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인지방소법인지방소득세에 대한 외국납부세액공제 적용 가부 ―서울고등법원 2018.6.12. 선고 2018누33038 판결에 대한평석을 겸하여― = Application of Foreign Tax Credit on Corporate Local Income Tax―Commentary on Judgment by Seoul High Court (Seoul High Court, 2018Nu33038 Judgment dated June 12, 201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bject to the amendments to the Local Tax Act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the “Special Local Taxation Act”) on January 1, 2014, while the foreign tax credit is recognized in determining personal local income taxes under Article 97 of the Local Special Taxation Act, there is no specific provision which speaks for the treatment of the foreign tax credit in relation to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under the Local Tax Act or Special Local Taxation Act. Rather, under Article 103-19 of the Local Tax Act, it is simply provided that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 shall be the amount equivalent to “the calculated amount under Article 13 of the Corporate Tax Act.” When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tax is determined under Article 57 Section 4 of the Corporate Tax Act, the limited amount equivalent to the amount of the tax credit granted is deemed as gross income (Corporate Tax Act, Article 15, Section 2(2)).
      Taxpayers argue that application of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to the corporate tax is irrational. That is, because the tax base under Article 57 Section 4 of the Corporate Tax exists on the premises of offering the benefit of indirect foreign tax credit and therefore, in respect to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without granting any such credit, it is irrational to construe that such amount shall be included in determining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On this issue, the Seoul High Court in its judgment (Seoul High Court, 2018Nu33038 Judgment dated June 12, 2018) ruled in favor of the taxpayers and concluded that when the foreign tax credit is not granted, such amount shall be excluded in determining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The said Seoul High Court’s ruling was filed before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e Supreme Court of Korea, however, dismissed the application for appeal and upheld the Seoul High Court’s judgment (Supreme Court of Korea, 2018Du50000 Judgment dated October 25, 2018).
      It is, however, difficult to agree or accept the conclusion derived by the Courts in the above cases because:(ⅰ) Article 103-19 of the current Local Tax Act unequivocally provides that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 shall be the same as that of the corporate tax, and (ⅱ)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amended Local Tax Act being the expansion of the local finance, the underlying rationale of such amendment is to apply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tax to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 as means to secure local taxation may well be confirmed. Without any ground to support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ng double taxation is superior policy to the policy of securing local taxation, drawing a conclusion subject to reckless interpretations of the provisions in contrast to the language and underlying rationale of such laws may rather be deemed as against the legal stability. If there is any issue in relation to the current laws in force, such issue must be resolved by judicial review or scientific analysis and examination seeking reform of the law. It is my belief that the aforesaid rulings of the Courts need to be correct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Subject to the amendments to the Local Tax Act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the “Special Local Taxation Act”) on January 1, 2014, while the foreign tax credit is recognized in determining personal local income taxes under Art...

      Subject to the amendments to the Local Tax Act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the “Special Local Taxation Act”) on January 1, 2014, while the foreign tax credit is recognized in determining personal local income taxes under Article 97 of the Local Special Taxation Act, there is no specific provision which speaks for the treatment of the foreign tax credit in relation to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under the Local Tax Act or Special Local Taxation Act. Rather, under Article 103-19 of the Local Tax Act, it is simply provided that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 shall be the amount equivalent to “the calculated amount under Article 13 of the Corporate Tax Act.” When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tax is determined under Article 57 Section 4 of the Corporate Tax Act, the limited amount equivalent to the amount of the tax credit granted is deemed as gross income (Corporate Tax Act, Article 15, Section 2(2)).
      Taxpayers argue that application of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to the corporate tax is irrational. That is, because the tax base under Article 57 Section 4 of the Corporate Tax exists on the premises of offering the benefit of indirect foreign tax credit and therefore, in respect to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without granting any such credit, it is irrational to construe that such amount shall be included in determining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On this issue, the Seoul High Court in its judgment (Seoul High Court, 2018Nu33038 Judgment dated June 12, 2018) ruled in favor of the taxpayers and concluded that when the foreign tax credit is not granted, such amount shall be excluded in determining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es. The said Seoul High Court’s ruling was filed before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e Supreme Court of Korea, however, dismissed the application for appeal and upheld the Seoul High Court’s judgment (Supreme Court of Korea, 2018Du50000 Judgment dated October 25, 2018).
      It is, however, difficult to agree or accept the conclusion derived by the Courts in the above cases because:(ⅰ) Article 103-19 of the current Local Tax Act unequivocally provides that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 shall be the same as that of the corporate tax, and (ⅱ)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amended Local Tax Act being the expansion of the local finance, the underlying rationale of such amendment is to apply the tax base for the corporate tax to the corporate local income tax as means to secure local taxation may well be confirmed. Without any ground to support that the necessity of preventing double taxation is superior policy to the policy of securing local taxation, drawing a conclusion subject to reckless interpretations of the provisions in contrast to the language and underlying rationale of such laws may rather be deemed as against the legal stability. If there is any issue in relation to the current laws in force, such issue must be resolved by judicial review or scientific analysis and examination seeking reform of the law. It is my belief that the aforesaid rulings of the Courts need to be correct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세법과 지방세특례제한법(이하 ‘지특법’)이 2014.1.1. 각 개정되면서 개인지방소득세의 경우 지특법 제97조에서 외국납부세액공제를 따로 규정해 둔 반면, 법인지방소득세에 대하여는 지방세법이나 지특법에 외국납부세액과 관련하여 이를 어떻게 배려할 것인지에 관한 아무런 규정이 없다. 그리고 지방세법 제103조의 19에서는 법인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을 “법인세법 제13조에 따라 계산한 금액”이라고만 규정할 뿐이다.
      법인세법상 법인세 과세표준 산정시 법인세법 제57조 제4항에 따른 외국법인세액에 상당하는 금액은 세액공제된 경우에 한하여 이를 익금에 넣어 과세표준에 가산한다(법인세법 15조 3항 2호).
      납세자들은 법인지방소득세 과세표준을 법인세의 과세표준과 동일하게 보게 되면 불합리하다고 주장한다. 즉, 법인세 과세표준 산정에 관한 법인세법 제57조 제4항 규정은 간접외국납부세액공제의 혜택을 주는 것을 전제로 간접외국납부세액을 과세표준에 산입하도록 한 것인데, 법인지방소득세의 경우 간접외국납부세액을 공제해 주지도 않고서 이를 과세표준에 산입하여 세액을 산출하도록 해석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하여 평석 대상 판결인 서울고등법원 2018.6.12. 선고 2018누33038 판결은 이러한 납세자의 주장을 지지하여 법인지방소득세 과세표준에서 간접외국납부세액 부분을 제외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 판결은 그 상고심에서 심리불속행 기각판결(대법원 2018.10.25. 선고 2018두50000 판결)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현행 지방세법 제103조의 19 규정의 문언상 의미는 법인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은 법인세의 그것을 그대로 가져오라는 것임이 분명하고, 지방재정 확충이라는 개정 지방세법의 입법목적에 비추어 지방세 세수 확보 수단으로 법인세법상 과세표준을 법인지방소득세에 동일하게 가져오겠다는 개정취지도 확인된다. 이런 의미에서 대상판결의 결론에 동의하기 어렵다. 대상판결의 문제점으로 ‘이중과세 방지의 필요성’이 ‘지방세수 확보의 필요성’보다도 정책상 우위에 있다고 볼 근거도 없는데 함부로 법문언과 취지에 반하는 해석을 한 부당성을 지적할 수 있고, 이중과세 방지에 지나치게 치우친 나머지 지방세수 확보 필요성에 관한 법취지 부분은 아예 무시한 불합리도 지적될 수 있다. 혹 현행법 규정에 문제가 있다면 위헌법률심사제도에 문의하여 시정을 도모하거나 과학적 분석을 거쳐 법개정을 도모할 것이지 법 해석론으로서 대상판결의 결론을 내리는 것은 문제이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시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지방세법과 지방세특례제한법(이하 ‘지특법’)이 2014.1.1. 각 개정되면서 개인지방소득세의 경우 지특법 제97조에서 외국납부세액공제를 따로 규정해 둔 반면, 법인지방소득세에 대하여는 ...

      지방세법과 지방세특례제한법(이하 ‘지특법’)이 2014.1.1. 각 개정되면서 개인지방소득세의 경우 지특법 제97조에서 외국납부세액공제를 따로 규정해 둔 반면, 법인지방소득세에 대하여는 지방세법이나 지특법에 외국납부세액과 관련하여 이를 어떻게 배려할 것인지에 관한 아무런 규정이 없다. 그리고 지방세법 제103조의 19에서는 법인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을 “법인세법 제13조에 따라 계산한 금액”이라고만 규정할 뿐이다.
      법인세법상 법인세 과세표준 산정시 법인세법 제57조 제4항에 따른 외국법인세액에 상당하는 금액은 세액공제된 경우에 한하여 이를 익금에 넣어 과세표준에 가산한다(법인세법 15조 3항 2호).
      납세자들은 법인지방소득세 과세표준을 법인세의 과세표준과 동일하게 보게 되면 불합리하다고 주장한다. 즉, 법인세 과세표준 산정에 관한 법인세법 제57조 제4항 규정은 간접외국납부세액공제의 혜택을 주는 것을 전제로 간접외국납부세액을 과세표준에 산입하도록 한 것인데, 법인지방소득세의 경우 간접외국납부세액을 공제해 주지도 않고서 이를 과세표준에 산입하여 세액을 산출하도록 해석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하여 평석 대상 판결인 서울고등법원 2018.6.12. 선고 2018누33038 판결은 이러한 납세자의 주장을 지지하여 법인지방소득세 과세표준에서 간접외국납부세액 부분을 제외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 판결은 그 상고심에서 심리불속행 기각판결(대법원 2018.10.25. 선고 2018두50000 판결)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현행 지방세법 제103조의 19 규정의 문언상 의미는 법인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은 법인세의 그것을 그대로 가져오라는 것임이 분명하고, 지방재정 확충이라는 개정 지방세법의 입법목적에 비추어 지방세 세수 확보 수단으로 법인세법상 과세표준을 법인지방소득세에 동일하게 가져오겠다는 개정취지도 확인된다. 이런 의미에서 대상판결의 결론에 동의하기 어렵다. 대상판결의 문제점으로 ‘이중과세 방지의 필요성’이 ‘지방세수 확보의 필요성’보다도 정책상 우위에 있다고 볼 근거도 없는데 함부로 법문언과 취지에 반하는 해석을 한 부당성을 지적할 수 있고, 이중과세 방지에 지나치게 치우친 나머지 지방세수 확보 필요성에 관한 법취지 부분은 아예 무시한 불합리도 지적될 수 있다. 혹 현행법 규정에 문제가 있다면 위헌법률심사제도에 문의하여 시정을 도모하거나 과학적 분석을 거쳐 법개정을 도모할 것이지 법 해석론으로서 대상판결의 결론을 내리는 것은 문제이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시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1997년판)" 법문사 1997

      2 김철수, "헌법학신론 (제21전정신판)" 박영사 2013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9

      4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5 정지선, "지방소득세에 있어서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중앙법학회 16 (16): 335-376, 2014

      6 강석규, "조세법쟁론" 삼일인포마인 2017

      7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18

      8 구상수, "위헌성 논란 … 간접외국납부세액에 대한 지방소득세 과세"

      9 김주성, "외국납부세액의 법인지방소득세 과세표준 산입 여부" 2019

      10 방진영, "외국납부세액공제와 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 ― 국내법과 조세조약의 해석, 입법론 ―" 2018

      1 권영성, "헌법학원론 (1997년판)" 법문사 1997

      2 김철수, "헌법학신론 (제21전정신판)" 박영사 2013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9

      4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5 정지선, "지방소득세에 있어서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중앙법학회 16 (16): 335-376, 2014

      6 강석규, "조세법쟁론" 삼일인포마인 2017

      7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18

      8 구상수, "위헌성 논란 … 간접외국납부세액에 대한 지방소득세 과세"

      9 김주성, "외국납부세액의 법인지방소득세 과세표준 산입 여부" 2019

      10 방진영, "외국납부세액공제와 지방소득세의 과세표준 ― 국내법과 조세조약의 해석, 입법론 ―" 2018

      11 이찬근, "세법강의" 박영사 2018

      12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13 정현우, "법인지방소득세 외국납부세액공제 적용에 있어 이중과세 문제 개선방안 : 조세조약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재정정책학회 21 (21): 157-186, 2019

      14 유철형, "법인지방소득세 과표, ‘법인세법 13조에 따른 계산금액’의 의미는"

      15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16 김인근, "국제조세의 이론과 실무" ㈜광교이텍스 2019

      17 이창희, "국세조세법" 박영사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세법연구회 -> 한국세법학회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04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