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과 교육학 필수 지식의 선정과 조직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ssential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2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basic theories, learning topics, and scholars that select and organize essential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to be included in book that could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for secondary school moral teacher curriculum and teacher selection test. This learning materials for moral pedagogy can suggest standards for the competence of moral teachers measured in the secondary school pre-service moral teacher curriculum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evaluation. The essential knowledge to be contained in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related to the standards that a person who major in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must achieves, that is, moral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nd dispositions. This materials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useful for developing the morality of teachers and the ability of teachers to teach morally. Only then can it serve as a learning achievement standard for pre-service moral teac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basic theories, learning topics, and scholars that select and organize essential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to be included in book that could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for secondary school moral teacher c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basic theories, learning topics, and scholars that select and organize essential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to be included in book that could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for secondary school moral teacher curriculum and teacher selection test. This learning materials for moral pedagogy can suggest standards for the competence of moral teachers measured in the secondary school pre-service moral teacher curriculum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evaluation. The essential knowledge to be contained in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related to the standards that a person who major in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must achieves, that is, moral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nd dispositions. This materials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useful for developing the morality of teachers and the ability of teachers to teach morally. Only then can it serve as a learning achievement standard for pre-service moral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중등학교 도덕․윤리 교사 교육과정과 교사임용선정시험에서 학습자료로 쓸 수 있는 도서에 담길 도덕과 교육학의 필수 지식을 선정․조직하는 기초 이론, 학습 주제, 학자들을 분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는 중등 도덕․윤리 교과 예비교사 교육과정과 중등교사임용시험 평가에서 측정하는 도덕․윤리 교사의 역량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서에 담겨야 하는 필수 지식은 도덕․윤리 교과를 전공한 사람이 성취해야 하는 기준, 즉 도덕성 발달에 대한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 성향과 관련되어야 한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는 교사의 도덕성과 도덕적으로 가르치는 교사의 능력 두 가지 측면을 발달시키는 데 유용한 내용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래야만 도덕․윤리 교과의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공통으로 다루어야 하는 교과교육학 지식으로서 도덕․윤리 교과 예비교사의 학습 성취기준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거의 사문화되고 있는 중등교사임용시험 도덕․윤리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를 보완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중등학교 도덕․윤리 교사 교육과정과 교사임용선정시험에서 학습자료로 쓸 수 있는 도서에 담길 도덕과 교육학의 필수 지식을 선정․조직하는 기초 이론, 학습 주제, 학...

      본 논문의 목적은 중등학교 도덕․윤리 교사 교육과정과 교사임용선정시험에서 학습자료로 쓸 수 있는 도서에 담길 도덕과 교육학의 필수 지식을 선정․조직하는 기초 이론, 학습 주제, 학자들을 분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는 중등 도덕․윤리 교과 예비교사 교육과정과 중등교사임용시험 평가에서 측정하는 도덕․윤리 교사의 역량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서에 담겨야 하는 필수 지식은 도덕․윤리 교과를 전공한 사람이 성취해야 하는 기준, 즉 도덕성 발달에 대한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 성향과 관련되어야 한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는 교사의 도덕성과 도덕적으로 가르치는 교사의 능력 두 가지 측면을 발달시키는 데 유용한 내용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래야만 도덕․윤리 교과의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공통으로 다루어야 하는 교과교육학 지식으로서 도덕․윤리 교과 예비교사의 학습 성취기준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거의 사문화되고 있는 중등교사임용시험 도덕․윤리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를 보완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용경, "표시과목 「도덕․윤리」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 김국현, "중등교사임용시험 서답형 예시문항 개발 연구" 시․도교육청공동관리위원회 2013

      3 김국현,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변화와 교사교육의 개선" 29 (29): 235-264, 2013

      4 김국현, "인공지능 윤리와 도덕과 교육" 뇌기반교육연구소 10 (10): 77-92, 2020

      5 김국현,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도덕과 교육의 과제" 한국윤리교육학회 (61) : 1-26, 2021

      6 김국현, "역량 기반 도덕과 교육과정의 대강화 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59) : 1-33, 2021

      7 김국현,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교육연구원 29 (29): 205-226, 2013

      8 이돈희, "도덕교과학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9 김국현, "도덕과 평가의 9가지 레시피" 교육과학사 2013

      10 김국현,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선 방안" 한국윤리학회 1 (1): 207-237, 2011

      1 임용경, "표시과목 「도덕․윤리」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 김국현, "중등교사임용시험 서답형 예시문항 개발 연구" 시․도교육청공동관리위원회 2013

      3 김국현,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변화와 교사교육의 개선" 29 (29): 235-264, 2013

      4 김국현, "인공지능 윤리와 도덕과 교육" 뇌기반교육연구소 10 (10): 77-92, 2020

      5 김국현,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도덕과 교육의 과제" 한국윤리교육학회 (61) : 1-26, 2021

      6 김국현, "역량 기반 도덕과 교육과정의 대강화 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59) : 1-33, 2021

      7 김국현,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교육연구원 29 (29): 205-226, 2013

      8 이돈희, "도덕교과학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9 김국현, "도덕과 평가의 9가지 레시피" 교육과학사 2013

      10 김국현, "도덕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선 방안" 한국윤리학회 1 (1): 207-237, 2011

      11 김국현,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27) : 1-30, 2012

      12 김국현,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윤리적 역량 재구조화" 한국윤리학회 1 (1): 89-116, 2017

      13 김국현,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과제" 한국윤리교육학회 (55) : 1-31, 2020

      14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5 김국현, "도덕과 교과 지식의 재구성의 필요성, 도덕과 교과 지식의 재구성 방향 모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6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남명집" 한길사 2003

      17 김국현, "교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과지식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8 日本道德性心理學硏究會, "道德性心理學" 北大路書房 2015

      19 Burrell, T, "What does it mean to be an ethical teacher?"

      20 Turiel, E, "The Culture of Mor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1 Tiberius, V., "Moral Psychology: A Contemporary Introduction" Routledge 2015

      22 Lapsley, D. K, "Moral Psychology" Westview Press 1996

      23 Vozzola, E. C., "Moral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Routledge 2014

      24 Kurtines, W. K., "Moral Development: An Introduction" Allyn and Bacon 1995

      25 Chazan, B, "Contemporary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Analyzing Alternative Theories" Teachers College Press 1985

      26 김국현, "2015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도덕과 교사 요구 분석" 한국윤리교육학회 (54) : 1-34,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연구소 ->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