.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상담의 요구와 상담전문가의 필요가 높아지는 현대사회에서, 한국의 대학들이 상담자 양성을 위한 표준화 된 지표를 중심으로 상담교육의 모델을 개발하고 그를 통해 상담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협력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영, "회복을 위한 기독교교육" 그리심출판사 2012

      2 "한세대 학과소개"

      3 최해림,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713-730, 2006

      4 김준수, "한국 신학교 상담대학원의 커리큘럼 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6 : 120-142, 2006

      5 박상진, "한국 기독교학교의 자율성 및 정체성 재확립을 위한 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5) : 61-96, 2007

      6 김인규, "학부 상담학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793-811, 2009

      7 조남정,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301-319, 2015

      8 이재창, "학교심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7 : 125-155, 1994

      9 "평택대학교 학과소개"

      10 김미례, "청소년이 지각하는 상담전문가, 직업상담사, 사회복지사 이미지 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7

      1 이선영, "회복을 위한 기독교교육" 그리심출판사 2012

      2 "한세대 학과소개"

      3 최해림,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713-730, 2006

      4 김준수, "한국 신학교 상담대학원의 커리큘럼 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6 : 120-142, 2006

      5 박상진, "한국 기독교학교의 자율성 및 정체성 재확립을 위한 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5) : 61-96, 2007

      6 김인규, "학부 상담학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793-811, 2009

      7 조남정,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301-319, 2015

      8 이재창, "학교심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7 : 125-155, 1994

      9 "평택대학교 학과소개"

      10 김미례, "청소년이 지각하는 상담전문가, 직업상담사, 사회복지사 이미지 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7

      11 박재황, "청소년 상담교육과정 개발 연구"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3

      12 장현진,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21, 2016

      13 유형근, "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15-233, 2006

      14 홍기칠, "인성교육을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탐색" 14 : 181-212, 1999

      15 장성숙, "우리 문화에서의 상담자상"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547-561, 2002

      16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학과소개"

      17 이재창, "심리교육의 필요성" 33 (33): 12-19, 1981

      18 이재창, "심리교육의 이해와 그 활용에 관한 고찰" 17 : 547-568, 1985

      19 "순천향대학교 학과소개"

      20 홍순황, "세종시교육청 '상담 톡 마음 on' 운영상담·심리검사 등 진행 … 불안감 해소"

      21 Clinebell, H. J., "성장상담" 한국신학연구소 1988

      22 Crabb, L. J., "성경적 상담" 총신대학출판부 1999

      23 고용수, "새 교육과정의 방향" 251 : 2-11, 1997

      24 Adams, J., "상담학 개론" 총신대학 출판부 1992

      25 김은하, "상담전공대학원생을 위한 다문화 상담 교과 과정개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321-1364, 2019

      26 조남정, "상담전공 학부생의 교육과정 경험 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303-324, 2015

      27 이문기, "상담자 교육을 위한 영성교육과정 개발연구" 한국상담학회 18 (18): 357-380, 2017

      28 김재훈, "상담역량에 초점을 둔 미술치료 전공 교육과정 및 미술치료사의 인식 분석" 한국상담학회 19 (19): 395-420, 2018

      29 김계현, "상담심리학" 학지사 1997

      30 이숙영, "상담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학회 40 (40): 11-250, 2002

      31 김명숙, "사이버 공간에서의 기독교 학습시스템 개발" 8 : 241-289, 2002

      32 "부경대학교 학과소개"

      33 "동의대학교 학과소개"

      34 이현주, "대학교육단계의 효율적인 진로교육 방안 연구-대학생 의견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0 (40): 219-247, 2002

      35 박미라, "대학 신입생의 정신건강 관련 상담 요구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우울·불안, 분노조절,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2) : 221-256, 2017

      36 "대전대학교 학과소개"

      37 "대구한의대학교 학과소개"

      38 김정효, "기독교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사례 -E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4) : 325-361, 2010

      39 장동진, "기독교상담에 대한 기독교 상담자들의 인식유형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5 (25): 249-277, 2014

      40 이정기, "기독교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의 융합적 접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7) : 53-81, 2014

      41 신승범, "기독교교육의 장으로서의 가정의 재발견" 14 : 185-206, 2013

      42 이현구, "기독교교육상담: 기독교교육서 9"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0

      43 장화선, "기독교교육과 커리큘럼의 진단과 제안-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3) : 121-143, 2013

      44 정소영, "기독교교육과 상담"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45 고용수, "기독교교육개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6

      46 고원석, "기독교교육개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15

      47 한철희, "기독교교육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6

      48 김정효, "기독교 학교의 종교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 교육과정 숙의를 통한 신조(Platform) 구축"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2) : 181-220, 2017

      49 최현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개발"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50 박상진, "교회교육현장론"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8

      51 이철웅, "교육상담과 생활지도 연구" 교육과학사 2006

      52 두산백과, "교육과정(curriculum)"

      53 정정숙, "교사와 기독교 교육상담" 3 (3): 40-62, 1992

      54 서종수,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5 (5): 119-141,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7 1.10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