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이후의 온실가스 현안에 대한 新기후체제(Post2020)에 대비해 정부 정책과 연계한 부산시 기후변화대응 정책방향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며, 기후변화 제반 상황 등을 고려한 부산시정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06764
2016
Korean
359
학술저널
1-12(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2020년 이후의 온실가스 현안에 대한 新기후체제(Post2020)에 대비해 정부 정책과 연계한 부산시 기후변화대응 정책방향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며, 기후변화 제반 상황 등을 고려한 부산시정 ...
◯ 2020년 이후의 온실가스 현안에 대한 新기후체제(Post2020)에 대비해 정부 정책과 연계한 부산시 기후변화대응 정책방향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며, 기후변화 제반 상황 등을 고려한 부산시정 운영방침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
- 특히 부산시 중장기 도시관리의 기본방침으로 현재 수립과정에 있는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변경)’에서부터 지역 기후변화 상황전개를 바탕으로 한 도시관리 방향 설정이 중요
◯ 기후변화 현안에의 적정 대응을 위한 기본적 조치로 기후변화대응업무와 에너지업무의 연계성 제고 및 업무통합과 함께 기본적 제도적 장치인 ‘기후변화대응 조례’ (가칭) 제정 검토 필요
- 부산시 기후변화현안에의 적정대응을 위한 완화(감축)정책과 적응정책은 통합적으로 연계 설계 및 관리되도록 추진
- ▲산업단지 배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관리계획 수립 ▲주기적인 산업체 의견조사 실시 등의 기획과 함께 ▲탄소포인트제 재설계 ▲기후변화체험관의 맞춤형 프로그램 추가 발굴, 시민등 지역구성원의 지역 기후변화문제 이해도 제고를 위한 ▲자료집 제작 및 이를 토대로 적극적인 행동으로 유도하기 위한 ▲시민참여형 실천력 강화 프로그램 발굴이 필요
[그림본문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