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청맥』지의 ‘장시(長詩)’ 기획
- 2. 『청맥』지의 ‘장시(長詩)’ 개념과 유형화의 방법
- 3. 『청맥』지의 ‘장시(長詩)’유형과 미학적 특성
- 4. 『청맥』지의 ‘장시(長詩)’에 나타나는 참여성과 한계: 결론을 대신하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35161
2024
-
810
KCI등재
학술저널
235-274(4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오장환 시에 나타난 ‘언어해체’와 ‘항일의식’의 관련성 연구 - 『전쟁』의 ‘시적 무의미’를 중심으로
박태순 소설에 나타난 역사의식 연구 - 초기 · 중기 · 후기작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