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각장애 중등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Analyses of Variables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2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communication- 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One-hundred fifty eight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elected from five special schools and eighteen special education class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ent by mail.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type,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had impact on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econd, the sub-scales of the self-identity scale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self-esteem and affinity. The sub-scale of the self-efficacy scale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as preference of difficult tasks. Limitation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etting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communication- 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One-hundred fifty eight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elected from five special schools and eigh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communication- 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One-hundred fifty eight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elected from five special schools and eighteen special education class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ent by mail.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type,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had impact on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econd, the sub-scales of the self-identity scale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self-esteem and affinity. The sub-scale of the self-efficacy scale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as preference of difficult tasks. Limitation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ettings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신애,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57-476, 2010

      2 김유희, "학급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01-228, 2015

      3 유영란, "표현활동 프로그램참여 전/후 따른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07-721, 2017

      4 오언, "초등학교와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학교폭력 경향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21-38, 2013

      5 김신아,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20 (20): 75-89, 2015

      6 허미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타심과 자기통제에 의한 또래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29-49, 2016

      7 안도희, "청소년의 과제 선호 성향 예측 요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48 (48): 1-22, 2010

      8 홍성례, "청년기 남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71-87, 2011

      9 이영건, "청각장애학생의 교육 배치 유형별, 학교 급별 학교생활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15-30, 2011

      10 김태강,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49-70, 2014

      1 한신애,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57-476, 2010

      2 김유희, "학급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01-228, 2015

      3 유영란, "표현활동 프로그램참여 전/후 따른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07-721, 2017

      4 오언, "초등학교와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학교폭력 경향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21-38, 2013

      5 김신아,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20 (20): 75-89, 2015

      6 허미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타심과 자기통제에 의한 또래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29-49, 2016

      7 안도희, "청소년의 과제 선호 성향 예측 요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48 (48): 1-22, 2010

      8 홍성례, "청년기 남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71-87, 2011

      9 이영건, "청각장애학생의 교육 배치 유형별, 학교 급별 학교생활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15-30, 2011

      10 김태강,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49-70, 2014

      11 김태강,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12 김태강, "청각장애아동의 배경변인 및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 간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93-110, 2014

      13 박혜림, "청각장애대학생이 인지하는 학령기 교우관계와 정체감의구조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문제연구소 271-293, 2015

      14 김은정, "청각장애대학생이 인지하는 학령기 교우관계와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문제연구소 237-258, 2015

      15 이정우,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26, 2015

      16 이미숙, "청각장애 학생들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5 (15): 175-187, 2011

      17 박성일, "청각장애 장노년기의 삶의 질 척도를 위한 문항 개발"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13 (13): 28-40, 2017

      18 김주희,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치료학회 17 (17): 35-55, 2017

      19 김승호,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주관적 삶의 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173-195, 2016

      20 정소영, "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및 일반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 비교"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279-297, 2013

      21 고혜정,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연구 접근 관점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307-324, 2016

      22 문은식, "중학생의 또래애착, 자아정체감 및 진로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22 (22): 21-35, 2015

      23 김미연, "중학생의 동아리학급활동이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K중학교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2 (52): 139-157, 2013

      24 이성봉, "정서 및 행동장애" 학지사 2014

      25 윤희정,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공적이전소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32-461, 2015

      26 박애란,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활동, 가족지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12-221, 2017

      27 김영신, "음악치료사가 지각한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 19 (19): 29-52, 2017

      28 이성혜, "온라인 수학․과학 영재교육에서 중학생의 학습과제에 대한 지각과 도전감, 심층학습 및 성취도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89-212, 2016

      29 유정완, "성인 뇌성마비의 관절가동범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6 (26): 1189-1198, 2017

      30 송진영, "산업재해요양 이후 원직장복귀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65-94, 2016

      31 전수영, "사회경제적 수준별 초기 청소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 30 (30): 81-91, 2017

      32 박미려, "부모방임,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을 매개로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63-284, 2017

      33 장혜성, "미국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삶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73-299, 2014

      34 이해원,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자기효능감과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 (25): 921-934, 2016

      35 정여주,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 관계 연구 -학교생활만족도와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239-257, 2012

      36 정일교, "뇌성마비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8 (18): 369-406, 2017

      37 김현리, "농촌지역 재가 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분석 -PRECEDE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1 (21): 47-70, 2017

      38 신은영, "노년기 청각장애를 위한 삶의 질 지수의 표준화"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9 (9): 165-174, 2013

      39 석말숙, "가족요인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55-74, 2015

      40 최혜윤, "‘ASHA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의 한국어판 번안: 청소년용"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6 (16): 388-396, 2011

      41 Devine, M. A., "The role of a disability-specific camp in promoting social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for youth with hearing impairments" 49 (49): 293-309, 2015

      42 Cramm, J. M., "The importance of general self-efficacy for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chronic conditions" 113 (113): 551-561, 2013

      43 Brzonsky, M. D., "The how and what of identity formation : Associations between identity styles and value orientations" 50 (50): 295-299, 2011

      44 이지은,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9-47, 2016

      45 Damjana, K., "Self-esteem of deaf and hard of hearing compared with hearing adolescents in slovenia; the context of social and communication factors" 16 : 30-51, 2015

      46 Warner, D, "Self-estee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hearing loss"

      47 Borton, S. A.,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unilateral hearing loss : A pilot study" 19 (19): 61-72, 2010

      48 Kushalnagar, P., "Mode of communication, perceived level of understanding, and perceived quality of life in youth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16 (16): 512-, 2011

      49 Kunnen, E. S., "Identity development in deaf adolescents" 19 (19): 1081-4195, 2014

      50 Gerich, J.,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quality of life in an elder and middle-aged deaf community sample" 17 (17): 102-113, 2012

      51 De Pater, I. E., "Challenging experiences : Gender differences in task choice" 24 (24): 4-28, 2009

      52 Shogren, K. A., "Autonomy,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elf-realization : Exploring data on self-determination from NLTS2" 80 (80): 221-236, 2014

      53 Arsic, R. B., "A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lif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ttending special schools in the servian education system" 18 (18): 26-41, 2017

      54 Lee, Y.,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and the grouping effect on adolescent quality of life across two consecutive years" 117 (117): 523-539, 2014

      55 김경화, "4년제 대학교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청각장애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87-202, 2015

      56 교육부, "2016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6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16

      57 교육부,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정 교시 알림. 교육부 고시 제2015-81호"

      58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인 통계. 조사통계 제2015-04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