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8년 「상속세 및 증여세법」과 지방세법 판례회고 = Review of 2018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and ‘Local Tax Act’ Cas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8년에 선고된 「상속세 및 증여세법」과 지방세법 관련 판결 중 필자가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판례 9건을 선정하여 소개하면서 간략하게 평석한 것이다.
      먼저 「상속세 및 증여세법」과 관련된 것으로는, ① 명의신탁된 주식이 포괄적 교환의 대상이 된 경우 재차 명의신탁 증여의제가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3.29. 선고 2012두27787 판결과, ② 주식 취득 후 신설된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의 명의개서 판정 규정에 따라 명의신탁 증여의제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6.28. 선고 2018두36172 판결, ③ 구법하에서 명의신탁 주식에 대하여 최대주주 할증평가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2.8. 선고 2017두48451 판결, ④ 신설법인의 최대주주 예정자로부터 증여받은 자금으로 신설법인 발행주식을 인수한 경우 상장이익에 대한 증여세 과세대상인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12.13. 선고 2015두40941 판결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지방세법과 관련된 것으로, ⑤ 3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의 취득세 납세의무자를 다룬 대법원 2018.3.22. 선고 2014두43110 전원합의체 판결, ⑥ 원인 무효인 취득으로 인한 등록에 대한 등록면허세 납세의무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4.10. 선고 2017두35684 판결, ⑦ 상속등기 없이 부동산을 상속으로 취득하는 경우 적용되는 취득세율에 관한 대법원 2018.4.26. 선고 2017두74672 판결, ⑧ 워크아웃 과정에서 증가한 지분이 간주취득세 과세대상인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10.4. 선고 2018두44753 판결, ⑨ 과점주주가 명의신탁 주식을 환원받는 경우, 과점주주 지분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과점주주 간주취득세 대상인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11.9. 선고 2018두49376 판결을 소개하였다.
      이 중에서도 필자가 생각하기에 특히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단연 기존 등기명의신탁에 대한 취득세 과세실무에서의 혼란을 정리한 대법원 2014두43110 판결과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관한 적용 범위를 사실상 변경한 것으로 생각되는 대법원 2012두27787 판결을 꼽아 본다.
      번역하기

      이 글은 2018년에 선고된 「상속세 및 증여세법」과 지방세법 관련 판결 중 필자가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판례 9건을 선정하여 소개하면서 간략하게 평석한 것이다. 먼저 「상속세 및 증여세...

      이 글은 2018년에 선고된 「상속세 및 증여세법」과 지방세법 관련 판결 중 필자가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판례 9건을 선정하여 소개하면서 간략하게 평석한 것이다.
      먼저 「상속세 및 증여세법」과 관련된 것으로는, ① 명의신탁된 주식이 포괄적 교환의 대상이 된 경우 재차 명의신탁 증여의제가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3.29. 선고 2012두27787 판결과, ② 주식 취득 후 신설된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의 명의개서 판정 규정에 따라 명의신탁 증여의제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6.28. 선고 2018두36172 판결, ③ 구법하에서 명의신탁 주식에 대하여 최대주주 할증평가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2.8. 선고 2017두48451 판결, ④ 신설법인의 최대주주 예정자로부터 증여받은 자금으로 신설법인 발행주식을 인수한 경우 상장이익에 대한 증여세 과세대상인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12.13. 선고 2015두40941 판결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지방세법과 관련된 것으로, ⑤ 3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의 취득세 납세의무자를 다룬 대법원 2018.3.22. 선고 2014두43110 전원합의체 판결, ⑥ 원인 무효인 취득으로 인한 등록에 대한 등록면허세 납세의무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4.10. 선고 2017두35684 판결, ⑦ 상속등기 없이 부동산을 상속으로 취득하는 경우 적용되는 취득세율에 관한 대법원 2018.4.26. 선고 2017두74672 판결, ⑧ 워크아웃 과정에서 증가한 지분이 간주취득세 과세대상인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10.4. 선고 2018두44753 판결, ⑨ 과점주주가 명의신탁 주식을 환원받는 경우, 과점주주 지분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과점주주 간주취득세 대상인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8.11.9. 선고 2018두49376 판결을 소개하였다.
      이 중에서도 필자가 생각하기에 특히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단연 기존 등기명의신탁에 대한 취득세 과세실무에서의 혼란을 정리한 대법원 2014두43110 판결과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관한 적용 범위를 사실상 변경한 것으로 생각되는 대법원 2012두27787 판결을 꼽아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author selected and reviewed 9 court cases on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and the Local Tax Act that were announced in 2018 and which the author found significant.
      First, relating to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he article discusses the following cases:(ⅰ) Supreme Court Decision 2012Du27787 dated March 29, 2018 on whether a deemed gift tax is repeatedly applicable in the case of collective exchange of shares held in nominees’ names, (ⅱ)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36172 dated June 28, 2018 on whether deemed gift tax is applicable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n documentation of changes in share ownership that were enacted following the acquisition of the shares at issue, (ⅲ)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48451 dated February 8, 2018 on whether the rules on aggravated valuation of majority shares apply to shares held in others’ names under the law prior to amendment and (ⅳ) Supreme Court Decision 2015Du40941 dated December 13, 2018 on whether in a case where purchase of shares in a newly established company was funded by gifts from the to-be majority shareholder of the new company, the profit from the initial public offering of the shares are subject to gift taxation.
      Next, with regard to the Local Tax Act, the article discusses the following cases:(ⅴ) Supreme Court Decision 2014Du43110 (en banc ruling) dated March 22, 2018 on the person liable for acquisition tax in a three-party nominee registration case, (ⅵ)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35684 dated April 10, 2018 on the liability to pay registration fee for a registration that has no valid reason, (ⅶ)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74672 dated April 26, 2018 on the applicable acquisition tax rate for business that has been acquired by inheritance without inheritance registration, (ⅷ)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44753 dated October 4, 2018 on whether equity that has increased during a work-out process is subject to deemed acquisition tax, (ⅸ)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49376 dated November 9, 2018 on whether a majority shareholder who has retrieved his shares formerly held by a nominee is subject to deemed acquisition tax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his majority share percentage has increased.
      From among these cases, the author considers Supreme Court Decision 43110, which clarified the ambiguity surrounding acquisition tax treatment of shares held by nominees, and Supreme Court Decision 2012Du27787, which is understood to have modifie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deemed gift taxation, particularly insightful.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the author selected and reviewed 9 court cases on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and the Local Tax Act that were announced in 2018 and which the author found significant. First, relating to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he art...

      In this article, the author selected and reviewed 9 court cases on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and the Local Tax Act that were announced in 2018 and which the author found significant.
      First, relating to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he article discusses the following cases:(ⅰ) Supreme Court Decision 2012Du27787 dated March 29, 2018 on whether a deemed gift tax is repeatedly applicable in the case of collective exchange of shares held in nominees’ names, (ⅱ)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36172 dated June 28, 2018 on whether deemed gift tax is applicable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n documentation of changes in share ownership that were enacted following the acquisition of the shares at issue, (ⅲ)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48451 dated February 8, 2018 on whether the rules on aggravated valuation of majority shares apply to shares held in others’ names under the law prior to amendment and (ⅳ) Supreme Court Decision 2015Du40941 dated December 13, 2018 on whether in a case where purchase of shares in a newly established company was funded by gifts from the to-be majority shareholder of the new company, the profit from the initial public offering of the shares are subject to gift taxation.
      Next, with regard to the Local Tax Act, the article discusses the following cases:(ⅴ) Supreme Court Decision 2014Du43110 (en banc ruling) dated March 22, 2018 on the person liable for acquisition tax in a three-party nominee registration case, (ⅵ)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35684 dated April 10, 2018 on the liability to pay registration fee for a registration that has no valid reason, (ⅶ)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74672 dated April 26, 2018 on the applicable acquisition tax rate for business that has been acquired by inheritance without inheritance registration, (ⅷ)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44753 dated October 4, 2018 on whether equity that has increased during a work-out process is subject to deemed acquisition tax, (ⅸ)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49376 dated November 9, 2018 on whether a majority shareholder who has retrieved his shares formerly held by a nominee is subject to deemed acquisition tax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his majority share percentage has increased.
      From among these cases, the author considers Supreme Court Decision 43110, which clarified the ambiguity surrounding acquisition tax treatment of shares held by nominees, and Supreme Court Decision 2012Du27787, which is understood to have modifie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deemed gift taxation, particularly insightfu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현, "타인 명의를 이용한 행위에 관한 조세법적 연구" 대법원법원행정처 64 : 2017

      2 박지현, "취득세․등록면허세(등록분) 세율체계 개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2015

      3 주만수, "취득세 과세체계의 정상화 방안 연구:세율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4 국회 행정안전행정위원회, "지방세법 전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서" 2009

      5 신기선, "주주명부가 없는 경우 명의신탁 주식의 증여일은"

      6 尹智炫, "주식의 명의신탁에 대한 증여세 과세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점에 관한 소고" 한국세법학회 9 (9): 2003

      7 유철형,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로 명의개서 여부를판정하는 규정의 소급적용 여부에 관한 연구―대법원 2018.6.28. 선고 2018두36172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세법학회 24 (24): 313-350, 2018

      8 조일영, "주식 명의신탁에 대한 증여의제에 있어 조세회피목적" 법원도서관 (61) : 2006

      9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14

      10 이창희, "세법강의" 박영사 2016

      1 김세현, "타인 명의를 이용한 행위에 관한 조세법적 연구" 대법원법원행정처 64 : 2017

      2 박지현, "취득세․등록면허세(등록분) 세율체계 개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2015

      3 주만수, "취득세 과세체계의 정상화 방안 연구:세율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4 국회 행정안전행정위원회, "지방세법 전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서" 2009

      5 신기선, "주주명부가 없는 경우 명의신탁 주식의 증여일은"

      6 尹智炫, "주식의 명의신탁에 대한 증여세 과세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점에 관한 소고" 한국세법학회 9 (9): 2003

      7 유철형,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로 명의개서 여부를판정하는 규정의 소급적용 여부에 관한 연구―대법원 2018.6.28. 선고 2018두36172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세법학회 24 (24): 313-350, 2018

      8 조일영, "주식 명의신탁에 대한 증여의제에 있어 조세회피목적" 법원도서관 (61) : 2006

      9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14

      10 이창희, "세법강의" 박영사 2016

      11 이용호, "상속등기 없는 부동산 취득의 경우 납부하여야 할 취득세의 세율" 법원도서관 (116) : 2018

      12 박달영, "비상장주식의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대하여:할증과세를 중심으로" 국세청 세우회 (434) : 2003

      13 성수현, "명의신탁주식이 구조조정에 의하여 신주로 바뀌게 된 경우 새로운 명의신탁인지 여부:대법원 2013두5791, 2013. 8. 23.;대법원 2011두181, 2013. 9. 26" 영화조세통람 2013

      14 김범준, "명의신탁주식의 최대주주 할증평가 적용 및 최대주주의 판단기준" 조세통람사 (359) : 2018

      15 김완석, "명의신탁주식에 대한 주식의 포괄적 교환에 따른 신주의 재차 증여의제 여부"

      16 이찬근, "명의신탁재산에 대한 증여의제와 조세회피목적 부존재 증명의 정도(대법원 2017. 6. 19. 선고 2016두51689 판결)"

      17 김석범,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의한 증여세 부과의 한계" 법원도서관 (111) : 2017

      18 이찬근, "명의신탁 증여의제 관련 새로운 판례 동향"

      19 정지선, "명의신탁 관련 취득세 과세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5 (15): 109-142, 2015

      20 최승재, "대법원 2015다248342 전원합의체 판결 적용범위에 대한 소고"

      21 김재형,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1

      22 안경봉, "과점주주에 대한 취득세 과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19 : 251-276, 2007

      23 조윤희, "고요한 정의의 울림:신영철 대법관 퇴임기념 논문집:공의를 향한 사랑, 고민, 열정을 기리며" 사법발전재단 2015

      24 허원, "2017년 「상속세 및 증여세법」 판례회고" 한국세법학회 24 (24): 369-452, 2018

      25 국세청, "2016 개정세법해설"

      26 장성두, "2013년도 소득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판례회고" 한국세법학회 20 (20): 325-373, 2014

      27 김재남, "(2017년도)법관연수 어드밴스(Advance) 과정 연구논문집:전문 분야 소송의 주요쟁점(조세/상사소송)" 사법연수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세법연구회 -> 한국세법학회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04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