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How to cultivate and Develop Global Saemaul Undong Model Villag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들어와서 해외의 개발도상국, 저개발국에서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을 자국의 지역발전 모델로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발걸음이 잦아졌다. 2010년도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새마을 교육을 이수 받은 해외 나라는 33개국에 412명이나 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G20 회원국으로서 그동안 해외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공여국으로 탈바꿈하였고 2010년 말 경제규모는 세계 13위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역할 확대가 요청되고 있고 정부는 국무총리 산하에 「ODA 선진화 방안」을 마련하고 「새마을운동 ODA TF」를 출범시켜 새마을운동 개발협력모델을 범정부적으로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새마을 운동이 UN의 새천년개발목표에서 제시하는 빈곤퇴치를 위한 개발도상국 및 후진국의 개발모형이 될 수 있음을 구명하고 나아가 지금까지 추진되어온 해외 새마을운동의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2000년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에 따른 국제적 위상과 해외원조 규모를 조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해외에서의 새마을운동의 추진현황을 분석하여 그 장․단점을 살펴보고 제4장과 5장에서는 해외 새마을운동의 육성방안에 관해 고찰하고 결론을 맺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해외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육성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점을 세 가지 제안하였다. 첫째, ODA 사업의 성공여부는 지원국에서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 못지않게 수원국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ODA 수원국에서 수용 가능한, 그리고 자생적 개발모형으로 유연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교육과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둘째, 새마을사업의 평가 틀에 대한 공유이다. ODA 사업으로서 새마을운동을 저개발국에 이식을 할 때 우리가 만든 평가 틀로 그 사업의 성패 여부를 판단할 것이 아니라 수원국에서, 또는 수원국과 공여국 간에 공동으로 만든 평가 틀에 넣어 사업성과를 판단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새마을운동의 수원국 현지 적용에는 현지의 전통과 문화, 주민의식을 충분히 고려한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1990년대 들어와서 해외의 개발도상국, 저개발국에서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을 자국의 지역발전 모델로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발걸음이 잦아졌다. 2010년도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새마을...

      1990년대 들어와서 해외의 개발도상국, 저개발국에서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을 자국의 지역발전 모델로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발걸음이 잦아졌다. 2010년도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새마을 교육을 이수 받은 해외 나라는 33개국에 412명이나 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G20 회원국으로서 그동안 해외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공여국으로 탈바꿈하였고 2010년 말 경제규모는 세계 13위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역할 확대가 요청되고 있고 정부는 국무총리 산하에 「ODA 선진화 방안」을 마련하고 「새마을운동 ODA TF」를 출범시켜 새마을운동 개발협력모델을 범정부적으로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새마을 운동이 UN의 새천년개발목표에서 제시하는 빈곤퇴치를 위한 개발도상국 및 후진국의 개발모형이 될 수 있음을 구명하고 나아가 지금까지 추진되어온 해외 새마을운동의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2000년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에 따른 국제적 위상과 해외원조 규모를 조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해외에서의 새마을운동의 추진현황을 분석하여 그 장․단점을 살펴보고 제4장과 5장에서는 해외 새마을운동의 육성방안에 관해 고찰하고 결론을 맺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해외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육성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점을 세 가지 제안하였다. 첫째, ODA 사업의 성공여부는 지원국에서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 못지않게 수원국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ODA 수원국에서 수용 가능한, 그리고 자생적 개발모형으로 유연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교육과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둘째, 새마을사업의 평가 틀에 대한 공유이다. ODA 사업으로서 새마을운동을 저개발국에 이식을 할 때 우리가 만든 평가 틀로 그 사업의 성패 여부를 판단할 것이 아니라 수원국에서, 또는 수원국과 공여국 간에 공동으로 만든 평가 틀에 넣어 사업성과를 판단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새마을운동의 수원국 현지 적용에는 현지의 전통과 문화, 주민의식을 충분히 고려한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경수, "지역사회 빈곤퇴치와 사회적 자본" 한국지역개발학회 17 (17): 35-54, 2005

      2 소진광, "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의 새마을운동 시범사업 성과평가-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179-202, 2007

      3 임형백, "새마을운동의 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ODA) 적용 방향" 한국지역개발학회 23 (23): 47-70, 2011

      4 호세전, "새마을운동 거버넌스의 중국적 적용" 한국사회연구소 11 (11): 123-160, 2010

      5 황병주, "새마을 운동을 통한 농업 생산과정의 변화와 농민 포섭" 한국사회사학회 90 (90): 5-48, 2011

      6 김보현, "박정희시대 지배체제의 통치 전략과 기술: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0 (90): 49-77, 2011

      7 "UNICEF"

      8 Chung, Ki-Whan, "Theoretical framework of Saemaul Undong"

      9 Ha,Seong-Kyu, "The role of NGOs for low-income groups in Korean society" 14 (14): 219-229, 2005

      10 So,Jin Kwang, "The Final Evaluation Report for Replication of best practices on rural community development(Saemaul Undong)" KOICA & UNESCAP 2005

      1 임경수, "지역사회 빈곤퇴치와 사회적 자본" 한국지역개발학회 17 (17): 35-54, 2005

      2 소진광, "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의 새마을운동 시범사업 성과평가-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179-202, 2007

      3 임형백, "새마을운동의 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ODA) 적용 방향" 한국지역개발학회 23 (23): 47-70, 2011

      4 호세전, "새마을운동 거버넌스의 중국적 적용" 한국사회연구소 11 (11): 123-160, 2010

      5 황병주, "새마을 운동을 통한 농업 생산과정의 변화와 농민 포섭" 한국사회사학회 90 (90): 5-48, 2011

      6 김보현, "박정희시대 지배체제의 통치 전략과 기술: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0 (90): 49-77, 2011

      7 "UNICEF"

      8 Chung, Ki-Whan, "Theoretical framework of Saemaul Undong"

      9 Ha,Seong-Kyu, "The role of NGOs for low-income groups in Korean society" 14 (14): 219-229, 2005

      10 So,Jin Kwang, "The Final Evaluation Report for Replication of best practices on rural community development(Saemaul Undong)" KOICA & UNESCAP 2005

      11 Lim,Kyoung Soo, "Rethink on the traditional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 in Korea" 16 : 1987

      12 Lim,Kyoung Soo, "Results of early Saemaul Undong and its modernize meaning" 48 : 2006

      13 Korea Saemaul Undong Center, "Plans for global Saemaul Undong"

      14 "PCIJ"

      15 Jung,Woo-Yeoul, "Measures for Globalization of Saemaul Undong"

      16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ommittee, "Measures for Advance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17 Choe, Chang Soo, "Key factors to successful community development: the Korean experience,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18 KOICA, "KOICA’s Actual Grant Aid Statistics"

      19 So,Jin Kwang, "How to apply Saemaul Undong to ODA projects" KRIHS 2011

      20 Prime Minister's Office, "Fundamental Plan on Saemaul Undong ODA Project"

      21 임재강, "DHP를 통한 새마을운동의 활성화 전략 분석" 한국정부학회 20 (20): 1253-1279, 2008

      22 So,Jin Kwang,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Saemaul Undong in Korea in 1970s" 5 : 17-42, 2009

      23 Landingin, R. R, "7 in 10 ODA projects fail to deliver touted benefits"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15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