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廣開土太王陵碑 탁본 『惠靜本』의 탁본사적 위치 - 『水谷本』과의 비교 검토를 바탕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62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광개토태왕릉비는 중국 집안시에 현존하지만 비바람에 의한 자연적 손상과 인위적 행위에 의해 많이 훼손되어 있는 상태이다. 특히 1890년 이후부터는 비면에 석회(石灰)를 바른 다음 탁본을...

      광개토태왕릉비는 중국 집안시에 현존하지만 비바람에 의한 자연적 손상과 인위적 행위에 의해 많이 훼손되어 있는 상태이다. 특히 1890년 이후부터는 비면에 석회(石灰)를 바른 다음 탁본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문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는 비에 석회가 발리기 이전의 탁본이다. 이러한 탁본을 원석탁본(原石拓本)이라 한다.
      혜정본과 미즈타니본(水谷本)은 원석탁본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다시 한번 더 확인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유사점들을 밝혀냄으로써 두 탁본은 동일인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① 비의 한 면을 3단 구분하여 탁본을 만든 방식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전체 탁본의 종이는 12매가 된다.
      ② 비면에 먹(墨)을 두드리는 방식이 동일하다. ③ 개별 글자들에 대한 탁본의 상태가 유사하다. ④ 탁본을 만들 때 사용한 종이의 층수가 두 겹(2층)이다. ⑤ 종이의 질(紙質)이 유사하다. ⑥ 탁본의 한 면을 이루는 작은 종이(小拓紙)의 세로 사이즈가 47㎝로 같다는 점이다.
      다만 지질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행하지 못한 것은 아쉬운 점이다. 향후 보다 정밀한 조사와 검토를 행한다면 탁본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wanggaeto Taewang tombstone rubbing in Jian-si, China is present, but it has been damaged a lot by natural damage caused by rain and wind and artificial acts. In particular, after 1890, the rubbing was made after lime had been applied to the tombston...

      Gwanggaeto Taewang tombstone rubbing in Jian-si, China is present, but it has been damaged a lot by natural damage caused by rain and wind and artificial acts. In particular, after 1890, the rubbing was made after lime had been applied to the tombstone. In this situation, the most important source for the study of the inscription is the rubbing before the lime was applied. This rubbing is called raw stone rubbing(原石拓本).
      Hyejeongbon and Mizutanibon are known as raw stone rubbing. This paper confirmed this fact once again. And by revealing the following similariti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two rubbings were most likely to be produced by same person.
      ① The way to make a rubbing by dividing one side of the tombstone into three stages is similar. Therefore, there are 12 sheets of total rubbing. ② The method of tapping ink on the tombstone is same. ③ The status of the rubbing for individual letters is similar. ④ The number of layers of paper used to make the rubbing is two(2 levels). ⑤ The quality of paper is similar. ⑥ The vertical size of the small paper that forms one side of the rubbing is equal, 47 cm.
      However, it leaves a lot to be desired that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of geology has not been done. In the future, more detailed investigations and reviews will lead to more information about the rubb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惠靜本」의 복원과 「水谷本」
      • III. 두 탁본의 특징 비교
      • IV. 맺음말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惠靜本」의 복원과 「水谷本」
      • III. 두 탁본의 특징 비교
      • I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옥, "혜정 소장본 廣開土太王碑 원석탁본" 동북아역사재단 2014

      2 동북아역사재단, "혜정 소장본 廣開土太王碑 원석탁본" 2014

      3 백승옥, "사료로서의 묵본을 통해서 본 광개토왕릉비 연구의 새지평 ―(武田幸男 著, 廣開土王碑墨本の硏究, 東京, 吉川弘文館, 2009)-" 부경역사연구소 (25) : 273-280, 2009

      4 다케다 유키오,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3

      5 이정빈, "광개토왕릉비 탁본 연구방법의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재단 (49) : 87-113, 2015

      6 李成市, "鬪爭の場としての古代史" 岩波書店 2018

      7 任世權, "韓國金石文集成(1)" 韓國國學振興院 2002

      8 佐伯有淸, "硏究史 廣開土王碑" 吉川弘文館 1974

      9 濱田耕策, "知識は東アジアの海を渡った學習院大學コレクションの世界" 2010

      10 橫山昭一, "目黑區所 藏 高句麗廣開土王碑拓本寫眞集" 目黑區守屋敎育會館鄕土資料室 1990

      1 백승옥, "혜정 소장본 廣開土太王碑 원석탁본" 동북아역사재단 2014

      2 동북아역사재단, "혜정 소장본 廣開土太王碑 원석탁본" 2014

      3 백승옥, "사료로서의 묵본을 통해서 본 광개토왕릉비 연구의 새지평 ―(武田幸男 著, 廣開土王碑墨本の硏究, 東京, 吉川弘文館, 2009)-" 부경역사연구소 (25) : 273-280, 2009

      4 다케다 유키오,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3

      5 이정빈, "광개토왕릉비 탁본 연구방법의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재단 (49) : 87-113, 2015

      6 李成市, "鬪爭の場としての古代史" 岩波書店 2018

      7 任世權, "韓國金石文集成(1)" 韓國國學振興院 2002

      8 佐伯有淸, "硏究史 廣開土王碑" 吉川弘文館 1974

      9 濱田耕策, "知識は東アジアの海を渡った學習院大學コレクションの世界" 2010

      10 橫山昭一, "目黑區所 藏 高句麗廣開土王碑拓本寫眞集" 目黑區守屋敎育會館鄕土資料室 1990

      11 早乙女雅博, "東京大學 所藏 好太王碑 拓本-小拓紙에서 본 제작연대의 고찰-" 고구려발해학회 21 : 257-290, 2005

      12 吉村武彦, "明治大學圖書館所藏 高句麗廣開土王碑拓本" 八木書店 2019

      13 徐建新, "明治大學圖書館 所藏 高句麗廣開土王碑拓本" 八木書店 2019

      14 濱田耕策, "故足立幸一氏寄贈の京都府立福知山高校所藏の廣開土王碑拓本について, 日本の植民地支配下における朝鮮の硏究" 學習院大學東洋文化硏究所 1990

      15 李進熙, "廣開土王陵碑의 探求" 一潮閣 1982

      16 武田幸男, "廣開土王陵碑原石拓本集成" 東京大學出版會 1988

      17 王健群, "廣開土王碑硏究" 역민사 1985

      18 稻田奈津子, "廣開土王碑拓本の新硏究" 同成社 2013

      19 古瀨奈津子, "廣開土王碑拓本の新硏究" 同成社 2013

      20 武田幸男, "廣開土王碑拓本の新硏究" 同成社 2013

      21 徐建新, "廣開土王碑拓本の新硏究" 同成社 2013

      22 早乙女雅博, "廣開土王碑拓 本の新硏究" 同成社 2013

      23 武田幸男, "廣開土王碑墨本の硏究" 吉川弘文館 2009

      24 林基中, "廣開土王碑原石初期拓本集成" 東國大學校出版部 1995

      25 橫山昭一, "廣開土王碑と古代 日本" 學生社 1993

      26 백승옥, "廣開土太王陵碑 拓本의 編年方法 -연구현황을 中心으로-" 한국목간학회 (8) : 2011

      27 서영수, "廣開土太王陵碑 原石精榻本 「혜정소장본」 공개의 의의와 그 성격, 광개토태왕릉비 원석정탑본 공개와 박물관학적 활용방안 -혜정소장본 최초공개-" 2012

      28 국립문화재연구소, "廣開土大王陵碑 拓本圖錄(國內所藏)" 1996

      29 국립문화재연구소, "廣開土大王陵碑 拓本- 張明善 탁출" 2019

      30 耿黎, "好太王碑拓本分類硏究" 東北師範大學 2016

      31 水谷悌二郞, "好太王碑考" 開明書院 1977

      32 水谷悌二郞, "好太王碑考" (100) : 1959

      33 李進熙, "好太王碑硏究とその後" 靑丘文化社 2003

      34 徐建新, "好太王碑拓本の硏究" 東京堂出版 2006

      35 長正統, "九州大學所藏好太王碑拓本の外的硏究" 99·100 :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