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 수행 실태,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 Current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on Educational Assessment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Improvement Plan Consider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28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s and their perceptions on educational assessments for student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o provide improvement considerations. In this research, 8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transcrib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3 themes and 11 sub-themes are deri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have been conducting alternative assessments based on observation for data sources about student`s learning progress and providing feedbacks to their students. Second,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utilized the results of assessments to plan and to modify their instructional methods and align each subject with integrated students`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s. Mostly, processes of academic assessment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focused on IEP.
      They collaborated with families and other colleagues in the form of support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assessment programs and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results of assessment and student`s performance in class. Third, educational assessment can be helpful to teacher in identifying student`s achievement and developing their individualized goal and objects. On the other hand,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have negative percep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because it depends on teacher`s belief and competence. And, they have difficulty in integrating student`s IEPs and collaboration with families and other colleagues.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al assessment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that a new understanding is necessary regarding percep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And it is essential to enha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o develop collaborative system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s and their perceptions on educational assessments for student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o provide improvement considerations. In this research, 8 teachers in 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s and their perceptions on educational assessments for student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o provide improvement considerations. In this research, 8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transcrib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3 themes and 11 sub-themes are deri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have been conducting alternative assessments based on observation for data sources about student`s learning progress and providing feedbacks to their students. Second,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utilized the results of assessments to plan and to modify their instructional methods and align each subject with integrated students`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s. Mostly, processes of academic assessment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focused on IEP.
      They collaborated with families and other colleagues in the form of support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assessment programs and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results of assessment and student`s performance in class. Third, educational assessment can be helpful to teacher in identifying student`s achievement and developing their individualized goal and objects. On the other hand,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have negative percep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because it depends on teacher`s belief and competence. And, they have difficulty in integrating student`s IEPs and collaboration with families and other colleagues.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al assessment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that a new understanding is necessary regarding percep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And it is essential to enha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o develop collaborative system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4

      2 배호순, "포트폴리오평가의 질 관리 방안의 모색" 10 (10): 75-104, 1997

      3 정소영,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437-456, 2011

      4 이형빈, "평가 관련 제도의 변화 및 학교 급별 평가혁신 방안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7-33, 2016

      5 권기홍,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활용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457-478, 2015

      6 정혜원,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교육평가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1

      7 김규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의 전통적 평가와 수행평가 비교연구: 과학과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81-107, 2010

      8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10

      9 정효철,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력평가제와 평가조정정책에 대한 학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71-197, 2012

      10 정동일, "특수교육교사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평가준거 탐색" 국립특수교육원 13 (13): 83-110, 2006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4

      2 배호순, "포트폴리오평가의 질 관리 방안의 모색" 10 (10): 75-104, 1997

      3 정소영,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437-456, 2011

      4 이형빈, "평가 관련 제도의 변화 및 학교 급별 평가혁신 방안 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7-33, 2016

      5 권기홍,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활용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457-478, 2015

      6 정혜원,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교육평가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1

      7 김규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의 전통적 평가와 수행평가 비교연구: 과학과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81-107, 2010

      8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10

      9 정효철,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력평가제와 평가조정정책에 대한 학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71-197, 2012

      10 정동일, "특수교육교사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평가준거 탐색" 국립특수교육원 13 (13): 83-110, 2006

      11 교육부,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12 하유란, "특수교사의 대안적 평가에 대한 활용실태와 인식" 부산대학교대학원 2015

      13 최종근,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참여 의사결정 모델 개발"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57-77, 2015

      14 최숙경,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수행평가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5 태원성,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과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61-281, 2007

      16 신소니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평가 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7 금미숙,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국어과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수업 딜레마 양상" 국립특수교육원 22 (22): 73-93, 2015

      18 정주영,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개발에 관한 실태 조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23-139, 2009

      19 하성수, "청각장애학교의 수행평가 운영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269-286, 2006

      20 최종근, "증거기반 특수교육 실제에서 평가 조정의 의의와 원칙"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211-239, 2010

      21 손옥경,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 평가 실태와 태도 및 인식 조사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73-193, 2008

      22 정현영,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 실태"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23-248, 2010

      23 김주희, "중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수행평가 실행실태와 인식수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24 박용호,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99-320, 2012

      25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3~’17)" 교육부 2013

      26 이호연, "장애유형과 장애정도가 초등특수교사의 평가방법 및 시기, 평가 결과 기록 및 활용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7 이은정,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의 적용이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13 (13): 67-90, 2006

      28 이성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유아평가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3 (3): 129-142, 2003

      29 이희정,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수행평가 활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30 김하종,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육평가 실제에 대한 연구" 4 (4): 79-104, 2004

      31 김성애, "우리나라 특수교사의 자질 및 교사양성 과제에 관한 논의"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95-121, 2008

      32 W. James Popham, "수업중심 교육평가 : 더 나은 수업을 위한 평가의 역할" 학지사 2016

      33 신명규, "사회과 질적 평가에 관한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14 (14): 91-114, 2012

      34 김양화, "미국과 한국의 IEP 변화과정 고찰 및 지적장애학생 IEP 운영의 발전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55-79, 2014

      35 김영석, "국내 대안평가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포트폴리오 평가와 루브릭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155-175, 2015

      36 James H. McMillan, "교육평가의 원리와 실제: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 교육과학사 2015

      37 김완숙, "교수적 루브릭 참조 자기평가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비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5 (15): 111-129, 2011

      38 권현수,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통합교육에 필요한 교사 자질 형성 기능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189-214, 2011

      39 정은주,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평가 실태 -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573-596, 2015

      40 김희, "경기 북부지역 중학교의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41 김정삼,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22, 2011

      42 송수일, "개별화교육계획(IEP) 참여에 대한 정신지체학생 부모의 인식 분석과 개선 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19-43, 2007

      43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What Every Special Educator Must Know:Professional Ethics and Standards" CEC 2015

      44 Creswell, J. W., "Educational research: Pla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Pearson Education 2002

      45 김성숙, "2020한국초중등교육의 방향과 과제" 학지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