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뷰티산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36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뷰티산업은 인체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노동집약적 서비스산업으로 고용 창출 효과가 뛰어난 산업이다. 본 연구는 200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403개 산업 중 화장품 및 치약, 비누 및 세제, 이용 및 미용 등 3개 부문을 뷰티산업으로 분류하고, 뷰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정책 수립에 일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뷰티 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1.810, 감응도 계수 0.534, 영향력계수0.965, 부가가치유발 계수 0.728, 소득유발계수 0.293, 생산세유발계수 0.124, 노동유발계수 0.039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뷰티산업의 최종수요 11,004 십억원을 국가경제에 투입할 경우 전 산업에서 유발되는 총생산유발액은 598,438 십억원으로 이 중 뷰티 산업은 11,029십억원으로 전체의 1.8%를 차지하며, 부가가치유발액은 4,947십억원(2.3%), 세금유발액은 23,798.5십억원(3.5%),소득유발액은 91,187십억원(2.5%)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뷰티산업은 인체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노동집약적 서비스산업으로 고용 창출 효과가 뛰어난 산업이다. 본 연구는 200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

      뷰티산업은 인체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노동집약적 서비스산업으로 고용 창출 효과가 뛰어난 산업이다. 본 연구는 200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403개 산업 중 화장품 및 치약, 비누 및 세제, 이용 및 미용 등 3개 부문을 뷰티산업으로 분류하고, 뷰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정책 수립에 일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뷰티 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1.810, 감응도 계수 0.534, 영향력계수0.965, 부가가치유발 계수 0.728, 소득유발계수 0.293, 생산세유발계수 0.124, 노동유발계수 0.039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뷰티산업의 최종수요 11,004 십억원을 국가경제에 투입할 경우 전 산업에서 유발되는 총생산유발액은 598,438 십억원으로 이 중 뷰티 산업은 11,029십억원으로 전체의 1.8%를 차지하며, 부가가치유발액은 4,947십억원(2.3%), 세금유발액은 23,798.5십억원(3.5%),소득유발액은 91,187십억원(2.5%)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the beauty industr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by measuring economic spreading effects of beauty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beauty Input-Output Table of year 2009 of korea. The results shows that beauty industry induce 598,453 billion won of national production, especially beauty industry shows tha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1.810,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0.965,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s 0.534,
      value-added coefficient is 0.728, and labor inducement coefficient is 0.039. The beauty industrys final demand 11,004 won be put into the national economy, GDP inducement 598,438 one billion won in the beauty industry one billion won 11,029 accounted for 1.8% of the total, and the value-added inducement 4,947 billion(2.3%),tax inducement 23,798.5 billion(3.5 %), income inducement 91,187 billion(2.5%). Regarding the industrial linkage effect, beauty industry has an relatively higher growth potential in the national economy than other the manufacturing indust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the beauty industr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by measuring economic spreading effects of beauty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beauty Input-Output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the beauty industry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by measuring economic spreading effects of beauty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beauty Input-Output Table of year 2009 of korea. The results shows that beauty industry induce 598,453 billion won of national production, especially beauty industry shows tha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1.810,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0.965,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s 0.534,
      value-added coefficient is 0.728, and labor inducement coefficient is 0.039. The beauty industrys final demand 11,004 won be put into the national economy, GDP inducement 598,438 one billion won in the beauty industry one billion won 11,029 accounted for 1.8% of the total, and the value-added inducement 4,947 billion(2.3%),tax inducement 23,798.5 billion(3.5 %), income inducement 91,187 billion(2.5%). Regarding the industrial linkage effect, beauty industry has an relatively higher growth potential in the national economy than other the manufacturing indus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뷰티산업의 산업연관모형의 이론적 배경
      • Ⅲ. 뷰티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결과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뷰티산업의 산업연관모형의 이론적 배경
      • Ⅲ. 뷰티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결과
      • I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중, "화장품산업의 산업연관효과" 116-121, 2004

      2 보건복지가족부, "화장품산업글로벌 화육성방안 연구" 2009

      3 이경민, "화장품산업 분석 및 발전방안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4

      4 김정원, "한국 뷰티산업의 현황" 한국의류산업학회 11 (11): 1-5, 2009

      5 이윤진, "우리나라 뷰티산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한국미용학회 16 (16): 644-651, 2010

      6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료 해설"

      7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비봉출판사 1994

      8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 해설"

      9 이투데이, "뷰티산업은 미래성장동력"

      10 곽형심, "뷰티산업육성을 위한 종합적 홍보전략 수립 연구" 한국미용학회 18 (18): 473-482, 2012

      1 김대중, "화장품산업의 산업연관효과" 116-121, 2004

      2 보건복지가족부, "화장품산업글로벌 화육성방안 연구" 2009

      3 이경민, "화장품산업 분석 및 발전방안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4

      4 김정원, "한국 뷰티산업의 현황" 한국의류산업학회 11 (11): 1-5, 2009

      5 이윤진, "우리나라 뷰티산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한국미용학회 16 (16): 644-651, 2010

      6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료 해설"

      7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비봉출판사 1994

      8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 해설"

      9 이투데이, "뷰티산업은 미래성장동력"

      10 곽형심, "뷰티산업육성을 위한 종합적 홍보전략 수립 연구" 한국미용학회 18 (18): 473-482, 2012

      11 매경이코노미, "뷰티산업에 돈이 몰리는 이유"

      12 매일경제신문사, "뷰티산업에 돈이 몰리는 사연"

      13 황순남, "뷰티산업발전방안" 2 : 37-56, 2007

      14 원종욱, "뷰티산업 선진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수립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27, 2009

      15 심상민, "뷰티(美)산업의 부상과 성공전략" 삼성경제 연구소 (345) : 2002

      16 문미형, "뷰티 산업에 있어서의 수익률 제고를 위한 운영방안 개선사례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 10 (10): 901-909, 2012

      17 정영호,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산업연관분석: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2041-2065, 2005

      18 정영호, "보건산업의 산업구조분석 및 발전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19 서정교, "보건산업과 한방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2457-2475, 2009

      20 황보윤, "미용서비스업체의 입지요인과 경영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 8 (8): 296-305, 2008

      21 황순욱, "국내 화장품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22 A. Ghosh,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 cative system" 25 : 58-64, 1958

      23 R. E. Miller, "Input-output Analysis : Foundation and Extensions" Pren tice-Hall 1985

      24 KHIDI, "2010 보건산업백서" 47-50, 2011

      25 한국은행, "2009년 산업연관표"

      26 김미현, "2008~2009 F/W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8 (8): 151-159,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